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추측했다. 이후 그 미지의 성분이 박테리오파지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박테리오파지는
생물
학자들에게 유용한 실험 재료로 자리매김했다. 박테리오파지를 박테리아 배양액으로 쉽게 키울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짧은 시간에 증식해 실험 결과를 곧바로 얻어낼 수 있다.델브뤼크와 루리아는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항체만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매달렸다. 쾰러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분자
생물
학연구소에서 연구 중이던 밀스테인의 연구실에 1974년 합류해 2년간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두 연구자는 체내에서 항체를 생산하는 B림프구(B세포)에 주목했다. 항원이 들어오면 B림프구는 항원 결정 부위와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위해 연구소와 제약사, 정부가 힘을 합쳐 연구를 전개하고 있다”며 “최근 20년간
생물
의학 연구 기술이 크게 발달한 만큼 코로나19의 특징을 분석하고 방어물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노벨상 수상자 특별 인터뷰] 피터 도허티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인수공통 감염 바이러스다. 오늘날 연구자들이 위험한 물질을 다룰 때 사용하는
생물
안전작업대(biohazard hood) 같은 장비가 당시에는 없었기 때문에 가까스로 감염을 피해가며 연구했던 기억이 있다.LCMV는 여러모로 특별한 바이러스다. 일반적으로 쥐에게서 수막염을 일으키지만, 세포독성 T세포가 ... ...
[쉬러가다] 바다 쉼터로 간 흰고래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모든 고래가 바다로 돌아갈 수는 없어. 수조에서 너무 오래 살아왔거나, 자연으로 돌아가기에는 늙고 지친 고래들도 있기 때문이지. 이런 고래를 위해 세계 ... 퍼핀을 접하게 해요! 야생에 쉽게 적응하도록 아이슬란드 바다 생태계에서 만날 수 있는
생물
들에게 미리 노출시키는 거예요 ... ...
Chapter 02 .정체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Chapter 2. 정체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났을까바이러스는
생물
일까 무
생물
일까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바이러스는
생물
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
바이러스는
생물
일까 무
생물
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1 사람은 ‘세포’라는 기본단위로 이뤄져 있으며 2 음식을 섭취해 에너지를 보충하는 ‘물질대사’를 하고 3 이에 따라 세포는 수를 늘리며 ‘생장’을 한다.4 이 와 ... 계속해서 주목받고 있다. 아직 바이러스가
생물
이란 걸 인정받진 못했지만, 바이러스는 점점
생물
에 다가가고 있다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케네스 스테드만 미국 포틀랜드주립대
생물
학과 교수는 2018년 2월 국제학술지 ‘천문
생물
학’에서 우주 공간에 바이러스가 존재할 가능성은 충분하지만, 현재 우주 생명체 탐색 방법이 세포성 생명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바이러스를 발견하기 어려울 뿐이라고 주장했다. 우주에 어떤 ...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곧 내 것이 아닌 표식을 가진 물질을 인식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과정이다.
생물
이 면역시스템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은 16세기 말 처음 알려졌다.당시 이탈리아 파도바대의 히에로니무스 파브리치우스라는 연구원이 닭을 해부하다가 꼬리 아래에서 새로운 부위를 발견했고, 이를 ... ...
1987년 항체 다양성을 유전자로 설명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생리의학상 최초로 아시아 출신 과학자에게 수여됐다. 주인공은 일본의 분자
생물
학자이자 면역학자인 도네가와 스스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 “믿기지 않는다”던 그의 수상 소감과 달리, 학계는 그가 면역학 발전에 기여한 바에 비하면 너무 늦은 수상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도네가와는 ... ...
이전
89
90
91
92
93
94
95
96
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