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70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난청 유전자 지도 구축…진단율 20% 향상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관련 주요 유전자 ‘GJB2’ 등을 ‘단일 유전자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로 확인한
뒤
타깃패널검사, 전장엑솜검사로 더 넓은 범위의 유전자들을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전장유전체분석을 시행했다. 단계적 분석 결과 감각신경성 난청 394가계 중 219가계의 유전적 원인이 규명됐다. 기존 검사 ... ...
UNIST, 자외선 손상입은 DNA 복구 방식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DNA 결합 단백질(UV-DDB)'이라는 단백질이다. 기존에는 UV-DDB가 먼저 손상 부위에 결합한
뒤
이를 XPC에 넘겨주는 순차적 작동 방식으로 이해돼 왔다. 알려졌던 것과 달리 연구팀은 UV-DDB와 XPC가 복합체를 형성해 공동으로 DNA를 탐색하고 XPC가 UV-DDB의 결합력과 탐색 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 ...
중심별 방사선 폭발 유도해 죽음 자초하는 외계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외계행성 HIP 67522 b가 중심별 HIP 67522 주변을 공전하면서 자기에너지를 축적한
뒤
별을 향해 에너지 파동을 보내 대규모 플레어가 발생하는 모습을 표현한 그림. Danielle Futselaar 제공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407광년(1광년은 빛의 속도로 1년 이동한 거리) 떨어진 별 HIP 67522의 주변을 매우 가까운 ... ...
수포자 사라질까…뇌 특정 영역 전기자극했더니 "수학 학습 효과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등을 연결하는 '전전두엽-두정엽 네트워크'의 연결이 약했던 사람들이 전기 자극을 받은
뒤
수학 실력이 크게 향상됐다. 특히 GABA 수치가 낮은 사람일수록 전기 자극의 효과는 더 두드러졌다. GABA는 뇌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다. 이미 뇌 연결이 잘 되어 있던 ... ...
더위 참으면 병된다…열사병 의심되면 즉각 대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돼야 하고 이송 전까지는 시원한 장소에서 옷을 느슨하게 한
뒤
체열이 발산되도록 해야 한다. 주변 사람들은 미지근한 물에 적신 수건으로 환자 전신을 닦아 체온을 낮추고 부채나 선풍기로 피부 수분을 증발시켜 열이 식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 목, 겨드랑이, 서혜부 ... ...
면역항암치료 부작용·재발 미리 본다…'백혈병 모사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첸 교수는 “면역세포가 암세포와 접촉한
뒤
하나씩 제거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게 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차세대 ‘4세대 CAR-T 세포’가 낮은 용량에서도 기존보다 우수한 암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또 CAR-T 세포가 직접 ... ...
해군 함정 은밀한 작전 돕는다…내부 소음 예측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기술은 함정 내부에 설치된 가속도센서를 통해 접수판의 진동 정보를 실시간 계측한
뒤
방사효율과 주파수 특성을 결합해 수중방사소음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최소한의 센서로 최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와 진동 해석 기법을 활용해 진동 특성을 추출하고 센서 최적 배치 ... ...
'숨 턱턱' 폭염은 이제 일상…유럽선 46도, 한국은 이미 열대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볼로냐 인근에서 47세 건설 근로자가 태양 아래서 장시간 근무하다 갑자기 쓰러진
뒤
사망했다. 눌리스 대변인은 현재 유럽에 강하게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서유럽에서 심각한 폭염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기압은 북아프리카에서 올라온 뜨거운 공기를 유럽 상공에 가둬두고 ... ...
시력 안좋은 혹등고래의 거대한 눈…네이처 선정 6월 최고의 과학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역할을 하지만 기후변화로 번식이 어려워졌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해조류를 재배한
뒤
지아로스 섬의 해저에 이식한다. 해저 숲은 복원하면 해조류에 의존하는 다른 식물과 동물도 돌아올 것으로 기대된다. AFP/Getty 제공 ● 화산 구름 6월 17일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의 레워토비 라키-라키 ... ...
지구상에서 가장 어린 포유류는 '노르웨이 레밍'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종으로 분화해 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노르웨이레밍과 서시베리아레밍은 갈라진
뒤
서로 교잡 흔적이 전혀 없었다. 일반적으로 포유류 종은 분화 이후에도 일부 유전 물질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에 확인된 두 레밍은 오랜 시간 유전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유지해 온 것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