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호기심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수백 년 후엔 전 인류의 삶을 바꿀 수 있는 일. 그것이 기초과학이다. 우주가 어떻게 존재하는지, 그 기저에 뭐가 있는지 알고 싶다면 도전하자. 여전히 우리를 기다리는 미지의 세계가 있고 우리의 지적 가능성은 무한하다. 그리고, 아마도, 먹고 사는 데 큰 지장은 없을 ... ...
- 수학에 사랑스러움이 가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추측의 해답으로 단위 구를 배치하면 입맞춤 수를 알 수 있다. 케플러 추측은 1600년대 초 독일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에 의해 연구가 시작됐다. 그는 ‘육각형 눈송이에 관한 글’에서 3차원 공간에서 단위 구를 가장 밀도 높게 쌓는 방법을 제안했다. 과일가게에서는 사과나 귤과 같은 둥근 ... ...
- 푸딩 쏙 빼닮은 블랑망제 함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바이어슈트라스였다. 1872년 바이어슈트라스가 제시한 ‘바이어슈트라스 함수’는 최초로 발견한 프랙털 함수 중 하나로, 기존 생각을 뒤집는 첫 번째 반례였다. 분명 모든 구간에서 연속인데 어느 점에서도 미분할 수 없었다. 바이어슈트라스의 발견 후 수학자는 다른 반례들을 찾아내기 시작했고 ... ...
- 원두 맛 끌어올리는 수학 모형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원)의 재료비를 절감했다고 한다. 에스프레소를 제조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25초에서 7~14초로 줄어들었고, 커피 추출 수율은 18%에서 22% 로 높아졌다. 여기서 커피 추출 수율이란 커피에서 커피 고형분이 얼마나 많이 추출됐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예를 들어 원두 20g, 물 200g을 사용해서 커피 20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시간이 더 길어요. 1년 중에서 제가 정말 고민했던 문제들이 풀리는 시간은 몇 분, 몇 초에 불과해요. 짧은 순간을 위해 1, 2년 동안 수많은 고민과 도전, 그리고 좌절을 겪어요. 그렇지만 그 모든 작업이 모여서 하나의 결과를 찾고 증명해내는 쾌감이 진짜 커요. 마치 축구에서 골이 들어가는 ... ...
- 수치예보모델 방정식 풀어 날씨를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어 “한국형수치예보모델의 경우 자료동화를 거쳐 만든 초기값이 각 격자점에서 약 25초마다 어떤 날씨 변화가 나타나는지 계산되는데, 10일을 예보할 경우 한 지점에서만 약 3만 4000번을 계산해야 하고, 기온, 습도 등의 기상 변수를 6개만 구해도 약 20만 번의 계산이 필요하다”며 “이런 격자가 ... ...
- [시사기획] 의사의 눈, 과학자의 손으로... 의사과학자가 걷는 길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신약은 김 대표가 병원에서 환자들을 진료 및 치료하며 필요하다 판단한 것들이다. 2023년 초 호주에서 임상 1상 실험이 완료된 근감소증 치료제가 대표적인 예다. 그동안은 사람이 아프면 근육이 빠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하며, 이를 문제라 인지하지 않았다. 온코크로스에서는 이를 개선하는 ... ...
- [과학사 극장]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기관의 성차별적이고 위계적인 문화에서 찾아야 한다. 프랭클린이 근무하던 1950년대 초 그곳은 여성 과학자가 남성 동료들과 협력하기 어려운 문화를 갖고 있었다. 가장 큰 식당은 남성만 출입가능했고, 심지어 직원들이 커피를 마시는 휴게실조차 성별에 따라 분리돼 있었다. 동료 연구자들과 ... ...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한 바퀴 돌아본 적이 없었고요. 심지어 지구가 편평하다고 믿는 사람도 많았지요. 18세기 초, 조선에서 만들어진 ‘천하도’라는 지도를 한번 보세요. 이 천하도에 그려진 세상의 모습은 넓고 편평한 원반 모양입니다. 이를 통해 옛날 사람들은 지구가 편평하다고 생각했으리란 걸 알 수 있어요. ... ...
- [과학뉴스] 초은하 평면에는 왜 주로 타원은하만 있을까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야기다. 함께 연구를 진행한 카를로스 프렝크 영국 더럼대 물리학과 교수는 “초은하 평면에 은하가 (불균일하게) 분포한 양상은 분명 놀랍다”면서 “그러나 그것은 규칙에서 어긋난 사건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연구 결과는 우주론의 표준모형이 우주에서 가장 놀라운 구조를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