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 [가상인터뷰] 로봇 개발에 영감을 주는 개미 뗏목의 역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Solenopsis invicta)는 홍수가 나면 서로 뭉쳐 ‘개미 뗏목’을 만든 뒤 물 위를 둥둥 떠다닌다. 미국 콜로라도대 볼더캠퍼스 연구팀은 수치 모델을 개발해 개미 뗏목 모양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밝혀 국제학술지 ‘플로스 컴퓨터 생물학’ 2월 1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371/journal.pcbi.1009869 연 ...
-
- 겁쟁이, 꼬맹이, 또는 변덕쟁이... 암흑물질을 낚다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있다. 이현민 교수는 “원시 블랙홀은 초기우주에 에너지 밀도가 높은 영역에서 형성된 뒤 현재까지 남아 있는 블랙홀”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중력렌즈 효과가 일어난 곳을 살펴보거나, 감마선 폭발 등을 이용해 관측하는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고 했다. 갑자기 입자에서 태양보다 수백 배 이상 ... ...
-
- 당신을 위한 ‘하얀 거짓말’과학동아 l2022년 04호
- 마음입니다. 2000년대 인기 가수 GOD의 어머님께’라는 노래는 부모님의 하얀 거짓말을 뒤늦게 알아챈 자식이 회한에 잠겨 마음 아파하는 가사로 유명합니다. “어머님은 짜장면이 싫다고 하셨어…”. 아들아, 딸아! 사실 엄마와 아빠도 피자 좋아하고, 짜장면도 잘 먹는다 ... ...
-
- 지자체ㆍ대학ㆍ기업이 만들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DSC 공유대학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총괄하는 김 센터장의 사명감에서 시작됐다. 충남 예산 출신의 그는 고등학교 졸업 뒤 미국 텍사스대로 진학했고, 같은 대학에서 경제정책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곳에서 그는 첨단, 지식 산업을 통해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연구했다. 특히 지역 거점 대학을 중심으로 미국 지역의 ...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국립생태원장상 받았다 생태모방 기술로 새들을 지켜조 (鳥)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사이사이에 웰론을 추가로 부착하는 방법과, 써모라이트를 새의 솜털처럼 얇게 자른 뒤 겹치게 부착하는 2가지 방법을 활용했어요. 시중의 패딩과 달리 봉제선으로 단을 나누지 않았지요. 결론 최종 발표까지 무사히!탐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최종 보고서를 작성하고 국립생태원에서 발표했어요. ... ...
-
- [출동! 슈퍼M] “같은 40인치 TV인데 화면 크기가 다르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4호
- 양을 기호 :을 사용해 나타내는 걸 말해요. :을 사이에 두고 앞에 오는 수가 비교하는 양, 뒤에 오는 수가 기준이 되는 양이에요. 2:1은 ‘이대일’이라고 읽어요 ... ...
-
- [특집] 수학 콘텐츠, 갑자기 쏟아진 이유는?수학동아 l2022년 04호
- 공부해 보고 싶다고 생각했을 정도로 수학이 재밌어졌거든요. 일상생활에서 수학을 찾은 뒤, 수학 개념을 확장해 나가면 누구나 수학을 재밌게 배울 수 있을 것 같아요. 하하 ... ...
-
- [기획] 새로운 문제의 등장!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넓이는 ‘르베그 측도’로 구해요. 점의 집합을 넓이를 구하기 쉬운 직사각형들로 덮은 뒤 ‘르베그 외측도’와 ‘르베그 내측도’의 값이 같으면 그 값이 집합의 넓이가 되지요. 두 값이 다르면 러츠코비치의 해법에 등장하는 조각처럼 넓이를 측정할 수 없어요 ... ...
-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아홉 개의 원수학동아 l2022년 04호
- 붉은색 원과 그 주위로 동심원 9개가 그려져 있다. 그 외에는 아무것도 없다.벽을샅샅이 뒤졌지만 다른 출입구는 없다. 아무래도 막다른 곳인 듯하다.“이럴수가! 아무것도 없단 말인가?”왕자가실망하며 탄식한다. 티티르는 사방을 둘러보다가 무심코 천장에 새겨진 문자를 발견하고 소녀에게 보여 ... ...
-
- 우주를 만든 27%의 숨은 공로자, 암흑물질과학동아 l2022년 04호
- 수정 뉴턴 역학을 합쳐 초유체 암흑물질 이론을 만들기도 했다. 이론이 제기된 뒤 과학기술이 발전하며 이를 증명하는 과정은 때로는 수백~수십 년이 걸린다. 블랙홀의 개념이 탄생한 건 1783년 일이다. 그리고 블랙홀을 처음으로 관측해낸 건 그로부터 200여 년이 지난 2019년이었다. 영국의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