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UNIST, 자외선 손상입은 DNA 복구 방식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DNA 결합 단백질(UV-DDB)'이라는 단백질이다. 기존에는 UV-DDB가 먼저 손상 부위에 결합한
뒤
이를 XPC에 넘겨주는 순차적 작동 방식으로 이해돼 왔다. 알려졌던 것과 달리 연구팀은 UV-DDB와 XPC가 복합체를 형성해 공동으로 DNA를 탐색하고 XPC가 UV-DDB의 결합력과 탐색 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 ...
중심별 방사선 폭발 유도해 죽음 자초하는 외계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외계행성 HIP 67522 b가 중심별 HIP 67522 주변을 공전하면서 자기에너지를 축적한
뒤
별을 향해 에너지 파동을 보내 대규모 플레어가 발생하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 Danielle Futselaar 제공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407광년(1광년은 빛의 속도로 1년 이동한 거리) 떨어진 별 HIP 67522의 주변을 매우 가까운 ... ...
수포자 사라질까…뇌 특정 영역 전기자극했더니 "수학 학습 효과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등을 연결하는 '전전두엽-두정엽 네트워크'의 연결이 약했던 사람들이 전기 자극을 받은
뒤
수학 실력이 크게 향상됐다. 특히 GABA 수치가 낮은 사람일수록 전기 자극의 효과는 더 두드러졌다. GABA는 뇌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이미 뇌 연결이 잘 되어 있던 ... ...
더위 참으면 병된다…열사병 의심되면 즉각 대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돼야 하고 이송 전까지는 시원한 장소에서 옷을 느슨하게 한
뒤
체열이 발산되도록 해야 한다. 주변 사람들은 미지근한 물에 적신 수건으로 환자 전신을 닦아 체온을 낮추고 부채나 선풍기로 피부 수분을 증발시켜 열이 식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 목, 겨드랑이, 서혜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올챙이 뇌에 전극 이식해 뇌 형성 추적
동아사이언스
l
2025.06.28
전극이 뇌 발달에 해롭지 않다는 점도 입증됐다. 특히 아홀로틀에서는 뇌가 손상된
뒤
재생되는 과정을 전극으로 추적할 수 있었다. 외부에서 전기 자극을 가했을 때 재생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도 관찰됐다. 뇌 발생뿐 아니라 신경 재생 연구에도 이 기술이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능 미적분·기하 선택하면 '이과생'이라는 억지
2025.06.18
라디오 시사프로그램에서 “초중고 모두 이과를 준비한 학생이 수능을 치른
뒤
학교 간판을 따겠다고 인문대학으로 진학해 간판만 걸어놓고 휴학해 반수한다.”는 이주호 장관의 발언은 무책임하고 비겁한 것이었다. 교육부의 정책 실패를 고등학생의 잘못된 선택 때문이라고 우긴 것이다. ... ...
[과기원NOW] KAIST, 자석으로 전류없이 정보 전달 '마그논 비가환 이론'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크게 개선했다. 특히 '롤투롤' 방식으로 긴 금속 포일에 그래핀을 연속적으로 코팅한
뒤
400도(℃)에서 열처리하는 단순한 공정만으로도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내구성을 확보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즈'에 최근 게재됐다. ■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뇌과학과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국가전략기술 혁신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22일 대전 유성구 KAIST에서 열린 '국가전략기술 혁신포럼'에서 축사하고 있다. KAIST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해설사의 상설전시관 안내를 받으며 체험으로 과학의 재미를 배우는 시간을 보낸
뒤
과학관에서 준비한 사진액자와 기념품을 받았다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4컷 만화] 콜록콜록! 성대 아파도 말할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연구팀은 사람이 말한 문장과 코일에서 발생한 신호를 컴퓨터에 입력해 학습시킨
뒤
8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했어요. 참가자들은 5가지의 문장을 20번 반복해 속삭였지요. 그 결과 컴퓨터는 스티커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94.68%의 정확도로 문장을 맞혔습니다. 첸 교수는 “성대 질환이 ... ...
