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못하면 ‘첨족(까치발) 변형’이 생길 수 있다.가장 빈번한 부작용은 염증이다. 몸 바깥의 링이 피부를 관통하는 핀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핀 주위는 물론 뼈에서도 염증이 생길 수 있다. 다리가 휘는 부작용도 주의가 필요하다. 다리 가운데 뼈를 중심으로 안과 밖, 앞과 뒤의 근육 양이 다르기 때문에 ...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수학동아 l2013년 05호
- 세로에 쓰인 두 수의 곱을 대각선으로 나눠진 두 칸에 쓴다.과정 ❸ 격자무늬에서 사선을 바깥으로 연장한 다음, 사선 안에 있는 수를 더한다. 이때 사선을 따라 더한 결과가 10을 넘으면, 10의 자리 수를 앞의 자리로 올려 준다. 2, 12, 5이므로, 12에서 1을 백의 자리로 올린다. 그러면 (2+1)×100+2×10+5×1=32 ...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결정되는 현상을 말한다. 유명한 ‘슈뢰딩거의 고양이’ 이야기다. 슈뢰딩거의 고양이는 바깥에선 안을 볼 수 없는 상자에 갇힌 고양이다. 설상가상으로 상자 안에는 단숨에 고양이의 목숨을 뺏을 수 있는 독가스 살포기가 들어있다. 그런데 이 독가스 살포기가 독가스를 내뿜는 덴 한 가지 조건이 ... ...
- 절대영도보다 낮은 온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온도에서는 열기관이 열을 바깥으로 발산해 더 차가워지는 법이 없으며, 오히려 차가운 바깥으로부터 열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연구팀은 “음의 온도를 만들고 유지하는데 막대한 에너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음의 온도 시스템 안에서는 열효율 100%의 열기관을 쓸 수 있을지 ... ...
- 유물위성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그곳에 놓여 있었던 겁니다. 그것도 정지궤도에 말이죠. 더 놀라운 건, 그 유물의 안쪽과 바깥쪽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서서히 자전을 하고 있었다는 겁니다. 절대 뽑아내서는 안 되는 물건이었다는 말입니다. 어떻게 그 아름다운 회전을 한낱 무지한 인간들의 손으로 흩트려 놓을 수 있단 말입니까 ...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없어도 곧바로 지상에서 이륙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큰 행성의 중력에 끌려 들어가다가 바깥으로 튕겨 나가듯 속력을 얻는 ‘스윙 바이’ 기법을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뭐든 얻는 게 있으면 잃는 게 있는 법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PART 2. ... ...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사람이 배꼽을 중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는 위치에 둔 채 발은 중성자별로, 머리는 바깥쪽으로 두고 선다면 보이지 않는 손이 잡아당기듯이 두 동강나 버린다. 블랙홀에서는 이런 효과가 더욱 두드러진다. 기조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블랙홀에 접근하다가는 소립자 단위로 쪼개져 버린다.또한, ... ...
- 빨대만 있으면 분무기 뚝딱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올라와요. 그리고 이쑤시개로 삼각형 모양 빨대를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서 물이 바깥쪽으로 빠져나가죠. 간단하죠?쌤: 그렇군요. 이쑤시개에 모터를 달거나 프로펠러를 달면 더 쉽게 돌릴 수도 있겠군요. 빨대 하나로 동생과 즐겁게 놀아줬네요.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 물건들을 재활용해서 ... ...
- PART3. 미백 화장품, 얼마나 효과있나과학동아 l2013년 03호
- 피부를 하얗게 만들어준다는 헛된(?) 꿈을 심어주기도 한다. 3월,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바깥 활동이 늘어나는 시기다. 자외선 차단제를 쓰는 것도, 미백 화장품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그러나 이것만은 확실히 기억하자. 하루 이틀 만에 미백 효과가 나타난다는 화장품은 일단 의심부터 해야한다는 ...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앞으로 수백만 년 뒤에 이곳의 가스가 뭉쳐서 행성이 되기 시작할 것으로 내다봤다. 바깥쪽에 있는 차가운 수증기와 먼지는 뭉쳐서 혜성이 된다. 이들 혜성은 장차 행성이 태어났을 때 충돌하면서 물을 제공해줄 수 있다. 지구나 달 등에 있는 물이 혜성에서 기원했다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결과다. ... ...
이전7778798081828384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