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5,13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믿는 도끼를 잔뜩 고른 나무꾼은…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확률이 높으며 관계의 다양성도 떨어진다. 사실 관계 초기에 엄격하려고 해봤자 정보 자체가 제한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고, 관계가 진행되면서 엄격해지는 게 전체적으로 더 낫다. 일단 믿고 나면 정리를 현명하게 하는 게 중요해진다. 부정적인 정보에 집중하면서도 ‘지나치게’ 부정적인 면만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하다. 누가 그랬다. 독서란, 어떤 책을 읽고 영감을 받아 다음에 읽을 책을 정하는 과정 그자체라고. 과학책이 읽고 싶지만 선뜻 그러지 못했던 외로운 독자들에게 이 책이 출발점이 돼 줄 것이다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필자도 이 프로젝트에 간접적으로 참여했다. 체스는 경우의 수는 많지만, 규칙과 목표 자체는 단순한 게임이다. 컴퓨터의 장점, 즉 극대화된 계산 능력이 빛을 발하기에 꼭 맞는 분야다. 그에 비해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어는 규칙이 단순하지 않고, 같은 표현이라도 전체 맥락에 따라 의미가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나는 계속해서 커졌다. 연결 방식을 바꾸기도 했고, 나중에는 아예 나를 구성하는 뇌세포 자체를 조금씩 개조해서 더 성능이 좋은 방식으로 고치기도 했다. 그러니 연결된 전체 덩어리의 효율은 더욱더 좋아졌다.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복잡한 문제를 생각하고, 동시에 모든 단순한 일들에 ... ...
- [News & Issue] 금성에 5년 지각, “그래도 잘 부탁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눈으로 확인되지 않은 것으로는 금성의 번개도 있다. 번개는 존재 자체로도 의미가 있지만, 금성의 구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한 연구과제다. 번개 관측도 아카쓰키에게 기대하고 있다.금성은 크기와 밀도가 지구와 매우 비슷해서 지구의 ‘쌍둥이 행성’이라고도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경북 경주의 월성원전에서 중수를 활용해 산업용 삼중수소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에는 아직까지 중수로가 없다. 평안북도 영변의 흑연감속로를 중수로로 바꾸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으로 폭탄에 필요한 대량의 삼중수소를 확보하긴 힘들다. 황주호 ...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때 니세롱의 책을 참고한다더군요. 오로스의 그림은 거울에 비추기 전 상태라 해도 그 자체로 멋진 풍경화랍니다. 원기둥 거울에 비추기 전에는 어지러운 방 안의 모습인데 이 그림 한 가운데에 거울 기둥을 두니 거울 속에 아인슈타인이 나타났지요? 그렇게 어렵지 않는 수학으로 이런 작품을 만들 ... ...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많죠. 하지만 해석학 공부를 깊이 하다 보면 생각이 달라져요. 증명에 이용하는 아이디어 자체가 중요해지기 때문이죠. 여기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몇 쪽이 넘어가는 증명도 결국 하나의 아이디어에 좌우된다는 걸 알 수 있어요.여러 나라에서 공부를 해보셨다고 했는데, 외국에서 연구를 할 때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키가 쑥쑥! 자라는 비법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서 있거나 걷거나, 뛰거나, 춤출 수 있도록 뼈를 지탱하지요.근육을 기르자!연구팀은 뼈 자체의 힘과 뼈가 자라는 속도, 주변 근육의 힘 등 여러 가지 변수를 바꿔 수학모형에 적용해봤어요. 그 결과 근육이 지지하는 힘이 적을수록 뼈가 자라지 않고 또 굵기도 가늘어질 수 있다는 결과를 ... ...
- [News & Issue] 세계 상위 1% 한국인 과학자는 누구?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기관인 톰슨로이터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 명단을 1월 14일 발표했다. 자체 학술 정보 데이터베이스인 ‘웹 오브 사이언스’를 이용해 2003년부터 2013년까지 등록된 논문 12만 건 이상의 인용 지수를 평가한 결과, 상위 1%에 속하는 과학자는 총 3126명이었다. 한국인 연구자들은 총 1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