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꽃보다 동물 동물의 향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생산된다. 지금까지 밝혀진 합성법만 수백 가지, 합성 머스크(무스콘 화합물) 종류만 23종에 이른다. 게다가 합성 머스크는 꽃이나 열매 등 식물성 향료에도 빠지지 않고 들어가는 ‘약방의 감초’다. 향수나 화장품, 비누 등에 들어가는 향료에는 합성 머스크가 반드시 0.01% 정도 들어간다. 김 교수는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민물고기 중 상당수가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우리나라 하천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이에요. 김정훈 어벤저스는 “개발로 인해 우리나라 하천이 사라지면 이 민물고기들은 지구상에서 영영 없어지는 것”이라고 설명했어요.민물고기 탐사에 참여한 알럽곤충 팀의 이디엘(홈스쿨링) 대원은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혹은 여성 화장품을 써도 괜찮은 것 아닌가. 반드시 남성 전용 화장품으로 써야 하는 종류가 있나. A 반드시 남성 화장품을 써야 하는 건 아니다. 자신의 피부 특성을 파악하고 여기에 맞는 제품을 쓰는 게 더 중요하다. 다만 남성 화장품으로 개발된 제품은 평균적인 남성 피부를 기준으로 만든 것인 ... ...
- Part 1. 휘발성유기화합물 검출 경로 추적해보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목재펄프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윤혜정 교수는 “목재펄프로 만든 대표 제품인 종이는 먹어도 문제가 없을 만큼 독성이 없다”며 “목재추출물에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 나올 수 있지만, 이론적으로 목재추출물은 목재펄프를 만드는 과정에서 다 제거된다”고 덧붙였다. 부직포의 원료인 고분자 ...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반드시 함께 하는 사람들, 바로 셰르파다. 셰르파는 네팔의 고산지대에 사는 종족의 이름으로, 티베트어로 ‘동쪽에서 온 사람들’이라는 뜻을 갖고 있다. 이들은 약 500여 년 전 티베트에서 네팔로 이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적으로 해발 3000m 안팎의 고산지대에 마을을 이뤄 살아왔다. 195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동안 자연선택에 의해 복제 성공도가 최대화되는, 따라서 ‘이기적’이 되는 단위는 종도, 집단도, 개체도 아니라 유전자이다. 선택의 단위가 유전자라는 명제로부터 유전자나 개체가 정말로 이기적인 동기를 지닌다는 함의를 끌어낼 수는 없다. 잠깐, 그렇다면 “관용과 이타성을 가르치도록 ...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개발한 전자교재만 40여종이다. 올해 8월에는 교보문고에서 수학 분야 전자교재 1종을 출판해(9월 중 1종 추가 출판 예정) 누구나 사볼 수 있게 했다. 3학년 때 연구 시작, 수업은 저널로DGIST 학생들은 단순한 문제풀이를 반복하지 않는다. 1, 2학년 때 배운 기초과목을 토대로 3학년 때는 해결해야 할 ... ...
- [수학뉴스] 생물다양성 위해 내부 경쟁은 필수?!수학동아 l2017년 10호
- 가장 센 종이 살아남아요. 그런데 자연에서는 꼭 그렇지 않아요. 힘이 약한 종도 힘이 센 종과 함께 더불어 살아가지요. 최근 장봉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수리학과 교수팀이 이런 생태계 현상을 잘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을 만들었어요. 교수팀은 생태계에서 가위, 바위, 보처럼 서로 물고 물리는 세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쿠마린 계열의 유기화합물이라는 것이다. 쿠마린 계열은 분자구조에 있는 고리가 두 종류 이상의 원소로 이뤄진 화합물을 말한다. 상처치유 과정은 크게 염증기와 상피화기, 증식기, 성숙기 등으로 나뉘는데, 연구팀은 각 시기에 있는 세포들을 대상으로 피뿌리풀 추출물을 실험했다. 먼저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해양 생물의 DNA를 분석해 생물 다양성을 연구하는 김충곤 책임연구원은 “예전에는 생물 종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찾기 위해 아주 많은 시간이 필요했지만 DNA 분석을 이용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나한나 KIOST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연구원은 해양 물리학에 대해 소개하며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