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커리어]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제약공학자란 꿈을 이뤄보는 하루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바이오세상 교육사업팀장은 “바이오세상에듀의 제약공학자 수업은 신약개발 과정 전체를 체험해볼 수 있도록 구성한 실험들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를 향상시킨다”면서 “학생들이 앞으로 갖춰야 할 역량을 경험을 통해 알아보는 시간”이라고 수업 의의를 설명했다. 수업은 제약공학의 개념과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많이 읽은 것이 발명 과정에서 마주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됐다고 합니다. 센서 전체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컴퓨터 모의실험 프로그램으로 따져봤는데, 그 프로그램은 전선 자체에 있는 저항을 계산하지 않아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어요. 전선에도 저항이 있다는 사실을 ... ...
- [최신이슈] 과학동아로 돌아본 올해의 이슈 10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비당류감미료는 영양적 가치가 없다”며 “건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식품 단맛을 전체적으로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7월 14일에는 WHO 소속 국제암연구기관(IARC)이 아스파탐을 발암 위험도 2B군의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했다. 2B군은 암을 일으킨다는 증거가 충분하지는 않지만 발암 가능성이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학문’이라는 뜻으로 수가 있는 것만 수학이라는 편견을 심어주고 수학이 다루는 세계 전체를 설명하지 못해요”라고 설명했어요. “수학의 세계는 넓어요. 무한의 세계부터 논리까지 다양합니다. 일본을 비롯한 한국의 많은 독자에게 이 사실을 전하기 위해 제 자리에서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조각들로 구성된 퍼즐 같아서 하나라도 잘못된 퍼즐 조각이 있거나 빈틈이 있으면 전체 퍼즐을 완성할 수 없어요. 영국의 수학자 고드프리 해럴드 하디(1877~1947)의 저서 에 수학에 관한 유명한 글이 있어요. 우리가 위대한 업적을 남긴 수학자의 인생을 다 알지는 못하지만, 그 ... ...
-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유전자는 한 생명체의 정보를 담은 청사진이다. 유전자에 담긴 정보를 통해 몸을 구성하는 단백질이 만들어지고 대사 활동이 조절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 생명 ... 인간 유전체 해독 43년, 이제야 끝이 보인다PART 1. 인간 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PART 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의학을, 나중에는 사회에 혁명적 변화를 일으킬 거라는 내용이었죠. 지금까지의 유전체학은 생물학을 바꿨고, 지금은 의학을 바꾸고 있습니다. 앞으로는 사회를 바꾸게 되겠죠. 많은 분들이 유전자를 어렵거나 복잡한 것으로 느끼지 않는다면, 이런 변화가 더 빠르게 오리라 생각합니다 ... ...
- [5년 후 과학은] 인류의 미래를 쌓아올릴 혁신 기술 '적층성형 기술'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상당히 약합니다. 그래서 필라멘트처럼 계속 공급 가능한 선의 형태로 소재를 가공하고, 전체 형상을 분할한 각 층별로 소재를 녹여 한 층씩 쌓아올립니다. 이것이 FDM(Fused Filament Fabrication) 방식입니다. FDM은 가장 대표적인 적층성형 방식이며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반면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개념 먼저 다지고 문제 속으로 서울과학고 오유찬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어떤 항목으로 분류되는지를 외운 뒤, B5 서가에 있는 각 책의 배치를 외우는 거죠. 서점 전체의 풍경이 자기 머릿속에 완벽하게 그려질 때까지 반복해요. 그 목차를 들고 다니면서 계속 읽어요. 이렇게 배운 개념을 잘 다진 다음 문제를 많이 풀면 수학 실력을 쌓을 수 있어요. Q. 문제를 잘 푸는 ... ...
- [포토뉴스] 세상에서 가장 큰 꽃 라플레시아 멸종 위기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신종 라플레시아가 20종 가까이 발견됐다. 그러나 라플레시아 서식지의 67%가 파괴돼 종 전체에 심각한 멸종위기를 가져왔다. 연구팀은 “그럼에도 현재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멸종위기종 적색목록에는 한 종의 라플레시아(Rafflesia mira)만 등록돼 있어 라플레시아의 위급한 상황이 잘 알려지지 않은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