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스페셜
"
하지
"(으)로 총 1,22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환경에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하게끔 인도하는 몸의 지혜 같은 것은 존재
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어린이가 유해한 음식에 노출되지 않게 하는 규제는 당연하고 시급하며 특히 “가장 먼저 학교에서 경쟁보다는 건강에 중점을 두는 체육교육이 의무화되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숱한 후보 물질들이 임상에서 실패해 빛을 보지 못했다. 너무 흔한 물질이라 아무도 주목
하지
않았던 숙신산이 ‘흙 속의 진주’로 밝혀지기를 바란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늘 거절이 어려운 당신에게
2018.08.05
그렇다고 의견을 내세우면 독하다거나 주제 넘는다는 평가를 받기 쉽다고 한다.
하지
만 약자가 비교적 큰 부작용 없이 쉽게 자신의 주관을 밀어붙일 수 있을 때가 있었는데 바로 ‘동료’를 위해 이야기할 때, ‘전문 지식’이 있을 때, 또 해당 분야에 ‘열정’을 가지고 있었을 때였다고 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겸손해야 상대를 설득한다
2018.07.14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인식하면, 상대의 실수 역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조롱
하지
않을 것 같다. 설득하는 사람의 태도도 중요하다는 이야기다. *지뇽뇽 작가의 신작. 나에게 처음으로 따듯해져보는 자기자비 연습 이 출간되었습니다. [1] Hamilton, L. C. (201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잃어버린 물질을 찾아서
2018.07.03
그런데 앞에서 은하간공간에서는 신호가 워낙 미약해 가시 물질을 관측할 수 없다고
하지
않았나. 산소 7가 양이온의 전자가 X선 흡수 연구자들은 퀘이사가 내보내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WHIM의 뜨거운 부분에서 중입자 존재를 증명했다. 퀘이사(quasar)는 은하 중심부에 있는 거대블랙홀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7.01
한국 과학과 과학자를 호명해 줬다는 이유로 이번 선정을 반기는 사람도 많다.
하지
만 실은 정신을 번쩍 차려야 할 일일지 모른다. 고공행진하는 표지의 나무 사진은 눈에서만 달콤한 '아이캔디(eye candy)'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운명의 상대'라는 믿음이 클수록 연애 어렵다
2018.06.30
근본적으로 나와 다른 사람들이며 서로 통하기 어려울 것이라고도 생각했던 거 같다.
하지
만 커서 우연히 연구 설계나 통계와 관련된 일들을 하면서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나는 숫자와 관련된 일을 좋아하고 통계 프로그래밍도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내가 좋아하는 분야는 딱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삶을 소진해 탄생시킨 것임을 생각한다면 그들의 식어버린 감성도 따뜻하게 바라봐야
하지
않을까. “이제는 단 한 줄의 시도 읽기가 어려워졌다. 최근에 셰익스피어를 읽어보려고 했지만 너무 지루해서 구토가 날 정도였다. 미술과 음악에 대한 취미도 완전히 잃어버렸다. … 내 정신은 온갖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 나이 먹도록 아무 것도 한 게 없어?
2018.06.16
본인의 친구가 자신이 원하는 답을 찾아 이와 같은 방황을 했다면 “넌 아무것도 성취
하지
못했구나. 네 경험은 다 쓸데없는 것들이야”라고 할 것인지 물었다. 깜짝 놀라며 그러지 않을 거라고 했다. 많이들 하고 있더라도 답을 찾기 위해 길을 떠나는 건 여전히 많은 용기를 필요로 한다. 방황에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말이다. 소위 ‘비싼 조직(expensive tissue)’으로 불리는 뇌는 무게로는 체중의 2%에 불과
하지
만 쉬고 있을 때 전체 에너지 소모량의 20%나 차지한다. 따라서 뇌가 클수록 에너지 소모량도 늘어나기 마련인데 상대적으로 에너지를 더 많이 쓰는 신피질이 더 가파르게 늘어나므로 에너지가 더 ... ...
이전
88
89
90
91
92
93
94
95
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