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있다?슈퍼버그를 이겨내기 위한 약물도 개발되고 있어요. 2015년 미국 노스이스턴대학교
생물
학과의 킴 루이스 교수팀은 내성을 만들지 않는 항생제 ‘테익소박틴’을 발견해 큰 주목을 받았어요. 테익소박틴은 2018년 동물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지요.지금껏 세균에게 내성을 일으킨 항생제 ... ...
[만화뉴스] 진화를 거스르는 거북개미가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지난 3월 24일, 환경이 달라지면 진화 과정에서 얻었던 신체의 변화를 되돌리는 방향으로 진화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미국 조지워싱턴대학교 스콧 파엘 박사가 거북개미 89종의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예요. 유전자 분석 결과 거북개미 89종의 공통 조상이 등장한 건 4500만 년 전이었어 ... ...
[만화뉴스]생선 비늘로 만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매우 친환경적인 거예요.연구팀은 생선 비늘 외에도 목화섬유나 비단실 단백질 등 다른
생물
학적인 물질이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 있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먹지 않고 버려지던 생선 비늘이 플라스틱을 대체하길 기대하고 있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감자의 변색을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어떻게 파란색으로 변하는 걸까요?작년 11월, 독일의 라이프니츠 천연물 연구 및 감염
생물
학 연구소의 클라우디우스 렌츠 박사팀은 ‘주사위환 각버섯’ 등 여섯 종의 환각버섯을 실험하여 버섯을 푸르게 만드는 물질을 찾아냈어요. 그 주인공은 바로 ‘실 로시빈’이라는 물질이에요. 연구팀은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8화. 바이러스와 싸우는 군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유사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군론, 바이러스의 모양을 예측하다!1962년 미국의
생물
학자 도널드 캐스퍼와 영국의 화학자 아론 클루그는 왓슨과 크릭의 발견을 발전시켜 바이러스 단백질 껍질들이 작은 정삼각형들로 이뤄진 ‘가짜 정이십면체’ 구조를 따른다는 ‘준평형 원리’를 ... ...
ADHD, 이제 게임으로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개발된 치료용 게임은 무수히 많다. 미국 버밍엄 앨라배마대 정신과학 및 행동신경
생물
학과 연구팀이 2017년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자폐 치료용으로 개발된 모바일 앱이 700개가 넘는다. 이중 렛츠 페이스 잇처럼 임상시험 결과가 있는 것은 4.9%에 불과하다. 바꿔 말하면 95.1%는 효과에 관한 명확한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피부세포를 손상된 신경세포로 바로 대체하는 직접교차분화기술을 개발해 유럽분자
생물
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 6월 23일자에 발표했다. doi: 10.7554/eLife.52069김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만드는 유전자(OCT4)와 신경세포를 만드는 유전자(LHX3) 두 가지를 피부세포에 주입해 ... ...
최적의 방역 정책 만드는 비결은? 수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일하면서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이 협업해야 전염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걸 깨달았어요.
생물
학자와 역학자, 의사가 정보를 주면 수학자가 미래 감염자 수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 전문가가 정책을 실행하거든요. 한국 의료계에서도 수학자와의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기에 제 경험으로 도움을 ... ...
[포토뉴스] 인공신경망으로 묘기 부리는 드론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입력했을 때 경로를 찾는 최적의 방법을 스스로 학습하도록 했습니다. 인공신경망이란
생물
의 신경 구조를 흉내내 만든 학습 알고리듬으로, 데이터의 패턴을 쉽게 찾아낼 수있습니다. 그 결과 비슷한 배터리 효율을 보이면서도 곡예 비행을 거뜬히 할 수 있었죠.연구를 이끈 다비데 스카라무차 ... ...
[때문에 과학] 2탄. 큰 귀 코끼리, 짙은 피부 북극곰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면적이 넓기 때문에 몸의 열을 더 빨리 식힐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이런 진화를 영국의
생물
학자 조엘 알렌과 독일의 동물학자 카를 베르그만의 이론에서 만들어진 ‘알렌 베르그만 법칙’으로 설명한다. 이 법칙에 따르면 더운 지역에 사는 동물은 돌출 부위가 크고 몸의 상대적인 크기는 작다. 즉 ... ...
이전
86
87
88
89
90
91
92
93
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