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배열"(으)로 총 15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을 발견하기까지2020.12.10
- 염색체 위에 여러 유전자가 배열돼 있다면, 각 염색체에 어떤 유전자가 어떤 순서로 배열돼 있는가를 규명하는 작업, 즉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는 작업을 당연히 수행하게 될 것이다. 이는 하나의 연구 성과가 그 다음의 연구과제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한 사례라 할 수 있다. 실제로 모건 ... ...
- [소재의 미래]⑷ 韓, 1등으로 만든 그래핀 산화물 원천기술동아사이언스 l2020.12.09
- 가진다는 사실을 최초로 확인해 학계에 발표했다. 김 교수는 “정제된 그래핀 산화물의 배열 방향을 나노 수준에서 조절하는 게 핵심”이라며 “그래핀 산화물 액정을 이용해 탄소섬유를 만들면 케이블, 에너지 소자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상욱 KAIST 신소재공학과 ...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2020.11.25
- 무기물인 금속산화물을 뼈대가 되는 길쭉한 유기물인 리간드로 이어 구멍이 규칙적으로 배열된 다공성 물질이다. MOF는 합성에 쓰이는 금속산화물과 리간드의 종류에 따라 구멍의 수, 모양, 구조가 달라 이론적으론 수많은 종류를 만들 수 있다. 이우황 올레핀분리팀 팀장은 “MOF의 종류는 2017년 ... ...
- 레이더 핵심 부품 집적회로로 만들어 크기와 무게 확 줄인다동아사이언스 l2020.11.2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DMC 융합연구단은 한국형 전투기 등에 사용되는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에 쓰이는 송·수신기 스위치를 집적회로로 만들어 크기와 무게를 낮췄다고 24일 밝혔다. 레이더의 송·수신기는 전파의 출력을 증폭시키는 전력증폭기와 들어온 신호의 잡음을 낮추는 저잡음 ...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일 분자 먼 거리 전송하는 '분자 전신' 현상동아사이언스 l2020.11.22
- 수신 탐침이 위치한 곳으로 직선 궤적을 따라 옮겨간다. 분자 속 원소 구성과 원자 배열과 같은 정보를 높은 공간 정밀도로 먼 거리에 전송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 ...
- [한 토막 과학상식]IBS 연구진 최초로 관찰했다는 ‘케이지 형성’이란 무엇인가동아사이언스 l2020.11.12
- 등 다양한 물리 현상이 나타난다. 가장 대표적인 현상이 바로 케이지 형성이다. 입자 배열이 불규칙한 고체 유리가 단단할 수 있는 이유도 케이지 형성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기존에는 외부 자극이 없는 상태에서 전체 유리 입자의 평균적인 움직임을 추적하는 데 그쳐 케이지 형성을 실제로 ... ...
- AI로 성질 예측 가능해진 '고엔트로피 합금'이란 무엇인가동아사이언스 l2020.11.11
- 어떤 계에서 원소나 분자의 무질서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다. 분자가 질서정연하게 배열된 고체보다 기체의 엔트로피가 더 크다. 여러 금속을 섞으면 같은 금속 원자끼리 ‘금속간 화합물’을 만들어 원자들의 엔트로피 총합이 작아지는데, 서로 다른 금속을 섞을수록 금속간 화합물이 적게 ... ...
- [인간·공감·AI]⑧동물 눈 모방한 카메라로 '시각혁명' 이끈다동아사이언스 l2020.11.10
- 이미지센서를 개발했다. 여기에 매우 작은 고무 재질의 마이크로렌즈를 반구 모양으로 배열시켜 시야각 160도의 초광각 곤충눈 카메라를 개발했다. 송 교수는 “곤충은 나는 과정에서 모든 공간을 봐야 하지만 고개를 돌려 보기에는 신체 공간이 부족하고 에너지 소모도 많아 한 번에 넓은 공간을 ...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19 항체, 3D 시각화 성공2020.10.30
- 9) 생존자로부터 분리한 항체를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바이러스 표면에 배열돼 있는 돌기 구조물로, 세포막에 있는 단백질 수용체와 결합해 사람의 세포 속에 침투하는 역할을 한다)의 주요 작용을 방해하고 스파이크 단백질이 분리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해당 ... ...
- [과학자의 서재] "책은 복잡계를 가르쳐 주는 진짜 선생"동아사이언스 l2020.10.30
- 다양한 분야의 책들이 빼곡히 들어차 있었다. 별다른 정리 없이 책들이 무작위로 배열된 듯한 서가를 오가며 김 연구원은 거침없이 원하는 책들을 꺼내 들었다. 김 연구원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과 올더스 힉슬리의 ‘멋진 신세계’를 가리키며 “전공을 고를 때 가장 영향을 받은 ... ...
이전345678910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