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꼬리 프로펠러 없는 헬리콥터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있다.헬리콥터는 메인 로터(가장 큰 바람개비 모양의 프로펠러 회전자)가 양력과 앞
뒤
로 진행하는 힘을 낸다. 그리고 시코르스키의 1호기 이래, 메인 로터의 회전에 의해 기체자체가 회전해버리지 않도록 테일(꼬리)의 로터 시스템이 채용되고 있다. 꼬리 프로펠러가 회전함으로써 기체자체의 회전을 ... ...
5초만에 주름지수 산출하는 장치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그것을 처리하는 퍼스널 컴퓨터로 구성돼 있다.먼저 주름의 형태를 화면에 읽어들인
뒤
3차원 좌표로 수치화하여 주름의 깊이와 크기 그 사람의 연령을 계산, 몇살 정도의 주름에 해당하는가 하는 지수를 산출한다.측정에 1초, 계산처리에 4초 이하가 걸린다는 이 장비의 성능은 주름예방화장품의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있다. 이에 따라 출발점부터 이미 배선이 다른 남자아이의 뇌와 여자아이의 뇌 속에 그
뒤
의 환경요인이 작용한다고 생각된다.지적능력에 있어서의 성차의 대부분은 IQ 등 총체적 지적 수준에 의한 것이 아니라 능력의 종류에 따른 특정능력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지금까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 ...
인체속 소금의 기능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좋은 예언자로서, 어릴 때의 혈압 분포 곡선은 청소년기를 지나 성인이 되어서까지 계속
뒤
따르는 현상으로 보인다고 지적하고 있다.학자들은 인류가 지구상에 생존하면서 수많은 생리적 기전들이 유전인자내에 포함될 당시의 식염 섭취량을 0.6g으로 추정한다. 그 이후 육식을 주로하던 수렵인들의 ... ...
노벨상 못타도 부끄럽지 않은 과학자 길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역시 그 변화를 몸으로 받아들여 세월을 곱씹게 한다. 이제는 대부분 은퇴해 한발짝
뒤
로 물러나 있고, 안타깝게 세상을 떠난 이도 있다.이 사진을 찍은 것은 6·25 전쟁이 끝난 직후였다. 서울대 문리대 정문 앞에 선 우리들 여섯은 젊고 팔팔했다. 지금 기억으로 이 사진을 찍은 날 대학에서 세미나를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가드너가 미국의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고정칼럼에 '생명'(Life)을 소개한
뒤
부터였다. '생명'은 영국의 수학자인 존 콘웨이가 1968년에 발명한 세포자동자다. 네모난 칸으로 구성된 격자모양의 판 위에서 혼자하는 일종의 게임이다. 각 칸의 운명이 아주 간단한 규칙에 따라 생존 죽음 ... ...
1. '공룡 IBM' 쓰러뜨린 개미군단 다운사이징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각종 주변기기의 통제와 사용자의 접속허가 보안유지 등 모든 일을 도맡아 처리한
뒤
처리 결과만을 단말기에 보내주었다. 호스트 컴퓨터는 여러 대의 터미널에서 요구해오는 내용을 모두 만족시켜주기 위해 시분할기법(time-slicing)으로 멀티유저 멀티태스킹을 지원한다.메인프레임을 구성하고 있는 ... ...
너무 많이 아는 것?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일이 쉬워지고 있다. 또 다른 컴퓨터 기술로는 물체를 '잘라' 코드의 형태로 분리한
뒤
, 한 컴퓨터에서 멀리 떨어진 다른 공장의 컴퓨터로 그 코드를 보내 다시 그 물체를 재조립하게 할 수도 있다. 이미 어떤 도시에서는 무선장치를 가진 교통경찰이 주차비를 내었는지를 알아내기 위해서 우리의 ... ...
세계 최초로 '전자의 액체론적 파동성격' 주장한 새개념 초전도 이론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하는 새로운 초전도체 이론은 사실 자유전자의 점성이 전기저항이란 발견적 해석을 한
뒤
, 좁은 공간속의 질량이 작은 입자는 저온에서 파동성질을 가질 확률이 높다는 환원적 설명을 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여지껏 있어왔던 초전도 현상에 대한 해석이나 이론과는 접근법이 근본적으로 ... ...
(2) 우주의 시작에서 마지막까지 표준우주모델 시나리오의 기틀 마련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시간과 공간이 우주에 있는 물질과 에너지에 의해 어떻게 거대한 규모로 휘어지고
뒤
틀리는지를 다루고 있다. 일반상대성이론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힘으로서의 중력 개념을 완전히 배제했다는 데 있었다. 아인슈타인은 중력을 힘으로 생각했던 과거의 사고 대신에 리만이 제시하는 굽은 공간을 ... ...
이전
1146
1147
1148
1149
1150
1151
1152
1153
1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