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스페셜
"
배열
"(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이뤄진 물질이다. 크기가 수 나노미터(nm·10억분의 1미터)에 불과한 원자를 한 겹으로
배열
했다. 보로핀은 매우 흥미로운 물질로 꼽힌다. 나노미터급에서 3차원에 이르기까지 금속 성질을 보인다. 반면 보로핀의 원료가 되는 붕소는 비금속 및 반도체 성질을 가진다. 일부 과학자들은 보로핀이 ... ...
약 130억 광년 밖 초기 우주서 제트 내뿜는 퀘이사 관측
연합뉴스
l
2021.03.09
처음 포착돼 퀘이사 후보에 올랐다. 이후 전파망원경
배열
인 칼 G. 잰스키 초대형
배열
(VLA) 등을 통해 같은 위치에서 전파원이 확인됐으며, ESO의 초거대망원경(VLT) 등을 동원한 후속 관측을 통해 블랙홀의 질량과 주변 물질을 빨아들이는 속도 등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P172+18의 블랙홀이 태양 질량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여겼다. 만약 화석기록이 진화의 매 단계마다 충실하게 남아 있다면 이를 연대별로
배열
했을 때 급격한 변화보다 완만한 변화를 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현실의 화석은 그렇지 않다. 생명체가 화석화된다는 사실 자체가 대단히 까다로운 조건을 만족해야 하고 이를 온전하게 발견하는 것 또한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항체치료제 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1.02.25
항체는 특정한 항원에만 아주 정확하게 결합을 한다. 우리 몸은 DNA 수준의 유전자 재
배열
을 통해 1012개 이상의 많은 항체 레파토리를 만들 수 있다. 그만큼 다양한 항원 및 감염물질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체내의 다른 단백질과 달리 항체는 2~3주 정도의 긴 체내 반감기를 갖는다. 이러한 특징으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 유전자 지도 공개 20년 ‘슈퍼스타 유전자’ 톱8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국제학술지 ‘네이처’ 2001년 2월 15일자 표지는 수많은 사람의 얼굴을 모자이크처럼
배열
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표현했다. 1990년 인간의 유전자 지도를 그리겠다며 시작된 다국적 공동 연구 프로젝트인 ‘인간게놈프로젝트(HGP·Human Genome Project)’의 결과물인 인간 유전자 지도 초안을 이때 처음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키워드 'RNA'는 어떤 물질인가
2021.02.09
만들어야 하는지에 대한 암호화된 정보가 담겨 있다. 암호화 방식은 3개의 염기를
배열
한 것이다. 염기 3개와 그
배열
(코돈)은 하나의 아미노산(단백질을 구성하는 단위 물질)을 지칭한다. 이 암호에 따라 지정된 아미노산이 서로 연결되면 비로소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요컨대 코돈은 단백질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머신러닝, 원자의 속살을 드러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9
높아서다. 그런데 한 가지 단점이 있다. 비정질 실리콘은 실리콘 원자가 무질서하게
배열
돼 전자 이동 속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전자 이동 속도가 느리면 신호의 전송 속도가 낮아지고, 결국 LCD의 해상도가 떨어진다. 과학자들은 온도와 압력에 따라 실리콘 원자 구조가 어떻게 변하는지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다중밴드 이미지 광도계의 감도가 0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단파장을 탐지하는 적외선
배열
카메라 두 대가 아직 감도를 잃지 않았다. 스피처 우주망원경은 일명 ‘따뜻한 탐사’로 임무를 전환했고, 단파장 이미지를 중심으로 10년 넘게 추가 임무를 이어 갔다. 임무를 성공적으로 해오던 스피처 ... ...
英 변이 바이러스 어떻게 찾아냈나…유전체 염기 3만 개 해독
동아사이언스
l
2020.12.28
해독하는 검사법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염기가 약 3만 개로, 이 염기가 어떤 순서로
배열
돼 있는지 일일이 확인해 아미노산의 변이 여부를 찾아낸다고 생각하면 된다. 김 팀장은 “차세대 염기서열 해독 기술인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를 사용해 유전체 전장을 분석하고 있다”며 “짧은 ... ...
민간이 만든 소형 드론 탐지용 레이더, 군이 신속 도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17
DGIST)은 오대건 지능형로봇연구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개발한 능동위상
배열
(AESA) 드론 탐지 레이더 기술이 방위사업청이 주관하는 ‘신속시범획득사업’에 선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 레이더는 이르면 2021년 6월부터 육군, 해군, 공군에 도입돼 시범 운영될 예정이다. 신속시범획득사업은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