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36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류구가 밝혀줄 태양계 형성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3.28
것으로 파악됐다. 구멍이 많은 다공질의 암석 구조는 행성 사이의 우주 먼지와 암석의
밀도
가 높은 천체와의 연결고리를 암시한다. 이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진은 류구와 같은 소행성은 지구와 같은 행성이 형성되기 전 중간 단계의 천체일 수 있다고 결론내렸다. 연구진은 “류구 ... ...
교수도 학생도 낯설다…코로나19 여파로 살펴본 과기원 원격수업 실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6
그러나 일부 교수들은 실제 실시간 원격 수업이 오프라인 강의에 비해 집중도와
밀도
가 떨어진다는 사실을 부인하지 않고 있다. 과기원의 한 교수는 “보통 프리젠테이션 발표자료를 준비해 강의를 진행하는데 발표자료만 제시하며 목소리를 내는 게 정적이다 보니 몰입도가 떨어질 수밖에 ... ...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들 지구 위협하는 소행성 발견 방해" 美 연구팀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5
책임연구원은 이에 대해 “태양 근처 방향으로 망원경이 향해야 (관측되는) 소행성의
밀도
가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지구 근처 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펼쳐져 타원 궤도를 따라 태양을 돈다. 타원 궤도의 중심을 태양이라고 하면 타원의 중심에서 떨어진 지구에선 태양쪽을 ... ...
20번 빨아 쓰는 마스크·치료용 항체 개발했다는데 당장 못쓰는 이유
2020.03.24
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미세한 필터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고 섬유 종류와 두께,
밀도
등을 조절해 KF80~KF95까지 여과 성능을 낼 수 있는 필터를 개발했다고 소개했다. 연구팀은 이와 함께 “하루 1500매 생산하는 제조 설비도 갖췄다”며 마스크 품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소개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결과 350도 열원에서 나온 적외선으로 제곱센티미터 당 61마이크로와트의 최대 전력
밀도
를 얻는 데 성공했다. 에너지변환 효율은 0.4%에 불과하지만 기존 열광전지 장치로 얻을 수 있는 값의 수십 배에 해당한다. 연구자들은 이번에 개발한 열광발전 시스템이 기존 반도체 소재와 기술을 이용한 ... ...
"한 시간에 균 99.9% 제거" 항균 효력 높인 은나노 소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3.24
접촉시킨 뒤에는 균의 99.9%까지 제거가 가능했다. 연구팀은 전자빔의 에너지와 굵기,
밀도
등을 변화시키면 다양한 나노 및 바이오 분야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김창수 선임연구원은 “기존보다 간단하고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나노소재의 항균 능력을 극대화했다”며 “세균이나 ... ...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조성진 LG전자 부회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3.23
10나노급 선폭을 지닌 고난도 디램(DRAM)을 개발한 박광일 삼성전자 전무(49)와 고
밀도
배터리 제조 기술을 연구한 강기석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44)가 선정됐다. 한국공학한림원은 제24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과 젊은공학인상 수상자를 23일 발표했다. 대상 수상자인 조 부회장은 세탁기 국산화를 ... ...
20번 빨아도 재사용 가능한 마스크용 나노필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6
1nm는 10억 분의 1m)인 미세한 필터를 만드는 기술을 확보하고, 여기에 섬유 종류와 두께,
밀도
등을 조절해 KF80~KF95까지 여과 성능을 낼 수 있는 필터를 만들었다. 이 필터는 에탄올을 이용해 살균 세척을 20번 반복해도 여과효율이 94%까지 유지됐고, 손세탁을 하거나 4000번 구부려도 구조가 변하지 ... ...
손톱보다 작은 '초소형 전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10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집적회로(IC) 칩처럼 좁은 기판 위에 전지를 고
밀도
로 집적함으로써 공간 제약 없이 전지 성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좁은 공간에 전지를 집적하는 기술은 슈퍼커패시터 뿐 아니라 다른 전기화학 시스템과 장치에도 적용 가능할 ... ...
삼성전자, 車배터리 크기 줄이는 '전고체전지' 혁신기술 공개
연합뉴스
l
2020.03.10
안전성과 수명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기존보다 배터리 음극 두께를 얇게 만들어 에너지
밀도
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튬이온 전지보다 크기를 절반 수준으로 줄이는 특징을 갖췄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임동빈 마스터는 "전기자동차 주행거리를 혁신적으로 늘리는 핵심 ... ...
이전
73
74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