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EU┃ Exo Mars 2년 뒤 떠나는 엑소마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2022년 8~10월로 발사가 연기됐다. 2016년 이어 두 번째 발사엑소마스는 ‘화성의 외계
생물
학(Exobiology on Mars)’의 약자로, 이름처럼 화성에서 생명체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엑소마스 프로그램이 첫 발을 뗀 건 2016년이다. 그해 3월 ESA와 로스코스모스는 엑소마스의 첫 번째 임무로 ‘가스추적궤도선(TGO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피부세포를 손상된 신경세포로 바로 대체하는 직접교차분화기술을 개발해 유럽분자
생물
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이라이프(eLife)’ 6월 23일자에 발표했다. doi: 10.7554/eLife.52069김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만드는 유전자(OCT4)와 신경세포를 만드는 유전자(LHX3) 두 가지를 피부세포에 주입해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연구를 하는 것이 특이하다고 느끼기 때문일 거예요. 하지만 똥오줌에 관한 연구는
생물
학, 의학, 환경공학 등 여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해요. 양 연구원이 참여한 연구 중에 국제적인 똥 대란 현상에 관한 것이 있는데, 이는 현재 전세계에서 생산하는 가축의 똥이 점점 늘어나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을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크리스 토마스는 2004년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의 온도가 2°C 상승하는 2050년이면 모든
생물
종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할 때다. 용어정리* 증발산량 : 강수량과 물이 대기로 증발하거나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인 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오랜 세월 숙주
생물
의 유전물질을 뺏어 점점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숙주세포의 DNA의 정보를 RNA로 옮기고, 다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적 체계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본 것처럼 그간 ... ...
바이러스는
생물
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다.다만 러시아와 북한은
생물
무기금지 협약에 서명했음에도 불구하고 비공식적으로
생물
학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된다. 따라서 핵무기 개발과 마찬가지로 여러 국가에서 비공식적으로 바이러스 무기 연구가 진행되고 있을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다. 유전공학의 비약적인 ... ...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DNA나 RNA를 유전체로 가진다. 바이러스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런 유전체를 복제해 증식하는 것이다. 바이러스가 유전체를 복제하는 일련의 ... 0%가 복제가 불가능한 결손바이러스다. 복잡하고 정교한 유전체 복제 과정을 거치는 다른
생물
과 정반대의 전략을 구사하는 셈이다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낸 뒤 식염수를 공급해 세포를 배양했다. 이는 19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프랑스
생물
학자 알렉시 카렐이 고안해낸 조직배양 방법을 응용한 것이었다.연구팀은 이 세포에 멈프스바이러스가 감염된 소의 혈청을 주입한 뒤 멈프스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중 하나인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측정했다.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면역세포에 ‘식세포(phagocyte)’라는 이름을 붙였다. 오늘날 체내에서 병원체나 비
생물
체, 노화세포 등을 처리하는 면역세포를 모두 식세포라 칭한다. 당시 혈청만이 병원체를 죽인다고 주장하던 과학자들은 메치니코프의 성과를 평가절하했다. 식세포가 죽은 병원체를 처리하는 청소부일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시행됐다. 환자에게서 얻은 시료를 백신처럼 활용한 셈이다. 이런 방법은 현대
생물
학의 관점으로 보면 위험천만한 일이다. 병원성이 온전한 바이러스를 체내에 접종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두법으로 천연두를 예방하려다 되려 천연두에 걸려 사망한 사례도 있었다고 ... ...
이전
87
88
89
90
91
92
93
94
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