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59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절연 고온초전도 자석 만든 한승용 서울대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3.31
성공했다. 개발된 무절연 고온초전도 자석은 직경 34mm, 길이 53mm에 불과하지만 에너지
밀도
는 50배에 달해 다양한 산업에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승용 교수의 연구결과는 2019년 6월 13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소개됐다. 미국 핵융합 벤처기업 MIT-CFSrk 차세대 초소형 핵융합 장치 ... ...
전기차 핵심 리튬이온전지, 30년간 가격 97%까지 떨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판매 비중을 전체 자동차 판매의 10%로 끌어올리고, 2025년에는 리튬이온전지의 에너지
밀도
를 50% 이상 개선해 단가를 낮추는 등 핵심 부품의 가격을 내려 전기차 가격을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내리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트랜식 교수는 “리튬이온전지 가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미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60m 아래 심층수는 무산소층이다. 흥미롭게도 심층수의 수심이 깊어질수록 섬모충의 서식
밀도
가 높아지고 질산염의 농도가 낮아진다. 연구자들은 섬모충이 질산염 호흡으로 질산염을 소모한 결과라고 추정했다. 현미경으로 섬모충을 들여다보자 세포 안에 원핵생물로 보이는 작은 덩어리가 10개 ... ...
목이 길어 인간 2.5배 혈압 가진 기린 고혈압 치료 길 여나
연합뉴스
l
2021.03.18
쥐는 혈압이 약간 올랐지만 건강한 상태를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뼈의
밀도
도 더 높아지고 단단해지는 결과를 얻었다. 헬러 부교수는 "이런 결과는 다른 포유류보다 빨리 자라면서 긴 목과 다리를 갖게됐지만 고혈압에 대처하고 단단한 뼈를 유지해 지탱하는 기린의 독특한 생리적 ... ...
시베리아 바이칼 호수 1.3km 밑엔 세계 최대 수중 ‘유령입자’ 검출기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5
남극 얼음 깊숙이 아이스큐브를 설치한 이유는 남극의 얼음이 불순물 없이 깨끗하고
밀도
가 높아 중성미자의 반응 여부를 확인하는 데 적합하기 때문이다. 바이칼-GVD를 바이칼 호수 깊은 곳에 설치하는 것도 같은 이유에서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수많은 입자들의 방해 없이 중성미자만 검출하기 ... ...
'좋은' 콜레스테롤 기능 활발하면 관상동맥 막혀도 혈관 생성
연합뉴스
l
2021.03.11
교수 "심장혈관 꽉 막혀도 신생 혈관 잘 생겨"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는 고
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의 기능이 좋은 사람은 심장혈관인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혀도 새로운 혈관이 잘 생성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세대 의대 심장내과 이상학 교수 연구팀은 관상동맥이 만성적으로 ... ...
공기 희박해도 OK, 빛으로 비행하는 비행체
과학동아
l
2021.03.10
얻는 항공기는 성층권 하부까지만 날 수 있다. 그보다 고도가 높은 중간권 영역은 대기의
밀도
가 낮아 양력을 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대신 중간권 영역에는 강한 태양 빛이 비치고 있다. 이고르 바르가틴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응용역학 및 기계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이러한 ... ...
'용암의 강' 흐르는 슈퍼지구로 암석형 행성 대기 분석 길 연다
연합뉴스
l
2021.03.05
해왕성이나 천왕성보다는 작은 암석형 행성인 슈퍼지구로, 금성이나 지구와 비슷한
밀도
를 갖고 있고 금속으로 된 핵을 가진 것으로 분석했다. 적색왜성 온도가 태양보다 훨씬 낮다고 해도 약 250만㎞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행성의 기온은 섭씨 430도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성(470도)처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텍사스 가짜 눈의 정체
2021.03.03
흔히 알고 있는 단단한 얼음보다 가볍고, 바람에 잘 날릴 뿐이다. 실제로 눈송이의
밀도
는 0.1~0.8 g/㎤으로 단단한 얼음의
밀도
(0.92g/㎤)보다 훨씬 작다. 물론 대기압에서 얼음 덩어리인 눈송이는 섭씨 0도에서 녹아서 액체의 물이 된다. 눈의 온도가 섭씨 0도보다 높아지면 눈송이가 녹아서 섭씨 0도의 ... ...
데이터 홍수 걱정 없는 저장장치의 차세대 주자들
과학동아
l
2021.02.27
만들 수 있는 스트론튬 페라이트를 사용했다. 정보를 저장하는 개별입자가 높은
밀도
로 구성되는 만큼 더 많은 비트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유리판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도 등장했다. 2019년 마이크로소프트는 2mm 유리판에 수백 년 이상 데이터를 손실 없이 보관할 수 있는 ‘프로젝트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