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스페셜
"
뒤
"(으)로 총 3,92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 1316명…하루 만에 다시 역대 최고치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미국이 3378만8996명으로 가장 많다. 인도가 3070만9557명, 브라질이 1896만2762명으로 그
뒤
를 이었다. 이날 기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에 희생된 사람은 모두 400만8958명이다. ... ...
캐나다 호수 부근서 발견된 다이아몬드가 말했다…“27억년 전 지구도 살만 했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7.09
지구가 형성되고 35억 년 전 생명체라고 불릴 만한 존재가 등장한 것으로 추정해 왔다. 그
뒤
아주 오랜 기간 잠잠하다가 고생대 초기인 약 5억4000만 년 전에 이르러서야 다양한 생명체가 한꺼번에 폭발적으로 출현한 ‘캄브리아기 폭발’이 일어났다는 학설이다. 캄브리아기 폭발 이전인 약 18억 ... ...
미 연구팀 "산모 코로나 백신 맞아도 모유에 아무런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쌓이고 있는 셈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지난달 17일 정례브리핑에서 “출산한
뒤
수유를 하는 산모의 경우 백신 접종이 국내 기준으로 금기가 아니다”며 “현재 백신 접종을 할 수 있다고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느려지는 시간
2021.07.08
극단적인 상황을 좋아한다. 만약 중력이 엄청나게 강해서 그 주변의 시간이 크게
뒤
틀려 1초의 간격이 대단히 커지면 어떻게 될까? 여기서 대단히 크다는 것은 수학적으로 무한히 크다, 즉 무한대가 된다는 뜻이다. 시간간격이 무한대가 된다는 것이 무슨 뜻일까? 1초의 시간이 흐르는 데에 무한대의 ... ...
한 달 만에 3%→51.7%…델타 변이 미국 지배종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9·코로나19)의 지배종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델타 변이는 올해 3월 미국에서 처음 보고된
뒤
지난달 초까지도 전체 확진자의 3% 수준에 머물렀지만, 한 달 만에 빠른 속도로 퍼지며 전파력을 과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CNBC방송 등 미국 언론은 7일(현지시간) “전염성이 높은 델타 변이가 코로나19 ... ...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07.08
떨어져 있고, 태양보다 100배 큰 별(항성)인 ‘VVV-WIT-08’이 갑작스럽게 밝기의 97% 잃은
뒤
, 약 200일 동안 어두워진 상태로 있다가 다시 빛나는 현상을 포착했다. 초거대 별이 몇 달 동안 별빛이 희미해졌다가 밝아지는 현상은 이제껏 알려진 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어 오랫동안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 ...
저녁 모임 2인까지만, 행사 전면 금지...거리두기 4단계 도입되면 수도권 사실상 '셧다운'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4단계에서는 등교도 전면 중단되고 원격 수업으로 바뀐다. 교육부는 일선 학교들이 1~2주
뒤
에는 방학에 들어가는 만큼 우선은 현행 등교 방침을 유지한다는 입장이다. ... ...
하루 확진자 1240명 찍은 ‘3차 유행’과 ‘4차 유행’ 비교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확진자를 기록하며 급증하다가 성탄절 주 하루 평균 확진자 1038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다음 주 하루 평균 확진자가 894명으로 떨어지며 이후 완만한 감소 추세를 나타냈다. 지난주까지도 3차 유행은 하루 확진자 규모가 400~700명대를 기록하며 주말과 공휴일에는 검사 건수 감소로 주 초반에는 ... ...
코로나 회복 후 중증 억제하는 ‘기억T세포’ 장기간 유지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나타났다. 경증과 중증 여부에 관계없이 대부분 회복자들에게 유지됐다. 10개월이 지난
뒤
에도 코로나19 바이러스 항원을 만나면 기억 T세포는 활발히 증식했다. 특히 코로나19 회복자들에게 줄기세포 유사 기억 T세포가 잘 발생한다는 사실도 규명했다. 줄기세포 유사 기억 T세포는 장기간에 걸쳐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냈다. 김상윤 포스텍 생명과학과 박사과정생 2018년에는 기존의 분자생물학 학설을
뒤
짚는 연구도 내놨다. 진핵생물의 세포질에서도 박테리아처럼 포밀 메티오닌이라는 특정 아미노산이 단백질 합성을 시작할 수 있으며 동시에 포밀 메티오닌이 단백질 분해신호로 작용하는 새로운 단백질 분해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