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사람
코리안
korean
한인
d라이브러리
"
한국인
"(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3. '94년 빛낸 영광의 얼굴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연구실은 세계에 몇 안되는 프러렌 화학연구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다.올라 교수의
한국인
제자로는 인하대 출신의 이창수 박사가 1993년 박사학위를 받고 현재 조지아 대학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일하고 있다.올라 교수가 60년대 교수로 임명돼 탄소양이온에 관한 연구를 시작했을 때 그와 같은 ... ...
3 '자연으로 돌아가자' 가치관 절실
과학동아
l
1994년 10호
고에너지 산업을 향해 치달아온 현대문명은 이제 갈림길에 섰다.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이 요구될까. 그 속에서 한국의 역할은 어떤 ... 어떻게 찾아질 수 있을런지는 불투명하다. 어찌됐건 그 불확실성 속에서 이 시대
한국인
의 사명은 그 어느 때보다도 크다고 할 수밖에 없다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적다. 노르웨이인은 와상문이
한국인
의 절반 정도인데 궁상문은
한국인
의 4배나 된다.
한국인
이 손재주가 좋다는 소리를 듣는 것도 이런 데 이유가 있는지도 모른다. 와상문은 융선이 조밀하여 손끝의 감각이 예민하기 때문이다.그런데 지문이 없는 사람이 한국에서 10여명 정도 발견되고 있다. ... ...
톱쿼크 발견 임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하나이다.현재 이 실험에 소속된 전체 물리학자는 약 3백40여명이며 그중 약 10여명의
한국인
물리학자들이 미국 각 대학 또는 연구소에 소속되어 대학원생 또는 연구원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 글의 필자인 김동희교수는 CDF 그룹의 멤버이다 ... ...
문화 전승 발전 두뇌는 '좌뇌형'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투시원근법적 표현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물론 이 효과를 성급하게 기대해서는 안된다.
한국인
대중의 두뇌가 좌뇌형으로 되기까지 최소한 1세대는 걸릴 테니까. 그러나 한민족 앞날의 번영을 약속받는 일로서 30년쯤의 투자는 결코 비싸지 않다.지금까지 1-5회에서 다룬 글의 내용가운데 각 얼굴형과 ... ...
미남·미녀기준 서구형으로 대변신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서양인 얼굴형으로 변하는 데 불만을 가지고 산다.이 중에 가장 바람직한 쪽은 역시 2번,
한국인
자신의 얼굴에 만족하며 살아갈 수 있는 일일 것이다. 이 방법은 첫째 이상적인 데다 성형수술 화장술 등 신경을 안 써도 되니 경제적이며 앞으로
한국인
의 얼굴이 어떻게 변하더라도 정서적으로 ... ...
4.
한국인
의 뿌리, 아프리카 현생 인류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물론 지역적인 특성이 다소간에 남아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현대
한국인
의 체질적인 특징은 실눈이 많고 광대뼈가 튀어나왔으며 동그스름한 콧날, 속쌍꺼풀, 직모와 검은 머리, 중간정도의 키, 그리고 단두형의 머리 등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몽고인종의 일반적인 특징들 중의 ... ...
식물, 왜 '근친혼' 싫어하나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관하여 알아보자. 이를 유전공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규명한 사람은 다름 아닌 재미
한국인
식물분자생물학자인 배현숙 박사이다.배현숙 박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의 카오 박사 연구실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자가불화합성 원리 규명을 위해 유전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연구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특별히 다른 점이 있다면 그것은 화남계형의 출현율이 한국보다 적다는 것이다.
한국인
에게서 이마의 전두융기간폭(全頭隆起間幅)과 전두최소폭, 눈이 작고 단두(短頭)의 경향이 크게 나타나는 것은 이들 화남계형의 분포비가 일본 보다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이들이 가진 문화적 소양이 한국의 ... ...
지구과학- 흑점수는 11.2년 주기로 증감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보이는 것은 흑점이 그 주변보다 온도가 낮기 때문이다.'아! 고구려……'전은 아직도
한국인
의 긍지와 감흥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전시회장에 들어서면서 맨 처음 눈에 들어온 것은 고구려의 상징인 삼족오(세발 달린 까마귀·사진1)라는 것이었다. 천문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태양의 ... ...
이전
76
77
78
79
80
81
82
83
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