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라디오파로 영상 전송 가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문제다. 라디오를 청취할 때 잡음이 들리는 것과 같이 데이터가 다른 신호들과
뒤
섞이는 것이다. 연구팀은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자료를 코드화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했다. 연구팀은 시험 전송에서 80km 떨어진 곳에 영상을 성공적으로 전달했다. 이는 단파인 라디오파의 성질로 볼 때 훨씬 더 먼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다에 착륙한 것은 7월 20일(한국시간으로 7월 21일 오전 5시 17분). 착륙 후 6시간 반
뒤
착륙선에서 내려 달에 첫발을 내디딘 닐 암스트롱(1930-)은 곧바로 달흙을 집어 우주복에 있는 주머니에 넣었다. 만약 착륙선이 긴급히 이륙해야 할 때를 대비해 조그만 샘플이라도 지구로 가져가기 위한 것이다.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에우리디케를 보내준다. 그러나 지상에 거의 도착할 무렵 오르페우스가 약속을 잊고
뒤
를 돌아보아 그의 아내는 다시 저승으로 떨어졌다. 오르페우스가 죽은 후 그의 하프는 하늘로 옮겨져 별자리가 됐다.청백색으로 빛나는 알파(α)별 직녀성은 적위가 38도 47분으로 우리나라(특히 평양 이남)에서는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5. 특허심사관 안소영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씻게 하고, 아침 준비를 한다. 물론 있는 것을 디스플레이 하는 정도. 전쟁터 같은 집을
뒤
로 하고 9시쯤 회사에 도착한다. 오늘은 어제 심사하던 것을 마쳐야하므로 각오를 단단히 하고 하루를 시작한다. 출근 후 제일 먼저 인터넷을 통해 생명공학분야 특허와 관련된 국제적 동향을 파악한다. 이것을 ... ...
화성에도 지각변동 있었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초기 화성에 지각변동이 있었다는 신빙성 있는 증거가 발견됐다. 나사의 마르스 글로벌 서베이어 우주선은 과거 화성이 현재의 지구처럼 활동적인 지각변동을 한 ... 거의 찾아볼 수 없었는데, 이는 남반구와 달리 북반구가 활동적인 층이 사라지고 난
뒤
생성됐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 ...
생명에너지 기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몇시간
뒤
에 같은 이파리를 찍어보면 코로나가 작아질 뿐만 아니라 이파리가 죽은
뒤
에는 코로나 자체를 볼 수 없다. 생물에서 에너지가 발산되고 있다는 증거일 수 있다. 더욱이 싱싱한 이파리는 그 일부를 잘라낸 다음에 촬영하면 잘려서 아무 것도 없는 부분의 영상까지 함께 사진에 찍혀나온다. ... ...
시공간을 구겨넣은 우주의 검은구멍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낳았다. 이것은 우리 은하계에서 가장 강력한 X선원의 하나로 약 8천광년 거리에 있다. 그
뒤
의 관측을 통해 같은 자리에서 ‘HDE-226868’이라는 태양 질량의 약 30배에 달하는 초거성이 발견됐고, 이 별에서 흘러나오는 고온의 가스가 약 1천만km 떨어져 공전하고 있는 물체로 빨려들어가고 있음이 ... ...
발자국으로 공룡 움직임 재현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엄지발가락이
뒤
쪽으로 휘어져 있다. 반면 수각룡의 발가락은 구부려져 있지 않고
뒤
를 향하고 있다. 이것이 공룡과 새가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특징이다. 한편 뒷다리의 운동에서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 진흑 위에서 수각룡의 발바닥 흔적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것은 발바닥이 땅에 다 닿고 난 ... ...
아우슈비츠와 731부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아우슈비츠 외에도 여러 곳에 강제수용소를 둠. 아우슈비츠는 그곳의 대표격.)를 세운
뒤
부터다.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는 나치스의 친위대(SS)와 국가비밀경찰(게슈타포)의 우두머리였던 하인리히 히믈러(1900-1945)가 유대인들을 대량 학살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설계했던 곳이다. 이곳에서 목숨을 ... ...
② 과학을 실현한 미술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없기 때문이다. 물론
뒤
로 돌아가서 모나리자의 뒷모습을 볼 수도 있다. 그런데 문제는
뒤
로 돌아가면 앞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피카소는 그림 안에서 이 시간의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그들은 한번에 사방 팔방에서 본 모나리자의 모습을 그리기를 원했다. 그래야만 모나리자를 완벽하게 파악할 수 ... ...
이전
1071
1072
1073
1074
1075
1076
1077
1078
10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