[기획] 메테인, 어디서 나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가 인위적으로 발생하는데, 농축산업에서 24%의 메테인이 나오고 에너지 분야와 폐기물이
뒤
를 잇습니다. 나머지는 습지 등에서 자연적으로 나오는 메테인이죠. 농축산업에서 나오는 메테인은 가축을 키우거나 농사를 지을 때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소와 같은 가축이 풀이나 사료를 먹고 소화하는 ... ...
[가상 인터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나무, 나이 최초 공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라이다 기술을 통해 은행나무의 정보를 알아냈어. 라이다는 물체에 레이저를 쏜
뒤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물체의 위치를 확인하는 기술이야. 국립산림과학원은 라이다 기술을 통해 은행나무의 모습을 컴퓨터에 똑같이 만들 수 있었지. 그리고 컴퓨터를 이용해 은행나무의 높이가 38.8m로 ... ...
[만화뉴스] 매미충의 분비물, 투명 망토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8호
들어가 버려. 사람뿐 아니라 자외선을 인식하는 새나 파충류의 눈에도 브로코솜
뒤
에 있는 물체가 보이지 않게 되는 거야. 그렇다면 매미충은 왜 브로코솜을 바르는 걸까?연구팀은 매미충이 브로코솜을 몸에 발라 몸을 투명하게 만들고 포식자로부터 몸을 숨기려 한다고 추측했어. 연구팀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세상에서 제일 재밌는 최애캐 놀리기
포스팅
l
20250701
단신단신단신단신단신단신단신단신 2차창작 커플링 최다 보유 캐릭터 근데 왜 NL보다 BL이 더 많은거야..??
뒤
에가서 폭주하는게 킬포에욥ㅋㅋㅋㅋㅋㅋ왜냐하면 무이치로나 토게라던가 어제알은 카이도라던가 이런캐들은 잘 안보니까.. (참고:지금 터닝메카드 보고 있습니다 오마이 갓 이녀석들 머리가 참 크군요 하하 쪼그매보여서(실제로 작음) 귀엽네요 ...
아름다운 절이 불에 탔었다고?
기사
l
20250701
했지만 그마저도 처참히 실패했고요.. 화재로 낙산사 동종이 녹았고 보물로 지정되었던 그것은 지정 해제되어버렸습니다. 그후 2년
뒤
2007년. 다행히도 복원 공사를 진행했습니다! 낙산사의 모습은 가장 번성했던 조선시대 모습으로 결정! 2007년 4월 5일 완공합니다!! 이번엔 전처럼 타지 않게 불에 강한 나무를 심거나 바람길을 뚫는 등의 조치 ...
기사
l
20250701
카메라로는 보이지 않는 환경에서 얼음이 있는지 확인하는 역할을 합니다. 어쩔 수 없는 사실이기도 하지만, 다누리가 달의 앞과
뒤
, 두면 모두 다 찍어야 하기에 달의 뒷면으로 간 순간 통신 및 데이터 공유가 끊깁니다. 그리하여 다누리가 앞에 있을 때만 통신 하고 데이터를 공유한다고 하네요! 그 다음은 아리랑 2호, 5호, 그리고 3호입니다. ...
양자역학의 고양이, 슈뢰딩거의 고양이
기사
l
20250630
내에 붕괴할 가능성이 1/2인 방사능 물질이 있으며 방사능이 붕괴되면 청산이 든 병을 부숴버리는 기계가 있을 때 그 상자를 1시간
뒤
열면 고양이는 죽어있느가, 살아있는가 이다.'그런데 살면서 동시에 죽은 고양이는 있지 않고, 고양이는 미시세계(원자)로 이루어진 존재이므로 양자역학에 따라 살면서 죽은 고양이가 있어야 한다.'고 쉬리딩거는 설명했 ...
제주행 비행기 김포공항이나 김해공항이나 별 차이 안나는 이유는?
기사
l
20250629
국내선은 거리가 잛아서 연료효율성을 감안해 고도나 속도를 최대치로해서 비행하지 않는다 비행기가 이륙해서 일정고도에 도달한
뒤
곧바로 하강해서 착륙할준비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살짝에 속도나 고도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기사는 취제대행소 왱님의 영상을 참고했습니다 영상링크는 아래에 있습니다. 긴글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