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보유
저장
관리
보호
침전물
갈무리
d라이브러리
"
보관
"(으)로 총 1,269건 검색되었습니다.
(2) 바이러스와 백신의 영원한 숨바꼭질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점심시간이나 쉬는 시간에 게임하는 것을 금지하는 문구들이 눈에 띄었고 데이터를 따로
보관
하거나 백신프로그램을 구하는 등 불의의 사고에 대비하려는 모습들도 두드러졌다.지난해 봄 워커힐호텔에서 열린 OSI(개방형컴퓨터국제기구)회의에서는 회의장에 설치된 컴퓨터에 바이러스가 발견돼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잘못 본 것이다.뱀은 주머니모양의 교미기를 두개 지니고 있다. 보통 때는 뒤집어서
보관
하고 있다가 교미할 때 그중 한개만을 사용한다. 대개의 암컷은 정자를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난생을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개중에 난태생(새끼를 낳는 것)을 하는 종류도 있다. 그 중 난생을 하는 뱀은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14분까지 연장 시켰다. 물론 매번 수십kg 월석이 지구로 운반됐다.미국 존슨 우주센터에
보관
돼 있는 총 3백85kg의 월석은 달의 생성에 읽힌 비밀과 그 이후의 역사에 대해 많은 사실을 밝혀줬다. 월석을 분석해 얻은 데이터로만 수만페이지에 달하는 과학출판물이 출간됐을 정도다. 월석분석 결과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논의로 연구원들도 확실한 연구방향을 잡지못하는 해독을 낳고 있다.세계적으로는 소유
보관
감독 등의 개념에서 탈피해 정부출연연구소에 대한 범국가적 공동활용체제가 정착 된지 오래됐고, 산·학·연 공동의 기술컨소시엄 또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는 선진 여러나라와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맡긴 뒤 1만원이나 2만원을 지불하고 한뭉치씩 사진을 찾아 오기는 하지만 그중에서 오래
보관
할 만 큼 잘 찍힌 사진은 불과 몇장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에 불평을 터뜨리는 사람들이 얼마든지 있는 것도 사실이다.한편 전자사진술은 'TV 프로젝터'라는 탈을 쓰고 슬그머니 소비자들의 뒷문으로 걸어 ... ...
차세대원전 「몬주」 내년 10월 점화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안전을 기해야 한다. 즉 냉각재의 효율이 높은 반면 방사능물질로 변한 액체나트륨을
보관
하는데 따른 위험성은 커지는 것이다.고속증식로의 노형(爐型)은 루프형과 탱크형으로 나뉘는데 몬주는 루프형에 속한다. 루프형은 중간열교환기와 주순환펌프 등 1차 냉각계통이 원자로 용기(容器) 밖에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알렉산더 교수가 공룡의 몸무게를 계산한 방식은 매우 간단한 원리다. 박물관 등에
보관
된 플라스틱 모형 공룡을 물속에 집어넣고 아르키메데스 원리에 의해 체적(물이 불어난 부피)을 계산한다. 여기에 악어나 포유류의 밀도(보통 1t/㎥)를 곱하면 몸무게가 나온다. 가장 큰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르스 ... ...
1. 베이식(BASIC)위주 교육 탈피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8비트 컴퓨터의 처리도 간단치 않습니다. 학교에서는 10만원 이상의 비품은 최소 5년간
보관
해야 하는데 교사나 학생이나 8비트는 거들떠 보지도 않아요. 그런데 현재 대다수의 학교에서 실시하는 베이식의 경우 8비트로도 충분하거든요. 16 비트로 전환하더라도 기존에 보급돼 있던 8비트를 ... ...
하늘에서 레몬주스가 떨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주원료가 전혀 다른 곳에서 생산되기 때문이다.② LNG는 순수하지 않으면 액화되지 않아
보관
이 어렵기 때문이다.③ LNG는 LPG에 비해 가벼워 불순물을 분리해 내기 쉽기 때문이다.④ LPG가 더 구하기 쉽고 값이 싸기 때문이다.5.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물질들이 뿌옇게 떠있는 스모그. 여기에는 두가지 ... ...
멀고도 험한 상품화의 길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하던 중 골치아픈 플라스틱 덩어리를 발견했다. 윤박사는 이를 버리지 않고
보관
했다가 '섬유 제조의 신기원'을 이룩했다고 평가를 받고 있는 아라미드펄프를 개발했다. 아라미드펄프는 무방사(실을 뽑지 않음)로 단섬유를 제조하기 때문에 기존 섬유공정의 80%를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제품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