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21세기의 연금술사들, 새로운 원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하하, 별난 원소 구경은 재밌었니? 그런데 요즘은 더 이상한 원소들도 많다고 들었어. 자연에 없는 원소를 직접 만들 수도 있다고 하더라고. 과거의 연금술사들이 성공한 걸까?자연에서 발견되는 가장 높은 원자번호의 원소는 94번 플루토늄(Pu)이에요. 왜 더 큰 원소는 자연에 없을까요? 그 이유는 원 ... ...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가장 처음의, 그리고 가장 간단한 무언가는 언제나 그 자체로 의미가 있는 경우가 많다. 세상을 이루고 있는 원소, 그중에서도 현재까지 발견된 118개 원소 중 원자번호 1번을 차 ... 셈이다. 바로가기 ☞https://tv.naver.com/periodictable 용어정리-플로지스톤(phlogiston). 18세기 초 연소를 설명하기 ... ...
- [오일러 프로젝트] 피보나치 수열 속 1000자리의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주판서’에 토끼의 번식 문제를 이야기하면서 피보나치 수열을 소개해 유명해졌다. 19세기에 이르러 프랑스 수학자 에두아르 뤼카가 피보나치의 성을 따서 피보나치 수열이라고 이름을 붙였다.피보나치가 연구한 문제는 ‘갓 태어난 한 쌍의 토끼가 1달 후부터 매달 한 쌍의 토끼를 낳는다고 할 ... ...
- 내 목소리도 프레디 머큐리처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높낮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좌우 성대 근육의 접촉 강도를 조절하면 소리의 세기가 달라진다. 이들을 강하게 붙이면 소리가 커지고, 약하게 닿게 하면 소리가 작아진다. 성대를 너무 많이 접촉시키면 공기가 통과하면서 성대에 무리를 준다. 이 때문에 성대가 붓고 목소리가 평소보다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찰나의 순간 목숨을 앗아가는 감전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않다. 전기로 인한 상해 정도는 감전 회로의 유형과 통전 시간, 조직 저항, 전압, 전류의 세기, 통전 경로 등에 따라 달라진다. 이제 시신이 말해주는 사망 원인을 확인할 차례다. 전기가 사람의 몸을 통과할 때 첫 번째 장벽은 피부다. 저항이 높으면 전류가 잘 흐르지 못하고, 저항이 낮으면 전류가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죽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상태가 가능해요. ▶이 질문이 왜 중요할까? 양자역학은 1925년에 거의 완성됐어요. 20세기 물리학자인 보어와 하이젠베르크는 사물의 상태를 측정하기 전에 사물이 특정한 상태에 있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어요. 반면 아인슈타인과 슈뢰딩거는 이들의 생각 방식에 크게 반대하며 방사성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학문입니다. 그리고 무려 2000년 동안 널리 쓰이며 ‘절대 진리’로 여겨졌습니다. 19세기에 이르러 다른 관점이 제시되기 전까지는 말이죠. 이탈리아 수학자 지오바니 사케리를 시작으로 많은 수학자가 연구를 거듭한 끝에 유클리드 기하학을 이루는 5번째 공리인 ‘평행선 공리’를 거짓이라고 ... ...
- [오일러 프로젝트]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모두 되는 마법 도형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배수 형태로 표현된다. 오일러의 오각수 정리와 페르마의 다각수 정리스위스 출신 18세기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무한 곱셈 형태’의 수식을 ‘무한 합 형태’에 대한 항등식으로 나타낸 ‘오일러의 오각수 정리’를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도형수와는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데 왜 오각수 ... ...
- 어서 와~ 우주는 처음이지?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사실은 24에 해당하는 위치(28)가 비어 있는 것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이 수열이 알려진 18세기에는 아직 소행성대와 천왕성, 해왕성이 발견되지 않았었는데, 정확히 24에 해당하는 자리에서 소행성대가 발견됐죠. 어떻습니까? 우주는 정말 수학적인 공간 아닌가요? 우주의 설계도는 수학이라고 말할 ...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별칭으로 굳어졌죠. 블랑망제라는 이름을 생각해낸 건 톨의 동료인 존 밀스였는데,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요리책인 ‘원의 매일 요리법’에서 푸딩의 형태를 만드는 틀을 보고 이름을 떠올렸다고 해요. 톨은 블랑망제 함수의 이름에 대해 이렇게 말했어요. “타카기가 발견했으니까 타카기 ... ...
이전7172737475767778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