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II 간척·항만건설·조력발전 등 개발의 명암과학동아 l1988년 04호
- 평가되었으나 제2제철소 및 공업항개발에 관련된 입지논쟁으로 빛을 보지 못했다.그뒤 조력발전소 건설이 구체화된 것은 한국전력이 76년에 제출한 조력발전추진계획안에서 비롯된다. 정부는 86년말까지 40만KW급 조력발전소의 가동을 목표로 단계별 사업촉진계획을 발표한 바 있는데, 1단계는 ... ...
- PART4 인공심장, 제2단계로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심실이 하는 일이 심방보다 훨씬 많기 때문이죠. 심장의 아래 부분인 심실을 절개한 뒤 피가 들어오는 쪽은 심방에, 나가는 쪽은 대동맥과 폐동맥에 연결해서 사용하지요. ”김희찬연구원의 설명이다. 이렇게 놓고 보면 심방과 심실을 모두 갖춘 완전한 인공심장의 탄생은 아직 요원한 것으로 ... ...
- 귀동냥으로 배우는 16비트 PC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중개인, MS-DOS과학동아 l1988년 04호
- 981년에 ‘시애틀 컴퓨터 프로덕츠’(Seattle Computer Products)사의 SCP-86 DOS를 구입하여 개선한 뒤 발표한 것으로서 8비트 개인용 컴퓨터의 표준 오퍼레이팅 시스팀이던 CP/M-80과 상당히 유사하였다.그러나 1983년에 발표된 MS-DOS 버전 2.0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 의해 개발된 새로운 오퍼레이팅 시스팀이었다. ...
- 봄에 사람을 괴롭히는 화분증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알레르기체질인 사람은 불행하게도 보통사람보다 많은 lgE를 지니고 있다.lgE는 호흡기계 뒤쪽 비만세포의 막(膜·membrane)위 수용체(receptor)나 혈류속의 호염기구(好塩基球·basophils)에 붙어있다. 이 두가지형의 세포는 모두 외부에서의 침입자에 대한 방어역할을 한다. 이 세포속에는 과립(顆粒)속에 ... ...
- 화석식물 은행나무 잎의 신비한 성분, 인공 합성에 성공과학동아 l1988년 04호
- 합성한 물질을 깅코B(Ginkgo B)라고 이름 지었다.깅코B는 앞으로 약제로서 좀더 보강된뒤 천식이나 해독 ‘알쯔하이머’병의 치료나 치료보조제로 쓰일것 같다. 또한 학자들은 최근 유행되고 있는 인공 장기의 이식 수술후 새로운 장기에 대한 거부반응을 완화하는데 깅코B가 유효할 것으로 예상하고 ... ...
- 향수어린 철도역사의 파노라마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새마을호로 운행되고 있는데 시속 1백50km. 기관차를 뗐다 붙였다 하지 않고 자체로서 앞뒤로 운행이 가능하다.이밖에도 시속 4백km의 서독제 자기부상식고속열차, 미국의 대륙횡단특급열차 등 세계의 유명한 열차들을 사진으로 보여주는 ‘세계의 철도’코너가 있고, 철도 발달사를 20분짜리 영화로 ... ...
- 전자(電磁) 플라즈마로 우주선을!과학동아 l1988년 04호
- 향한 엄지손가락 방향을 향한다는 것)에 따라 이 전류와 자장의 방향에 직각으로 뒤로 향하는 힘이 생긴다.전기추진을 채택하면 같은 일을 하는데 드는 추진제의 무게는 화학추진 일때의 10분의 1로도 충분하다. 그래서 우주선 발사 코스트가 현재의 3분의 2 내지 반으로 줄어든다고 기대되고 있다 ... ...
- 대분화를 일으킨 세계의 화산과학동아 l1988년 04호
- 이런속에서 1963년 발리섬의 아군화산 분화때는 분화구에서 10km권까지 흙탕사태가 뒤덮일것이 예상되어 당국이 즉각 대피명령을 내렸으나 지방자치단체가 기동성 있는 조치를 하지않아 2천명이나 목숨을 잃는 사태를 빚었다. 이때 주민들은 성령과 악마가 사는 곳이라고 믿고있는 아군화산 ...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위대한 과학자 스티픈 호킹과학동아 l1988년 04호
- 흥겨운 기분에 휘말려 휠체어를 무도장으로 몰고 들어가서 빙글빙글 돌았다. 그런 뒤 레스토랑에 들어 갔는데 웨이터가 방금 딴 포도주 마개를 호킹의 코밑에 갖다 대면서 향기로운 냄새를 맡게 했다. 호킹의 컴퓨터는 “아주 훌륭합니다”라고 말을했다. 그러나 실은 기관절개 수술을 했기 때문에 ... ...
- 수면 물질의 추적 왜 잠을 자게 되는가과학동아 l1988년 04호
- 1─2도 올라간다. 우리들의 대다수가 알고 있듯이, 감기나 그밖의 가벼운 병으로 열이 난 뒤에는 흔히 졸음이 이어진다. MDP가 졸음을 불러온다면 이것은 단순히 열의 부산물인가에 관한 의문이 현재 제기되고 있다. 여기에서 그 다음의 수면 물질 인터루킨─1(IL─1)이 등장한다. 크뤼거가 믿고 있듯이, ... ...
이전124012411242124312441245124612471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