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d라이브러리
"
분해
"(으)로 총 2,479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울 속 우유 마시면 소화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소화되지 않는지 살펴보자.우유 속의 단백질은 소화액 속의 펩신 같은 단백질
분해
효소로
분해
해 아미노산으로 만들어 흡수한다. 단백질이 세로가 긴 ‘ㄱ’자 블록이라면 펩신은 세로가 긴 ‘ㄱ’자 홈이 파인 바닥 면이다. 블록(우유 단백질)이 홈(펩신)에 꼭 맞으면 효소작용으로 소화돼 쪼개진다 ... ...
초콜릿 먹으면 스트레스 풀린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몸이 외부에서 스트레스를 받으면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해 분비된다. 즉 당을
분해
해 혈당량을 높이며 혈압을 높이고 근육을 긴장시키거나 감각 기관을 예민하게 만든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불안과 초조 상태가 이어지고 심하면 두통이나 불면증이 나타난다.코허 박사는 “다크초콜릿 안에 들어 ... ...
사막이라도 괜찮아~! 낙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낙타는 이 지방을
분해
시켜 물과 영양분을 얻어요. 물을 따로 먹지 않아도 지방이
분해
되면서 몸 속에 수분이 공급되는 거지요. 덕분에 긴 여행을 할 때 유리해요. 3일 동안 물을 안 마셔도 끄떡없거든요.모래에 빠지지 않는 두 개의 발가락낙타의 발가락은 두 개! 두 개의 발가락은 아주 두툼하고 ... ...
① 수학 잘 하면 탄소 줄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천천히 자전거를 타면 75kcal를 소비한다.운동에 필요한 에너지는 몸속에 있는 영양분이
분해
되면서 발생한다. 산소와 반응한 영양분은 에너지와 함께 이산화탄소를 낸다. 힘든 운동을 할수록 더 많은 산소와 에너지가 소비된다. 이 때 그만큼의 이산화탄소도 내보내는 셈이다. 결국 걷기나 ... ...
③ 환경 지킴이, 수학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플라나리아, 산천어 등이 사는 물은 1급수로 오염 물질이 거의 없다. 물속의 오염물질을
분해
할 때 드는 산소량(BOD)이 1ppm(100만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 이하여서 바로 마실 수 있다. 피라미나 은어가 사는 물은 2급수로 BOD가 3ppm 이하로 끓인 다음 마실 수 있다. 거머리나 붕어가 사는 물은 3급수로 ... ...
Part 1. 달력의 생명은 정확도!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7일은 어디서 왔을까요? 몇가지 설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먼저 달의 모양 변화를 4등
분해
7일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달의 모양이 변하는 주기인 29.5일을 4로 나누면 대략 7일이 됩니다. 옛날 사람들이 달의 모양을 보고 적당히 날짜를 나눠 생활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또 다른 설은 우리가 ... ...
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연구까지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기타사토대 의학대학원) ‘판다의 똥에서 추출한 박테리아가 음식 쓰레기의 90% 이상을
분해
함을 밝힘’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단백질 합성공장 리보솜 비밀 밝혀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브래지어 방독면 개발에서 임신부 척추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생체 바이오영상 응용과 비교분석’, ‘쿠키 게임’, ‘폐슬러지를 이용한 미생물의 생
분해
성 플라스틱 PHAs의 합성에 관한 연구’ 등 흥미로운 논문이 실렸다. 김명환 이사장은 “이공계 교수의 지도를 받아 연구를 진행하기 때문에 논문 수준이 높다”며 “다만 논문을 심사할 때 학생이 연구 ... ...
명품 바이올린의 비결은 ‘균’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나왔다.스위스 연방 재료연구소 프란시스 슈바르체 박사팀은 스트라디바리우스를
분해
한 뒤 나무 판의 공명 주파수를 측정한 결과 나무에 소량의 균류가 번식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인공적으로 균류를 번식시킨 나무로 제작한 바이올린도 소리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효과를 낼 수 있다. 지름이 수백km에 이르는 전파망원경의
분해
능이 구현되는 셈이다.
분해
능이란 망원경에 맺힌 상이 명확하고 뚜렷하게 보이는 정도다.각 전파망원경으로 수집된 원자료는 1초당 1GB(기가바이트, 1GB=109B)) 정도씩 기록되는데, 한 번 관측할 때마다 쌓이는 자료의 양이 각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