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7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상반기 출연연·과기원 혁신안 발표…물리적 구조조정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설치할 계획은 없으며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5년간 계약한
뒤
최대 10년까지 연장하는 우주항공청 연구원 채용 조건이 고용 불안정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이 차관은 "업무 성과를 바탕으로 계약을 연장하는 시스템이다"이라면서 "10년이면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 ...
비만 유도하는 장내 미생물, 성별에 따라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44세의 성인 지원자 361명을 대상으로 대변 내 대사체를 조사했다. 음식을 대사한
뒤
발생하는 부산물인 대변의 대사체는 장내 세균에 의해 형성되며 다양한 대사물질로 구성돼 있다. 균의 유전체를 수집하는 작업은 대변 샘플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유형, 구성, 다양성, 상대적 존재비를 식별하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본서 사망자 나온 붉은누룩의 비밀
2024.04.03
한 종(P. citrinum)에서 처음 스타틴을 분리했다(훗날 메바스타틴으로 명명). 그
뒤
누룩곰팡이의 한 종(A. terreus)에서도 또 다른 스타틴을 찾았고 1987년 고지혈증 치료제로 승인받았다. 최초의 스타틴 약물인 로바스타틴이다. 홍국균을 비롯한 모나스쿠스속 곰팡이는 박테리아를 공격하기 위해 ... ...
처리 까다로운 원전 폐액, 3시간이면 98% 처리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개발한 'HP-CORD-UV'라는 기술로 제염 폐액 속 유기착화제를 자외선과 과산화수소로 분해한
뒤
이온교환수지를 이용해 처리하는 방법이다. 유기착화제 90%를 처리하는 데 약 5시간이 걸리고 2차 폐기물도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핵종 나노촉매를 활용한 폐액 처리장치 시제품. 한국원자력연구원 ... ...
350년 난제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컴퓨터 증명 나선 수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2
와일스도 1993년 첫 증명을 발표했지만 오류가 발견돼 다시 증명을 수정한 끝에 2년
뒤
에 완벽히 증명했다. 당시 와일스가 발표한 논문은 100페이지가 넘었다. 내용이 매우 복잡해 동료 수학자들이 논리적 오류가 없는지 검증하는 데 2년 이상 걸렸다. 연구팀은 '린(Lean)'을 이용해 페르마의 마지막 ... ...
"암 징후, 증상 발생 수년 전 감지할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확인하지 못한 채 암이 발생한
뒤
발견해 치료하고 있다. 피츠제럴드 소장은 “암을
뒤
늦게 발견하고 있는 데다 항암 치료비는 점점 비싸지고 있다”며 “다른 관점에서 암을 다룰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사전 예측 검사가 널리 쓰일수록 암 발병률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대전시 임산부 예약·대기 없이 택시 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있어야 한다. 임산부는 택시 탑승 후 승차를 인증하고 목적지 도착 후 지역화폐로 결제한
뒤
하차 인증을 하면 된다. 지불한 택시 요금의 75%는 지역화폐 정책수당으로 적립된다. KISTI는 무브메이트 서비스를 시작으로 다양한 공공분야 마이데이터 서비스들을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 ...
뇌에 '바코드' 새겨 일시 기억 저장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뇌 패턴을 추적하기 위해 음식을 은닉할 수 있는 장소들로 이뤄진 공간을 설계했다. 그런
뒤
이 공간에 박새가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하고 뇌의 조밀한 신경 활동을 기록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적용했다. 실험 결과 박새가 음식을 특정 장소에 숨기는 활동을 하는 동안 해마의 신경세포에서 ... ...
7년만의 북미 개기일식…4분 넘게 지속 '이례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4.01
월 21일 미국 오레곤주 마드라스 상공에서 개기 일식이 진행되고 있다. NASA/opalswamy 일주일
뒤
인 8일(현지시간) 2017년에 이어 7년만에 북미에서 개기일식 현상이 일어난다. 이번 개기일식 관측 기회를 놓치면 20년을 기다려야 해 북미 전역에서 관심이 뜨겁다. 국내 연구자들도 이번 개기일식이 ... ...
[표지로 읽는 과학] 꿈의 기계 '뮤온 충돌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3.31
주장은 미국 물리학계를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1993년 입자가속기 SSC 건설을 포기한
뒤
유럽의 CERN에 뺏긴 입자물리학 연구의 주도권을 되찾아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