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형성 영역 깊숙이서 쌍성계 만드는 원시별 생생하게 포착
연합뉴스
l
2020.06.10
보여주는 것으로 지적됐다. 연구팀은 직접적인 이미지 이외에 쌍성계 주변의 고
밀도
영역을 파악할 수 있는 유기분자 분광선 관측을 통해 별 주변 가스의 움직임을 파악했으며, 이를 통해 질량을 측정하고 A1과 A2가 서로 연결된 쌍성계라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또 최근 30년간 수집된 자료와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해질과 액체 금속의 연결고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07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는 암모니아 용액에 전자 농도가 과도하게 증가할 때 일어나는 변화를 추상적으로 표현한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암모니아 ... 전해질에서 청동 색상의 금속 용액으로 전이하는 과정을 암모니아 전자의 에너지 및
밀도
를 통해 규명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 ...
"코로나 지침 없고 장비소독도 미흡…물류센터 방역 허점 확인"(종합)
연합뉴스
l
2020.06.01
전국 물류시설 4천300여곳 점검…택배 터미널·창고 등 포함 콜센터 및 IT 업종 등 고
밀도
사업장 1천750곳은 자체 방역 점검 [연합뉴스TV 제공] 경기도 부천 쿠팡물류센터 집단감염 여파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잇따르는 가운데 정부가 일부 물류센터를 ... ...
코로나 맞선 로봇·AI 등 기술 어디까지…서울디지털재단 보고서
연합뉴스
l
2020.05.26
이 공원을 걸어 다니며 사회적 거리를 확보하도록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공원의 인구
밀도
를 측정한다. 미국에서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사람과 기부자를 연결하는 온라인 플랫폼이 등장했다. 독일에서는 시민들이 코로나19 문제를 해결할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디지털 해커톤'이 열렸다. ... ...
"추위보다 현생인류와 경쟁이 더 버거웠다" 슈퍼컴 밝힌 네안데르탈인 멸종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년 전부터 3만 8000년 전까지의 네안데르탈인의 인구
밀도
(붉은색 영역)와 현생인류의 인구
밀도
(초록색 영역)를 비교했다. 네안데르탈인이 급격히 사라진 시점은 4만 3000~3만 8000년 전 사이다. 이는 현생인류가 급격히 유럽에 퍼져나간 시점 직후다. 오렌지색 점은 네안데르탈인의 중기구석기 유적 ... ...
[프리미엄리포트]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
2020.05.23
핵물리학자가 만드는 미니 빅뱅은 강력한 블랙홀을 만들기엔 지나치게 귀엽습니다.
밀도
만 높을 뿐, 크기는 야구공보다 약 1조 배나 작기 때문입니다. 총 에너지가 작은 사탕 하나를 약 30조각으로 쪼개 한 조각만 먹으면 얻을 수 있는 1kcal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입니다. 사탕이 우주를 위협할 수는 ... ...
방역당국 "고3 일단 등교, 나머지는 상황보며 등교시기 조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5.15
“고3 외 학년들이 순차 개학을 하더라도 학생들간 접촉 빈도를 줄이기 위해
밀도
를 낮추거나 나머지 학년들의 순차 등교 시기는 유행상황을 보고 검토, 조정하는 게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주말이 이태원 클럽발 코로나19 확산의 중대 고비가 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온 가운데 ... ...
이태원 클럽발 집단감염이 신천지 사례와 같으면서도 다른 점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소수의 밀접한 접촉을 하는 소모임이 많은 점이 다르다고 밝혔다. 개인 간 접촉들이
밀도
높게 여러번 반복 노출됐다는 것이다. 정은경 본부장은 “두 사례의 발병률이 이같은 차이점으로 인해 다를 수 있다고 보고 있지만 잠복기가 끝나고 발병률이나 정확한 노출 규모를 파악해야 확인할 수 ... ...
성균관대-삼성전자, 마이크로LED 집적도 20배 높일 접착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김태일 교수와 이주승 연구원, 삼성전자 연구진은 0.015mm 크기의 초소형 전자소자를 고
밀도
로 집적할 수 있는 전도성 접착제를 공동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크기가 마이크로미터(μm, 1 μm 는 100만 분의 1m) 수준인 초소형 전자소자는 기판에 배열하거나 전극과 연결시키기가 까다롭다. 현재는 금속 선 ... ...
70년 난제로 남았던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 규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상태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다공간 제한탐색
밀도
범함수론(MS-DFT)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해 차세대 반도체 소자 후보군 중 하나인 단일분자 소자 속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길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강하 현상을 처음 밝혀냈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 ...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