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사람
코리안
korean
한인
d라이브러리
"
한국인
"(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의 혈액형은 400가지 이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없으나 아시아인과 미국 인디언에 비교적 많은 항원으로 알려져 있다. ${Di}^{a}$항원은
한국인
의 6.4-14.5%에서 양성으로 보고되고 있고 일본인이나 중국인에서도 유사한 양성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디에고 항원의 인종별 빈도 차이는 미국 인디언이 몽고인종임을 입증하는 대표적인 혈청학적 자료로 ... ...
PC통신 공개자료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소프트웨어가 바로
한국인
1.7이다. 제목에서 풍기듯이 한글이 한국형 워드프로세서이듯
한국인
은 한국형 데이터 베이스용 소프트웨어로 보여진다.우선 대표적인 기능들을 살펴보자. 요즈음 일반적인 경향인 G. U. I(Graphic User Interface)환경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특히 상업용 ... ...
과학기술연구원 유전공학연구소 이대실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나라의 연구 성과를 가져와야 한다는 이야기가 되지요."1%의 투자를 한다면 그 내용은
한국인
이 독특하게 지니고 있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에 바쳐지는 게 좋겠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박사과정까지는 화학 전공이대실 박사는 당초 유전공학 전공자는 아니었다. 연세대 화학과와 대학원을 마친 뒤 ... ...
생태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4월 초 꽃필 무렵부터 가을이 무르익어가는 9월 말까지 이러한 나비를 찾아나서는 '
한국인
시류동호인회'는 '나비에 미친 사람들'로만 모여 있어 이미 아마추어 과학의 수준을 넘어섰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전체 회원 34명 가운데는 외국인도 2명이나 가입돼 있는 데다 그간 이들이 펴낸 '경기도 ... ...
① 말은 동물의 소리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것이다.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언어기호의 표현과 내용의 관계다. '頭'를
한국인
은 /머리/(=머리), 영국인은 /hed/(=head), 프랑스인은 /tet/(=tête)라고 한다. 이렇게 동일한 내용에 대해서 표현이 각각 다른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한마디로 말해서 '頭'를 부르는 ... ...
② 인간과 기계와의 대화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영어라 할 수 있다. 외교 무역 학술활동 등에서 영어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대부분의
한국인
들에게 영어를 읽고 쓰는 일은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훨씬 힘들다. 더군다나 10여년 동안 영어를 공부하고도 외국인과의 대화가 꺼려지는 것이 현실이 아닌가? 이러한 상황에서 필요한 것이 외국어에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음식은 조리법이 발달되지 않아 날 것을 먹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몽골을 방문한
한국인
은 음식 때문에 큰 고생을 한다.몽골인의 결혼풍속은 흥미롭다. 울란바토르 같은 대도시에선 결혼궁전에서 신식 결혼을 한다. 월 평균 80쌍이 결혼한다. 양가 가족이 일렬로 서 있는 가운데 신랑 신부가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월 초 꽃필 무렵부터 가을이 무르익어가는 9월 말까지 이러한 나비를 찾아나서는
한국인
시류동호인회(회장 채수응 경희대의료원장)는 벌써 10년의 역사를 지랑한다. 지난 81년 겨울 현 자문위원 주홍재 교수(57·경희대 의과대 외과)를 중심으로 7명이 모여서 결성됐다. 주교수는 10년동안 회장으로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와 반입자(anti-particle)사이의 대칭성을 연구하는 실험도 그중의 하나다. 그동안 몇몇
한국인
이론 및 실험 물리학자들이 이곳에서 연구하였으며 현재 연구소측은 한국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를 바라고 있다.CERN은 유럽 물리학계의 상징적 존재로서, 적어도 당분간 전세계 입자물리학 실험을 계속 ... ...
PART1 어떤 민족이 무슨 쌀을 먹나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놓고는 나머지 10개월 동안 계속 쌀농사를 짓는다.필리핀에서 생산되는 인디카쌀은 우리
한국인
의 식성에는 맞지 않지만 그들은 이것을 가지고 쌀밥 그리고 볶음밥 등을 만들어 먹는다. 밥알은 부슬부슬하지만 여러가지 채소와 고기를 잘게 다져서 기름에 볶아 먹는 습관은 더위때문에 에너지 ... ...
이전
78
79
80
81
82
83
84
85
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