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 대규모 감소 1940년대 이미 시작됐다"
연합뉴스
l
2024.02.27
후퇴는 극단적 엘니뇨 패턴 때문에 시작된 것으로 보이지만 엘니뇨가 수년 만에 끝난
뒤
에도 스웨이츠 빙하와 파인 아일랜드 빙하가 계속 빠르게 후퇴한다는 점이 중요하다"며 "스웨이츠 빙하가 불안정해지면 서남극 모든 얼음이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 출처 : PNAS, Rachel W. Clark ... ...
2027년 발사 누리호에 우주쓰레기 처리 위성 실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큐브 위성이나 소형 위성을 대상으로 로봇팔이나 우주 그물을 이용해서 고도를 낮춘
뒤
자연스럽게 연소하도록 만들어 처리하는 것이다. 이후 더욱 고도화된 역할을 하게 된다. 과기정통부는 20일부터 ‘능동기술 실증위성’ 개발을 책임질 주관연구기관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개발계획서 ... ...
'감염병X ' 대응 백신주권에 '한걸음'…셀리드, '다가백신' 전략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광범위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확인됐다. 최대한 성질이 다른 항원들을 분류해낸
뒤
각각을 겨냥하는 백신을 설계한 이 방식은 새로운 변이들에 대응하는 데 효과적인 다가백신 개발 전략으로 평가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같은 '항원 지도 기반 다가백신 발굴 전략'은 다양한 백신 플랫폼에 ... ...
발달장애·지적장애 일으키는 새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그리고 전 세계 환자유전체 빅데이터 정보를 활용해 ZFX를 원인유전자 후보로 선발한
뒤
, ‘제브라피쉬’를 이용해 입증했다. 몸에 줄무늬가 있는 열대 민물고기인 제브라피쉬는 유전체 구성이 사람과 비슷해 실험에 자주 사용된다. 제브라피쉬를 이용하는 연구단계에서 충남대학교 연구팀이 ... ...
땅콩·계란 들었나 조마조마…식품 알레르기 치료약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2~4주 간격으로 졸레어나 위약 주사를 투여받도록 무작위 배정됐다. 투약 과정이 끝난
뒤
에는 미량의 식품 알레르기 유발 물질을 견딜 수 있는지 테스트가 진행됐다. 그 결과 졸레어 투여 그룹 118명 중 79명(67%)은 심각한 증상 없이 한번에 최대 600mg의 땅콩을 섭취할 수 있었다. 위약을 투약받은 5 ... ...
뇌파 닮은 초음파로 인지기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외과적 수술 없이 뇌파 형태의 초음파 자극으로 뇌 기능을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됐다. 장기적인 효과도 확인돼 향후 뇌질환 치 ...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24일 게재됐다. 초음파 자극을 가한
뒤
나타나는 신경조절 메커니즘 모식도. IBS 제공 ... ...
반려동물과 영원히 함께할 수 있을까…복제 동물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24
반려동물의 죽음을 경험한 사람 137명 중 32~55%가 펫로스 증후군(반려동물이 세상을 떠난
뒤
경험하는 상실감과 우울 증상)을 경험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왼쪽부터)유튜브 채널 '사모예드 티코' 운영자는 자신이 키우던 반려동물(왼쪽) 복제를 의뢰해 복제 동물 2마리(오른쪽)를 기르고 ... ...
스트레스 받으면 암 전이되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연구팀은 우선 암에 걸린 쥐 모델의 가슴에 있는 암세포를 떼어내 폐로 퍼뜨렸다. 그런
뒤
쥐에게 스트레스를 지속적으로 유발한 결과 전이된 병변이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스트레스를 받지 않았을 때보다 최대 4배까지 전이 속도가 증가했다. 연구팀은 ... ...
'빛 회절 난제' 극복한 광 디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극복했다. 1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의 간격으로 100층의 기록판을 쌓아 올린
뒤
54나노미터로 정보를 입력했다. 정보를 처리하는 데 빛을 활용하기 위해 빛을 응집시켜 정보를 처리하도록 했다. 이렇게 개발된 광 디스크 메모리는 페타바이트 수준의 메모리를 저장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 ...
얼큰한 국민음식 '육개장', 생물 다양성에는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에 소개된 인기 음식 목록을 정리하고 각 음식을 825칼로리로 표준화했다. 그런
뒤
각 음식을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식재료들의 생물다양성 발자국을 계산했다. 식재료를 생산하는 농경지 내 야생 포유류·조류·양서류의 다양성을 토대로 각 식재료의 생물다양성 발자국을 계산한 다음 이를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