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행성은 한 별자리에 머물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잘못된 SF 영화나 TV극에서 보듯이 별들이 우주선이 진행함에 따라서 가로수가 지나가듯
뒤
로 지나기는 장면은 도저히 기대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는 물론 잘못된 공간 척도 개념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잘못된 시간 척도 개념에서 비롯된 대표적인 예로서는 수억년 전인 중생대에 번성하였던 ... ...
5 파일럿이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임관, 공군 전투조종사로 일정기간 복무 후 민간항공사에 입사한다. 소정의 교육을 받은
뒤
본격적으로 민항공 조종사로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대한항공 및 아시아나 항공사에 많은 졸업생들이 근무하고 있다.또한 ROTC를 지원하지 않은 학생들은 육군 및 해군에 지원하여 장교로 임관, ... ...
준비는 완료, 장기확보가 문제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대사(代謝)를 위해 다른 기관과 인결돼있는 것은 불문가지의 사실. 만약 혈관을 자른
뒤
이식장기의 것이 제대로 결합되지 못하면 혈액이 흘러들어갈 수가 없다. 특히 현재의 장기이식 중에서는 간이식이 연결부위에 미세혈관이 많고 담도 등 타기관과의 연결도 많아 가장 섬세한 기술을 요한다.수술 ... ...
세계 최초 초전도선 야마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연구인력이 부족하고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초전도선 개발의 우선순위가
뒤
로 밀릴 수 밖에 없는 형편이다. 실제 야마토를 개발하는데 일본 관련 기자재업체의 기술수준이 상당함에도 불구하고 약 35억엔이 투입되었다고 한다.필자가 지난해 10월 일본에서 개최된 제1회 초전도 전자추진선 ... ...
스타시티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알려진 것처럼 혼자서 미르에 남겨진 것은 아니었다. 앞 5개월은 선장 아르체바르스키와,
뒤
5개월은 바르코프와 같이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외롭지 않았다고 말했다. 쿠데타가 발생했을 때나 연방이 붕괴되고 새로운 독립국가연합이 세워졌을 때 일손을 놓고 조국의 장래에 대해 열심히 토론도 ... ...
화면속에 뛰어들어 실제체험 느끼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동적인 파노라마를 보여주게 된다. 여기에서 주목할 사실은 피험자의 신발에 끈을 매단
뒤
이것을 모터로 끌어 발에 반력(反力)을 느끼게 함으로써 실제로 피험자가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걷는 동작만 되풀이해도 보행하는 느낌을 주는 인공적인 체성감각이 실현됐다는 점이다.또 미국의 ... ...
컴퓨터 그래픽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기술을 이용해서 걸음걸이를 시켜볼 수 있는 정도다. 그리고 그 걸음걸이 모습을 관찰한
뒤
이상한 점이 있으면 다시 한번 수술과정을 조정하고, 이 과정을 걸음걸이 모습이 완전해질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이런 과정이 환자를 상대로 직접 행해질 수는 없기 때문이다.그래픽 기술은 수술에서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골수 이식수술이 행해지고 있다. 종양세포에 대한 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을 사용한
뒤
에 건강한 골수조직을 환자의 혈중으로 주입한다. 골수는 환자 자신에서 채취한 것을 사용하기도 한다. 환자에서 뽑아낸 골수를 얼린 다음 단클론항체로 종양세포를 제거하여 다시 환자에게 이식하는 일종의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하면 목근육이 이상발달하며, 농구를 하면 등이 굽을 수도 있으므로 고등학교에 입학한
뒤
에 특정종목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일본 청소년보다 키 작아입시위주의 과중한 학교교육에서 오는 스트레스도 발육저해를 초래할 수 있다. 우선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게 되므로 성장에 방해를 받는다.그 ... ...
스티븐 메이슨 「과학의 역사」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언급하고 있다.'과학의 역사'를 통해 앞으로만 달리기에도 벅찬 현대인들이 가끔씩
뒤
를 돌아보는 것도 오히려 발전의 더 큰 밑거름이 된다는 것을 알게 되기를 희망해 본다. 이 책은 박성래 교수가 번역해 「과학의 역사 Ⅰ」과 「과학의 역사 Ⅱ」(까치글방)로 1981년에 국내에서 출간된 후 198 ... ...
이전
1167
1168
1169
1170
1171
1172
1173
1174
1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