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인
노예
종류
고용인
벨
기종
요령
d라이브러리
"
종
"(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불가리스만 단맛이 나서 사람들이 식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했거든요. 나머지 두
종
류는 단맛보다 쓴맛이 강해서 주로 씨앗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나 가축 사료용으로 길러져 왔답니다.◀ 사람이 재배하기 전의 야생 수박은 지름이 5cm 정도, 당도가 2~6브릭스 정도인 작고 쓴 열매였다. 또 지금의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개체수를 51만~72만 마리로 추정한다”며 “전체 개체수에서 300마리는 0.06% 정도인 만큼 멸
종
위기를 이유로 비난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래에 작살을 꽂는 행위 등을 잔인하다고 규정해 고래잡이 자체를 비난할 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시 셰퍼드가 오션 워리어를 이용해 포경선에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즉 에이즈로 진행되는 경우가 드물다”고 말했다. HIV의 증식을 막는 약이 지금까지 30
종
이상 개발됐고, 1990년대 약을 섞어 먹는 소위 ‘칵테일 요법’(고강도 항레트로 바이러스치료)이 도입돼 체내 HIV 수치를 아주 낮은 수준으로 유지한 채 살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HIV에 감염되면 죽는다’는 ... ...
Part 2. 장난감 연구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7년 12호
카페냐고요? 이곳은 수학자의 연구실입니다. Q. 자기소개를 해주세요.고려대학교 세
종
캠퍼스 응용수리과학부에서 ‘수치해석★’을 연구하고 있는 수학자 황운재입니다. 제 취미는 장난감과 만화책 모으기에요. 20여 년 전 미국에서 유학할 당시 햄버거 가게에서 햄버거를 먹으면 미니카 4
종
중 ... ...
[현장 취재] 24시간 생물 탐사 대작전! 2017 바이오블리츠코리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번개처럼 움직이며 생물을 찾아라!‘바이오블리츠’는 지정된 장소에 모인 사람들이 총 24시간 동안 그 지역의 생물을 모두 조사하는 활동이에요. 1996년 미국 지리 ... 있는 사람이면 누구든 참가 가능하답니다. 어과동 친구들도 내 손으로 새로운
종
이나 미기록
종
찾기에 도전해 보세요~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흥분성’을 줄이면서 행동치료를 병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때 행동치료는 절대 ‘복
종
훈련’이 아니고, 산책이 무조건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행동치료가 가능한 수준까지 약물치료를 하는 중에는 실외 산책보다는 실내 활동들을 추천한다. 공격성 예방법이 ‘입마개’?입마개가 공격성을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그 환경에만 맞으면 어떤 식물도 들어와 살 수 있어요. 그럼 자연스럽게 동물들도 다양한
종
이 어울려 살게 되면서 토양의 회복 속도도 빨라진답니다.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원연구과 강원석 박사는 “그래도 토양 깊숙이 피해를 입어 자연적으로 회복이 너무 느린 곳은 인공 복원이 꼭 필요하다”고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파충류, 어류 등에서만 발견된다. 모체의 유전자만 가지기 때문에 처녀생식을 하는
종
은 개체가 다양하지 못해 환경 변화에 취약하다. 진화적으로 고등한 생물일수록 처녀생식을 찾아보기 어렵다. 인간을 포함한 대다수의 포유류는 처녀생식을 하지 않지만, 실험실에서 인위적으로 발생시킬 수는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구성하는 생체시계 유전자와 그 작동 원리가 초파리와 인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
에서 매우 유사하게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유는 이렇다. 24시간 주기의 지구 자전은 낮과 밤, 대기 온도 등 매일 규칙적인 환경 변화를 일으킨다. 최초의 원시 생물이 생겨난 이래로, 이런 일주기적 환경 변화는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형태를 보이는 현상을 수렴진화라고 합니다. 박쥐와 새처럼 계통적으로 관련 없는 두
종
이진화 결과 비슷한 날개를 갖는 게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또 말벌과 산호뱀처럼 맛이 없거나 유해한 동물은 붉은 줄무늬가 있거나 검은색 또는 노란색이 많습니다. 이런 특징도 수렴진화의 예로 볼 수 있는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