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학문입니다. 그리고 무려 2000년 동안 널리 쓰이며 ‘절대 진리’로 여겨졌습니다. 19세기에 이르러 다른 관점이 제시되기 전까지는 말이죠. 이탈리아 수학자 지오바니 사케리를 시작으로 많은 수학자가 연구를 거듭한 끝에 유클리드 기하학을 이루는 5번째 공리인 ‘평행선 공리’를 거짓이라고 ... ...
- 어서 와~ 우주는 처음이지?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사실은 24에 해당하는 위치(28)가 비어 있는 것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이 수열이 알려진 18세기에는 아직 소행성대와 천왕성, 해왕성이 발견되지 않았었는데, 정확히 24에 해당하는 자리에서 소행성대가 발견됐죠. 어떻습니까? 우주는 정말 수학적인 공간 아닌가요? 우주의 설계도는 수학이라고 말할 ... ...
- [오일러 프로젝트]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모두 되는 마법 도형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배수 형태로 표현된다. 오일러의 오각수 정리와 페르마의 다각수 정리스위스 출신 18세기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는 ‘무한 곱셈 형태’의 수식을 ‘무한 합 형태’에 대한 항등식으로 나타낸 ‘오일러의 오각수 정리’를 다음과 같이 만들었다. 도형수와는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데 왜 오각수 ... ...
- [맛있는 수학] 함수 품은 블랑망제 푸딩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별칭으로 굳어졌죠. 블랑망제라는 이름을 생각해낸 건 톨의 동료인 존 밀스였는데, 19세기 빅토리아 시대의 요리책인 ‘원의 매일 요리법’에서 푸딩의 형태를 만드는 틀을 보고 이름을 떠올렸다고 해요. 톨은 블랑망제 함수의 이름에 대해 이렇게 말했어요. “타카기가 발견했으니까 타카기 ... ...
- [실전! 반려동물] 턱을 비비는 토끼, 간지러운 게 아니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아프리카 북서부 지역에서 서식하던 굴토끼는 배를 타고 점차 전세계로 퍼져 나갔지요. 11세기 유럽 남서부 지역에서 사람들이 굴토끼를 기르기 시작하면서 오늘날의 집토끼가 탄생했답니다. 야생 굴토끼는 새끼를 낳으면 지하에 구멍을 파서 보금자리를 만들고 새끼를 감춰둬요. 하지만 사람과 ... ...
- [SW 진로체험] 정보보안 이끄는 튜링의 후예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의미에서 현대 정보 보안 기술 전문가들은 튜링의 후예라고 할 수 있다. 수학을 전공한 21세기의 튜링을 만나기 위해 삼성SDS를 찾았다. ●SW와 보안 기술 연구 삼성은 누구나 아는 기업이지만 삼성SDS는 학생들에게는 낯선 이름인데 어떤 일을 하나요?삼성SDS는 쉽게 말해 소프트웨어(SW) 회사라고 ... ...
- [통합과학 교과서] 꿀록 탐정, 수사에 나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극복한 것이 유리 거울이에요. 현재 쓰이는 유리 거울의 시초는 르네상스 시대인 16세기,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장인들이 만들었어요. 그들은 넓은 유리의 뒷면에 수은과 주석의 합금을 입혔어요. 이런 유리 거울에서는 유리의 뒷면에 칠해진 금속에서 빛의 반사가 일어나요. 투명한 유리는 금속을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버려졌던 이론의 재탄생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탄생에 도움을 줬듯이 기초과학의 진일보도 산업과 사회로 돌아옵니다. 지난 반세기 동안 여러 지하자원의 생성 요인과 분포를 이해하고 채굴하는 데 판구조론이 큰 기여를 했음은 물론입니다. 최근 해령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미래 금속자원 연구 개발은 또 다른 좋은 예입니다.새로운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수학시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물시계를 발명했어요. 항아리 속 물의 높이로 시간을 알아냈답니다. 기계식 시계는 13세기 유럽에서 처음 등장했어요. 톱니바퀴와 수직막대, 수평막대 등으로 구성됐지요. 수직막대가 회전하면 맞물린 톱니바퀴가 함께 회전하면서 시간의 흐름을 나타냈답니다. 이 시계는 값이 매우 비싸 ... ...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자체 전파망원경으로 EHT 프로젝트에 참여할 계획도 갖고 있다. 블랙홀의 비밀을 벗기는 세기의 연구에 한국 천문학계가 기여했다는 점에서 더없는 자긍심을 느낀다.손봉원 한국천문연구원 전파천문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 한국 책임자를 맡고 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 ... ...
이전7273747576777879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