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보유
저장
관리
보호
침전물
갈무리
d라이브러리
"
보관
"(으)로 총 1,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반도체산업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비해 S램(static RAM)은 전원만 끓어지지 않으면 그 속의 정보가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고
보관
되는 램반도체. D램에 비해 회로구성이 복잡해 4메가D램이 1메가S램과 기술수준이 비슷할 정도다.1세대 에서 5세대 컴퓨터 까지수십만개의 진공관으로 만든 에니악은 1세대 컴퓨터의 대표격이다. 50년대 ... ...
'극초미니' 탐침현미경 STM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또 외부의 오염과 진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고도의 진공실을 만들어 그곳에 STM을
보관
했다. 사람의 목소리와 같은 미세한 진동이나 인체의 체열과 같은 미미한 열원으로부터도 STM을 격리시켰다. 사실 STM은 초방진과 초진공을 요구한다. 만약 바닥이 그냥 진동하는 정도가 1만이라면 ${10}^{-2}$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각막을 사용해야만 수술에 성공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 그 뒤 수술기법의 발전, 각막
보관
방법의 개선, 각막 제공 체계의 확립 등으로 20세기 중엽이 되면서 각막 이식수술은 치료 효과를 인정받게 된다. 거부반응의 원인 발견19세기 후반에 이루어진 외과 분야의 비약적 발전 즉 마취법의 ... ...
(1) 「3년만에 20만」 통신인구 폭발적 증가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없으나, 각 개인에게 사서함(우편사서함과 동일한 기능)이 주어져 자신에게 온 편지가
보관
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커다란 변화다. 그리고 언제 어디서나 컴퓨터와 모뎀만 있다면 자신에게 온 편지를 볼 수 있다는 점과 기존 우편물과 같이 우표붙이는 번거로움이 없어진 점, 한꺼번에 많은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한국에서 HLA타입이 같은 사람이 있는지를 알아봐달라는 것이었다. 결국 성모병원측이
보관
하고 있던 HLA타입에서도 이 어린이와 같은 사람이 없어 이식은 성사시키지 못했지만 이 일을 계기로 시카고 한인사회에서는 HLA타입을 저장해놓는 골수은행설립 운동이 시작됐다.장기이식이 성사되는데 ... ...
팔만대장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우리가 보기에는
보관
한다고 손도 못 대게 하기보다는 가끔씩 인쇄를 하는 것이
보관
에 더 이롭다. 흔히 먹을 묻혀 찍어 내기만 하면 인쇄가 끝나는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 과정은 1백80여 단계로 분류될 만큼 섬세한 과정을 거친다. 이런 과정을 거쳐 한번씩 먼지를 털어내고 먹기운을 갖는 것이 ... ...
대덕연구학원도시 구상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일은 한국표준연구소에는 길이 무게 부피 세가지의 일차표준원기(一次標準原器)가
보관
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KIST로부터 이관된 것인데 동양에 하나밖에 없다. KIST 창립을 기념하기 위하여 존슨 미국대통령이 이 일차표준원기를 KIST에 기증하였던 것이다.김박사와 관련하여 기억에 남는 것은 ... ...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틀림없다. 두번째 예방법은 중요한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항상 백업(backup)받아 따로
보관
해두는 것이다. 백업디스켓이 있으면 바이러스 피해 뿐만 아니라 컴퓨터 조작 실수로 파일을 지워버렸을 때도 안심이다.셋째는 백신프로그램을 준비해 두는 것이다. 가장 많이 쓰이고 쉽게 구할 수 있는 ... ...
알프스의 미이라 '외츠'정체 드러내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연령, 또 식습관, 사회적 지위 등을 조사하고 있다. 특히나 장(腸)이 완벽한 상태로
보관
돼 있어 식습관을 연구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우리는 미이라 장속의 기생충을 찾아내 그것이 현대인의 것과 같은지를 조사할 것이다."연구팀의 일원인 플라처 박사의 말이다 ... ...
(3) 발암 위험성 높은 포장재 남용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때문이다. 제조년월일이 적혀 있으면 식구수에 따라 소비량도 알 수 있고 어떤 방법으로
보관
해야 되며 며칠간에 걸쳐 소모할 수 있는가를 감안, 식품을 구매하게 된다. 이는 매우 합리적인 소비생활이다.하지만 업계측에서는 굳이 제조년월일만을 고집하는 소비자 쪽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한다.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