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통역"(으)로 총 9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컴, 인공신경망 자동번역 행렬에 동참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02.16
-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연결되지 않은 곳에서도 자동통역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통역 디바이스를 선보일 계획이며, 번역 전문 플랫폼 ’지니 트랜스‘ 등 다양한 서비스로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필자소개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재석 기자. 심재석 기자는 IT전문기자 모임인 ... ...
- 독립법인으로 우뚝선 ‘네이버랩스’, 무엇을 연구하나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7.01.07
- 제공하고자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네이버가 자랑하는 인공신경망 번역기술이 적용된 통역앱 파파고도 네이버랩스가 책임을 집니다. 네이버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면서 번역기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고품질의 데이터 확보가 가능해짐에 따라, V 콘텐츠의 전문번역, 웹툰의 전문 ... ...
- 일명 '김기춘 회춘주사' 3600만원…"일본 원정치료 열흘 뒤에 떠날 수 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1.07
- 기자가 직접 강남에 있는 한 업체를 찾아 상담을 받았다. 상담사는 치료비와 항공료, 통역 및 가이드 비용까지 다 포함해서 3600만원을 불렀다. 적지 않은 금액이지만 “치료를 받으러 가는 환자가 거의 매일 있다고 보면 된다”고 직원이 말했다. 한 병원에서만 1년에 50~60명 정도가 이 이술을 받는 ... ...
- ‘바벨 탑’ 이전으로 돌아갈 인류에겐 어떤 미래가?2016.11.26
- 에 등장하는 바벨 피쉬처럼,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귀에 넣으면 모든 언어가 다 동시 통역되는 보청기형태의 기기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 등장하는 바벨 피쉬 - 터치스톤 픽쳐스 중요한 것은 이번에 GNMT로 업그레이드된 구글 번역 서비스가 분명 ... ...
- 네이버 자동번역, 왜 갑자기 좋아졌을까 바이라인 네트워크 l2016.10.25
- 자동번역기를 ‘랩스페이스’라는 실험 공간을 통해 선보였다가 호평이 이어지자 공식 통역 서비스인 모바일 앱 ‘파파고’에도 이 기술을 적용했습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네이버 자동번역기에 무슨 일이 있었길래 이같은 성능 개선이 가능했던 것일까요? 간단히 말하자면, 통계기반으로 서비스 ... ...
- 일반인이 중국에서 연예게 스타로 뜨려면? 2016.08.26
- 드라마, 방송 등으로 이미 유명세를 탄 뒤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스타의 경우 말고는 통역을 써서 예능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는 없으니 결국 중국어와 중국 문화, 중국 대중의 웃음 코드 등을 이해해야 한다. 중국판 비정상회담 프로그램. - 乐视视频 제공 ●중국어 이상으로 중요한 ‘컨텐츠 ... ...
- “국산 스마트폰 앱으로 평창동계올림픽 언어장벽 낮춘다”2016.07.17
- 한글과컴퓨터가 15일부터 이틀간 제주도에서 개최한 신제품 설명회에서 한 여성이 5개 언어 자동통번역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개발 스마트폰 애플리케 ... 많아질수록 지니톡의 통역 수준 역시 향상될 것”이라며 “향후에는 아랍어, 베트남어 통역 기능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 다국어 서비스 개발 손쉬워졌다… 4개 외국어 음성 DB 공개2016.03.30
- 리모콘이나 내비게이션, 외국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쓸 수 있다. 이영직 ETRI 자동통역연구실 연구원은 “최근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다국어 언어음성DB의 중요성이 한층 높아질 전망”이라며 “국가DB 사업에서 요구하는 고품질 수준으로 완성한 만큼 신규시장 창출 및 ... ...
- [AI 시대가 온다 ①] AI가 미래, 사활 건 IT 기업들2016.03.15
- 5%대에 불과하다. MS는 2014년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일본어 등 10여개 언어 간 실시간 통역이 가능한 번역기를 개발해 인터넷 화상 전화 ‘스카이프’에 적용했다. 음성 비서 서비스 경쟁도 치열하다. 애플이 2011년 ‘시리’를 선보이자 MS는 2014년 ‘코타나’로 맞불을 놨다. 코타나는 같은 해 열린 ... ...
- [알파고 2승] 영화 속 AI, 얼마나 현실화됐나2016.03.11
- AI도 현재로선 바둑 이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 이윤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자동통역인공지능연구부장은 “인간은 잘 모르는 존재에 대해 막연한 공포심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AI가 영화 소재로 자주 쓰이는 것 같다”며 “인간처럼 완전한 자의식을 갖는 AI를 개발하는 건 현재 기술 ... ...
이전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