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컵까지먹을수있다! 초콜릿으로 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이 때문에 혀에서 미끌거리는 감촉을 느낄 수 있죠. 지방층은 혀 표면뿐만 아니라 입안 전체를 감싸서, 초콜릿을 다 먹은 뒤에도 초콜릿이 입안에 오랫동안 머물러 있는 느낌이 나는 거예요. 연구에 참여한 시아바시 솔타나흐마디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초콜릿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어느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심해 생태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어요. 해면은 스폰지처럼 몸통 전체에 구멍이 뚫려 있는 무척추동물이에요. 해면은 독특한 골격을 지녀 게, 조개, 불가사리 같은 다른 동물들의 집이 되어 주지요.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탄 스트라트만 연구원은 “망간단괴가 사라지면 해면이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관건은 특정 위치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유일한 조각을 찾아내는 거예요. 그것만 찾으면 전체 조각 개수 n에서 한 조각을 뺀 n - 1 조각의 조합을 찾으면 되거든요. 조각 중에 혼자만 뾰족한 각이 있거나 특이한 곡선이 있는 부분이 있거나 하는 특징을 빠르게 파악한 뒤, 이 조각이 들어갈 수밖에 없는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조각들로 구성된 퍼즐 같아서 하나라도 잘못된 퍼즐 조각이 있거나 빈틈이 있으면 전체 퍼즐을 완성할 수 없어요. 영국의 수학자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1877~1947)의 저서 에 수학에 관한 유명한 글이 있어요. 우리가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의 인생을 다 알지는 못하지만, 그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003년 4월 14일,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를 진행해온 인간 유전체 컨소시엄은 “근본적으로 완전한 인간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완료했다”고 발 ... 생물학의 범위 내에서 알아내고자 하는 답에 가깝다. 이 답을 찾을 때까지, 더 정확한 유전체 지도를 만들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정리 : 시공간의 각 점에서 물질의 에너지에 관한 조건으로부터 시공간의 경계에서 전체 에너지를 이끌어 내는 정리다.*불변량 : 어떠한 연산이나 변환에 관계없이 변하지 않는 수학적 대상의 성질을 말한다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많이 읽은 것이 발명 과정에서 마주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합니다. 센서 전체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모의실험 프로그램으로 따져봤는데, 그 프로그램은 전선 자체에 있는 저항을 계산하지 않아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어요. 전선에도 저항이 있다는 사실을 ... ...
- [한 장의 과학] 서남극 빙붕의 돌이킬 수 없는 미래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높이고 빙붕이 녹는 현상이 촉진됐다고 밝혔다. 서남극 지역의 빙붕이 모두 녹으면 전체 해수면은 5.3m가량 상승한다. 노턴 연구원은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을 통해 “파리 협정에서 결의한 탄소중립 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2100년 들어 빙붕이 녹는 양상이 진정됨을 확인했다”면서 “지금 이 ... ...
-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유전자는 한 생명체의 정보를 담은 청사진이다. 유전자에 담긴 정보를 통해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대사 활동이 조절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 생명 ... 인간 유전체 해독 43년, 이제야 끝이 보인다PART 1. 인간 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PART 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학을, 나중에는 사회에 혁명적 변화를 일으킬 거라는 내용이었죠. 지금까지의 유전체학은 생물학을 바꿨고, 지금은 의학을 바꾸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사회를 바꾸게 되겠죠. 많은 분들이 유전자를 어렵거나 복잡한 것으로 느끼지 않는다면, 이런 변화가 더 빠르게 오리라 생각합니다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