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EU┃ Exo Mars 2년 뒤 떠나는 엑소마스과학동아 l2020년 08호
- 2022년 8~10월로 발사가 연기됐다. 2016년 이어 두 번째 발사엑소마스는 ‘화성의 외계생물학(Exobiology on Mars)’의 약자로, 이름처럼 화성에서 생명체를 찾는 것이 목적이다. 엑소마스 프로그램이 첫 발을 뗀 건 2016년이다. 그해 3월 ESA와 로스코스모스는 엑소마스의 첫 번째 임무로 ‘가스추적궤도선(TGO ... ...
- [기초과학의 힘] RNA 연구단,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완벽한 유전체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20년 08호
- Vero cell)를 숙주세포로 삼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배양한 것으로, 전파 능력이 없고 생물안전 등급도 2등급을 만족했다.RNA 연구단은 샘플을 받기 2주 전부터 실험 설계에 돌입했다. 실험 절차부터 장비 배치까지 중간에 막히거나 꼬이는 단계가 없도록 심혈을 기울였다. 덕분에 샘플을 받고 3일 ... ...
- [에디터노트] Why Explore Spa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흑사병이 유럽을 휩쓸던 400여 년 전, 독일의 한 마을을 다스리던 백작은 작은 생물(미생물)을 볼 수 있는 렌즈를 연구하던 인물을 성으로 데려와 연구를 지원했다. 성주가 흑사병으로 고통받는 마을 주민은 돌보지도 않고 쓸데없는 일에 돈을 낭비한다며 비난이 거셌다. 그런데 이 렌즈 연구는 결국 ... ...
- [돌아가다] 고래를 보고 싶다면 바다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현재 전 세계 수족관에 갇힌 고래는 약 3000마리! 다행히 요즘은 우리의 상황이 많이 알려져서 수족관의 고래를 도와주려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늘고 있 ... 고래를 사육하지도 않을 거고, 고래를 불법으로 잡는 일도 줄어들겠죠! *출처 :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않은 2018년 5월, 애덤 프랭크 미국 로체스터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학술지 ‘우주생물학’에 수학 모형을 이용해 인류가 맞이할 수 있는 4가지 시나리오를 발표했는데, 프랭크 교수 역시 웹 뉴스 ‘커먼 드림즈’와의 인터뷰에서 “2100년 부근에 급격한 기후변화가 일어날 것”이라며 2100년을 ... ...
-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하수처리장에서 발견된 거대 바이러스인 클로스노이바이러스는 오랜 세월 숙주 생물의 유전물질을 뺏어 점점 커진 것으로 밝혀졌다. 숙주세포의 DNA의 정보를 RNA로 옮기고, 다시 RNA를 단백질로 번역해 단백질을 합성하는 유전적 체계를 완벽하게 갖추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본 것처럼 그간 ...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다. 오늘날 연구자들이 위험한 물질을 다룰 때 사용하는 생물안전작업대(biohazard hood) 같은 장비가 당시에는 없었기 때문에 가까스로 감염을 피해가며 연구했던 기억이 있다.LCMV는 여러모로 특별한 바이러스다. 일반적으로 쥐에게서 수막염을 일으키지만, 세포독성 T세포가 ... ...
- 소나기가 내리면 목숨을 걸고 튀어라! 호주 개구리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지원하지 않는 기능이기에, 본받을 만했습니다. 반면 지사탐 앱은 개구리 외에 다양한 생물 데이터를 모을 수 있고, 어디서 어떤 정보를 모아야 하는지 연구자가 시민에게 알려준다는 장점이 있지요. 롤리 연구원도 “지사탐 앱은 연구자가 주도해 특정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시민들이 모으는 것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옛말로 돼지를 의미하던 ‘돝’에서 유래했다고 보고 있어요. 품종이 낮거나 야생생물을 의미할 때 붙는 ‘돌(石)’이라는 단어에서 기원했다는 설도 있지요. 표준국어대사전엔 돌고래의 동의어로 ‘물돼지’, 바다의 돼지를 뜻하는 ‘해돈(海豚)’ 등이 있습니다. 돌고래를 영어로는 ... ...
- 기후변화에 무관심한 정부 우리가 빼앗길 미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크리스 토마스는 2004년 발표한 논문에서 지구의 온도가 2°C 상승하는 2050년이면 모든 생물종의 3분의 1 이상이 멸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그 3분의 1에 인간이 없으리라는 보장은 없다. 이제는 정말 ‘살기 위한’ 정책이 필요할 때다. 용어정리* 증발산량 : 강수량과 물이 대기로 증발하거나 ... ...
이전8788899091929394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