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종"(으)로 총 4,249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개발한 전자교재만 40여종이다. 올해 8월에는 교보문고에서 수학 분야 전자교재 1종을 출판해(9월 중 1종 추가 출판 예정) 누구나 사볼 수 있게 했다. 3학년 때 연구 시작, 수업은 저널로DGIST 학생들은 단순한 문제풀이를 반복하지 않는다. 1, 2학년 때 배운 기초과목을 토대로 3학년 때는 해결해야 할 ... ...
- Part 2. “소변에서 일부 화학물질 농도 2~3배 증가”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안전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국내 전문가들에게 분석을 의뢰했다. 여성청결제 6종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제품에 표시되지 않은 화학물질이 검출됐다. 또 여성청결제를 사용하는 여성 6명의 소변 성분을 분석한 결과 일부 화학물질의 농도가 제품 사용 전에 비해 2~3배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 ...
- [공룡은 왜?] 뿔만 봐도 다 알아! 코스모케라톱스의 화려한 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이들은 새끼를 데리고 다니면서 물가에서 물을 먹이고 보살폈어요. 따라서 쉽게 서로의 종을 구별하거나 자신의 가족이 다른 무리들과 섞이는 것을 막는 방법이 필요했을 거예요.다행히도 카스모사우루스류 공룡들은 서로 각기 다른 모양의 뿔과 프릴을 갖고 있었어요. 그 중 카스모사우루스는 ... ...
- Part 3. [세 번째 사연] 동물원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야외 박물관을 만들었어요. 이곳엔 원래부터 소노라 사막에 살던 1200여 종의 식물과 300여 종의 동물들이 살아가고 있답니다. 야외로 뚫린 산책로를 걸어가며 코요테, 프레리도그, 올빼미 등을 발견할 수 있지요. 3단계 동물들을 위해 문을 닫는 동물원“진정 코끼리를 위하는 일은 그들을 소유하지 ... ...
- [가상인터뷰] 알을 먹고 쑥쑥 자라는 곤충?!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냄새를 풍겨 방귀벌레라고도 불리거든요.너처럼 알을 먹는 곤충이 또 있니?저처럼 같은 종의 알을 먹는 곤충은 많아요. 어미가 낳은 알은 영양분이 풍부하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이것은 곤충에게 좋은 전략이 아니에요. 자손의 수를 많이 퍼트릴 수 없어서 다양한 유전자를 남기지 못하게 되거든요. ... ...
- [과학뉴스] 쥐라기 하늘에서 ‘좀 날렸던’ 포유류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새롭게 발견된 화석이 날다람쥐(유대류), 박쥐(태반 포유류)와는 관계없는 새로운 멸종 포유류라고 결론지었다. 연구팀은 “새롭게 발견된 화석은 쇄골이 단단하고 치골이 조류의 모양과 유사하다”며 “비행 시 어깨의 움직임이 달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10.1038/nature23483, doi:10.1038/nature2347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아들이 아직 어려 엄두를 못 내고 있을 뿐이죠. 언젠가 꼭 스킨스쿠버 자격증과 보트 조종 면허를 딸 거예요.” "저만의 연구 주제를 찾아, 훗날 그 분야에서만큼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전문가가 되고 싶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계에 부는 ‘걸크러시’Part 1. ... ...
- [Culture] 센서티브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도취되어서 끔찍한 일도 벌이고…… 다른 애들이 벽에 아이돌 포스터 붙일 때 너는 온갖 종류의 투명인간 포스터를 붙여두었지. 그런 걸 아마 오타쿠라고 하는 거, 맞지? 아마 우리 집에 돈이 좀 더 많았다면 같은 투명인간 팬이라도 좀 더 좋은 것들을 구할 수 있었을 텐데. 낡아 떨어질 때까지 책을 ... ...
- 수학공감➌ 통계, 생활이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배우는데, 짱(한)도리 팀은 실제로 그렇게 나오는지 조사했다. 결과적으로 대칭인 종 모양이 아닌 한쪽으로 치우친 결과가 나왔다. 자료의 수가 충분하지 못했고, 계급의 크기가 세분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통계 조사의 표본을 잘못 선정하면 결과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 ...
- [과학뉴스] 면역거부반응 바이러스 비활성시킨 돼지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세포로도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때문에 돼지 내생 레트로바이러스는 이종 간 장기 이식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 중 하나였다. 연구팀은 내생 레트로바이러스의 DNA를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를 이용해 잘라내고 세포주를 만들었다. 이 세포주로 만든 배아를 암퇘지에 이식해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