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것을 의심하는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단순 소형화에 의존한 전자소자의 개발은 10년
뒤
에는 그 한계점에 도달한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나노소자가 개발되고, 이를 제어할 논리가 개발되면 지금보다 훨씬 영리하고 편리한 전자제품이 출현할 것이라고 많은 과학자들은 믿고 있다 ... ...
적도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문제(1)의 답은 F다.물론 정오의 고도가 오전 10시보다 더 높지만 차이가 크지 않다. 한달
뒤
정오 해의 고도는 더 높아야 하므로 문제(2)의 정답은 B다. 정오 해의 고도는 계속 높아져 추분이 되면 천정(머리 위)으로 오게 된다.그리고 해가 수직으로 뜨기 때문에 문제(3)의 정답은 B다. 구체적인 예로,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우울증 등과 관련된다고 보이는 유전자를 이식하거나 유전자의 기능을 말살시킨
뒤
이들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관련 유전자를 찾아내는 연구가 활기를 띄고 있다"고 말했다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자신이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연구나 이번 발표에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먼저 밝힌
뒤
순수한 의학 연구자로서 이번 발표의 의미를 평가했다. 보로 교수는 "일부 연구자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유전질환을 연구할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은 유전질환자를 직접 연구하는 것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방법 같아요. 5-6년 전 애플사가 미래 컴퓨터의 상상 버전을 발표한 적이 있는데 목
뒤
로 꼽는 것이더라구요. 사람의 시각을 모니터로 대용할 수 있다면 그건 대단한 진보잖아요. 그런 상상들이 우리가 생각한 것 이상으로 빠르게 현실로 다가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권교수_ 가상현실의 3요소는 ... ...
비행기 바라보다
뒤
로 넘어지는 펭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남극 상공을 통과하면서 목격했다고 전해져 신빙성이 더해졌다. 몇몇은 펭귄이
뒤
로 넘어져서도 비행기를 쳐다본다고까지 주장했다.과학자들은 이것이 사실이라면 펭귄의 번식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새끼를 가진 펭귄은 보금자리에서 떠나지 않는데, 비행기 때문에 넘어진다면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앞
뒤
바퀴 모두에 제동이 걸리도록 하면 더욱 안정적이지 않을까. 그러나 아직 앞
뒤
바퀴 모두 제동되는 킥보드는 없다고 한다.그러나 이런 위험성은 킥보드만의 문제가 아니다.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등 대개의 바퀴를 달고 있는 장치들도 안전성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유독 킥보드만 문제가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의해 살해되지만, 노모와 그녀의 정부가 몇년 전 아들 노먼에 의해 살해됐다는 사실이
뒤
늦게 밝혀진다. 연쇄 살인은 다중 인격자인 노먼이 자신의 어머니로 인격 전환된 상태에서 저지른 일인 것이다. 공포영화의 이정표이자, 작가주의, 정신분석학, 페미니즘 등 온갖 영화 논쟁의 중심에 섰던 ... ...
농구 막슛 65% 성공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스냅으로 공에 역회전을 준 것이다. 왜 농구공에 역회전을 거는 것일까.농구공이 바스켓
뒤
의 백보드를 맞는다고 상상해보자. 이때 슛한 공은 백보드와 각을 이루게 된다. 회전이 걸리지 않은 공은 백보드에 맞는 순간과 백보드에서 다시 튀어나가는 순간에 백보드와 이루는 각이 같다. 그래서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염기서열이 처음으로 해독돼 1999년 11월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또 5개월
뒤
에는 21번 염색체 염기서열이 독일과 일본 연구팀의 공동작업으로 완성돼 네이처 2000년 5월호에 발표됐다.2000년 6월 26일 다국적팀의 책임자 콜린스박사와 셀레라의 벤터박사는 미국 에너지성의 주최로 백악관에 ... ...
이전
1049
1050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