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맛있는수학] 피보나치도 울고 갈 파인애플 볶음밥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처음 생각해낸 건 피보나치가 아니에요. 피보나치 수열이 처음 문헌에 등장한 건 기원전 5
세기
인도 수학자 핑갈라의 책에서였고, 그 전부터 쓰였을 가능성이 높죠. 하지만 피보나치가 자신의 책 ‘산술의 서’ 12장에서 토끼 번식에 관한 문제로 피보나치 수를 설명하면서 유명세를 타서 피보나치 ... ...
[수학미술관] 19
세기
예술가의 뮤즈는 수학! 더 뮤즈 : 드가 to 가우디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그림을 그린 화가도 있습니다. 바로 네덜란드의 대표 추상화가 피트 몬드리안이지요.수
세기
동안 유럽 화가들은 3차원 공간의 실제 세계를 2차원 캔버스에 구현하려는데 심취해 있었습니다. 몬드리안은 회화의 속성을 넘어 형태와 색상과 같은 본질적인 요소에 주목합니다.몬드리안과 같은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풍속계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풍속계가 1분 동안 몇 번 회전하는지를 나타내는 RPM이었지요. 또 이를 바탕으로 바람의
세기
를 등급으로 나타내는 ‘보퍼트 풍력 계급’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섭섭박사님과 풍속계를 만들어 본 박은교 기자는 “집에 가서도 바람의 빠르기를 측정해보고 싶다”며 측정 방법을 한 번 더 확인하고 ... ...
3차원에도 황금비가 있다, 플라스틱 수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건축, 음악에서 아름다움의 상징으로 2000년 이상 자리매김한 황금비 1.61803…. 그런데 20
세기
초에 3차원의 황금비를 나타내는 새로운 수가 등장했습니다. ‘플라스틱 수’라는 독특한 이름을 가진 수 1.32471…입니다. 이 수가 왜 3차원 황금비로 불리는지 알아볼까요? 기원전 300년경에 활동한 수학자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7호
균을 ‘백신’이라고 해요.원래 백신은 ‘소’를 뜻하는 라틴어 ‘Vacca’에서 왔어요. 18
세기
영국의 의학자 에드워드 제너가 천연두를 예방하는 백신을 구하기 위해 소를 이용했거든요. ‘천연두’는 천연두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사망률이 높은 질병이에요. 제너는 우두(소천연두)에 걸린 소에게서 ... ...
신비┃인류는 정말로 달에 갔을까
과학동아
l
2019년 07호
달 표면에 설치한 레이저 반사경을 이용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했다. 21
세기
들어서는 여러 나라의 달 탐사 위성이 아폴로호의 착륙 흔적을 확인하기까지 했다. 무엇보다 우주비행사들은 지금까지 382kg이나 되는 월석을 지구로 들고 왔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말 많은 사람들이 음모론에 ... ...
걱정이던 자율주행차 안전 '힐베르트 문제'로 해결!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1900년 독일 수학자 다비트 힐베르트가 파리 세계수학자대회 기조강연에서 20
세기
에 꼭 풀어야 하는 문제 23개를 뽑아 발표했는데, 그 중 한 문제를 활용한 것이어서 더욱 놀랍습니다. 힐베르트의 17번 문제가 뭔데?주인공은 아미르 알리 아흐마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경영과학 및 금융공학과 교수 ... ...
수학 문화재는 어떻게 알아보나요?
수학동아
l
2019년 06호
뒤처졌을 거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었습니다.하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도 7
세기
초 백제시대에 이미 구구단을 외우고 활용했던 기록이 발견됐거든요. 구구단이 기록된 목간(나무판)입니다. 일본에서 발견된 구구단 기록보다 훨씬 앞선 기록이어서 변명의 여지없이 구구단이 중국에서 ... ...
[핫이슈] 유산균 프로젝트, 똥일기 쓰는 친구들 보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알고 있나요?”차장님이 화면 속의 흑백사진 두 장을 가리켰어요. 사진 속 인물은 19
세기
프랑스의 화학자 루이 파스퇴르와 러시아의 생물학자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였어요. 유산균의 역사에 큰 획을 그은 두 사람이지요. 파스퇴르는 세균이 자연발생한다는 당시의 주장을 뒤엎고, 세균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고무줄 탄성을 이용해 총알을 날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간단하게 만들어 본 투석기는 사실 엄청나게 긴 역사를 가진 무기예요. 기원전 4
세기
그리스와 중국에서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남아있죠. 고대 전쟁에서 가장 큰 골칫거리 중 하나는 성에 틀어박힌 적군을 상대하는 일이었어요. 투석기는 이때 돌을 던져 성벽을 무너뜨리거나 성벽 너머의 적을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