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라
강토
영토
방토
영해
대지
나라땅
뉴스
"
국토
"(으)로 총 657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후위기와 산림] 남한·북한 가리지 않는 기후위기...“북한은 더 심각”
2023.02.09
황폐화와 자연재해의 악순환… 북한 자연재해 ‘심각’ 북한의 산림 면적은 906만ha로
국토
면적의 73.6%에 달하지만, 산림 황폐화는 심각한 상황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9년부터 북한의 산림 현황을 10년 단위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2018년 위성영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북한 산림 황폐지 ... ...
이평구 지질연 원장 "우주자원·배터리 핵심광물 확보 기술 책임질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자원활용연구본부에는 배터리재활용연구단을 설치했다. 우주산업에 집중할 조직으로
국토
우주지질연구본부에 우주자원개발센터를 새롭게 구성했다. 이후 핵심광물 확보 기술을 키우기 위한 신규 국책과제를 다수 수주했다. 우주자원 분야에서는 15억원 규모의 달 감마선분광기 활용 및 달 자원 ... ...
국내 첫 우주 지질자원 개발 연구조직 신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2
목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
국토
우주지질연구본부’로 명칭이 변경됐다.
국토
우주지질연구본부 산하에는 '우주자원개발센터'가 신설됐다. 장기적인 국가우주개발정책과 국제사회 수요에 대응하는 우주지질자원 탐사 및 활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조직이다. 센터장에는 다누리호 ... ...
[인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2.3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본부장급 전보 △
국토
우주지질연구본부장 김성원 ▽센터장급 승진 △우주자원개발센터장 김경자 ...
지질연 "10월 발생 규모 4.1 괴산지진은 조곡단층대가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2.12.20
수행하게 된다. 송석구 지질연 지질재해연구본부장은 "최근 괴산지진을 비롯한 전
국토
에 걸친 지진의 잦은 발생은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준다"며 "최신 과학기술과 다학제적 방법을 적용해 지진의 선제적 대비를 목표로 모든 연구자가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평구 ... ...
네이처가 뽑은 올해의 인물 10인…기후위기·코로나19 연구자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2.12.16
방글라데시 등 남반구에 위치한 중저소득 국가였다. 파키스탄에서는 올 여름
국토
의 3분의 1이 잠기는 대홍수로 1500명 이상이 사망했다. 방글라데시의 경우 홍수로 100여 명이 사망했다. 올해의 인물로 꼽힌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지난 9월 파키스탄의 참혹한 현장을 둘러본 뒤 "세계가 파키스탄을 ... ...
[기후위기와 산림] 목재의 재발견...탄소 배출 줄이는 친환경 자재
2022.11.24
인한 기후변화로 산불, 홍수, 가뭄 등 극한의 기후현상이 잦아지면서 파키스탄은
국토
의 3분의 1이 물에 잠기는 대홍수를 겪었다. 해수면 상승으로 물에 잠기기 시작한 카리브해와 남태평양의 섬나라 사람들은 살 곳을 잃어가고 있다. 한국도 2018년 심각한 폭염에 이어 2020년에는 길고 긴 장마를 ... ...
기후변화총회서 ‘손실과 피해’ 보상 기금 조성 합의
동아사이언스
l
2022.11.20
총회에서는
국토
의 3분의 1이 물에 잠기는 대홍수를 겪은 파키스탄,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
가 물에 잠기기 시작한 카리브해, 남태평양 등의 섬나라들이 피해 보상 촉구에 목소리를 높였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간다 전력망 확대 효과, 위성·AI가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22.11.19
조사 대상으로 삼은 것은 최근 우간다가 전력망 확대에 힘써왔기 때문이다. 2010년 기준
국토
면적의 12% 정도에만 깔려있던 전력망을 2019년 41%까지 확대했다. 하지만 관련 투자에 대한 경제적 영향은 분석된 바가 없다. 네이처는 “경제적 결과에 대한 데이터 부족은 세계 여러 곳에서 공공 정책의 ... ...
英 우주공항 첫 운용 대기...최초 공중발사 시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0
설명했다. 지상 임무 시설을 갖춘 우주선의 발사와 착륙을 지원하는 개념으로 최근
국토
교통부와 제주특별자치도와 관련 논의를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