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첨단 가상현실 체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설치되어 있는 2대의 ‘라이트하우스’ 센서는 적외선을 통해서 HMD와 컨트롤러의 위치와 움직임을 빠르게 파악해요. 즉, 현실 속에서 HMD를 착용한 사용자가 움직이면 라이트하우스 센서가 이를 바로 파악해 가상현실에 그대로 반영되는 거랍니다. 둥둥 떠다니는 그림을 그려 보자!“왼손을 내밀면 ... ...
-
- Part 2. 메가기둥 구조로 중력을 거스르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이용해 메가기둥을 단단하게 연결하는 ‘벨트 트러스 구조’를 건물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면, 더 강한 충격에도 견딜 수 있다. 단순히 개별 기둥을 합친 것보다 더 큰 저항력이 생긴다. 나뭇가지 여러 개를 묶었을 때 부러뜨리기 어려운 원리를 적용했다고 생각하면 쉽다. 트러스★ 여러 개의 ... ...
-
- 러시아 월드컵의 또 다른 스타 텔스타 18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쌍방향 정보수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칩도 탑재했습니다. 덕분에 축구공의 위치는 물론, 공의 속도와 이동거리 등을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으로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격 vs 수비, 어디에 더 유리할까? 공인구가 경기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큽니다. 공이 가진 특성에 따라 경기의 ... ...
-
- [필즈상] 미분기하학 분야 필즈상 0순위, 시몬 브렌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술법을 고안했습니다. 평균 곡률 흐름이란 평균 곡률에 의존하도록 리만 다양체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걸 말합니다. 같은 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서검교 숙명여자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브렌들 교수가 계속해서 좋은 연구를 선보이고 있기 때문에 필즈상 수상이 유력하다고 생각한다”면서, “201 ... ...
-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수 있습니다. 행렬은 숫자를 줄에 맞춰 나열한 것으로, 행렬을 더하는 건 두 행렬의 같은 위치에 있는 숫자를 더한다는 뜻이에요. 두 행렬을 더하려면 가로세로에 있는 숫자의 개수가 반드시 같아야 하지요. 편의상 앞에서 숫자로 나타낸 시작보드를 A, 도착보드를 B라고 합시다. 시작보드를 뒤집는 ... ...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C까지 살릴 수 있을 만큼 분열에 분열을 거듭한다는 점입니다. 보통 피부의 가장 바깥에 위치한 표피는 2주만 지나면 몸에서 다 떨어지고 적혈구는 겨우 4개월 정도밖에 살지 못한다는데, 이들의 빈자리를 열심히 채워주는 성체줄기세포가 새삼 고맙게 느껴집니다. [두 번째 질문 ... ...
-
- Part 1. 베테랑 사냥꾼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팀은 이전부터 이 중심별을 돌고 있는 행성들이 있을 거라고 추측했지요. 그래서 칠레에 위치한 망원경으로 이 중심별을 계속 관찰하고 있었답니다. 그 결과, 7개의 행성을 한꺼번에 발견한 거예요. 이 행성들을 처음 발견했을 땐 놀라움을 넘어서 경외감까지 느꼈답니다. Q. 트라피스트-1의 ...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B의 과거와 만나고, B는 미래의 A를 보게 된다. 시간이 더 흘러 12시가 되면, A는 처음 0시의 위치에 있게 되고, B의 눈에는 A가 12시간을 거슬러 시간여행을 한 것처럼 보인다. 수학은 물질의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시간이라는 차원을 얼마든지 구부릴 수 있다. 현실 세계에는 아직 이 아이디어를 ...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제자리로 오는 각도인데, 400°, 1000° 같이 360°보다 큰 각도는 실제로는 40°, 280°와 똑같은 위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제자리에서 400°만큼 회전했다’는 건 360°를 돌아 제자리로 돌아온 뒤 40°만큼 더 돈 거니까 처음부터 40°를 돈 것과 차이가 없는 거지요! ‘도(°)’는 마음 속에~.방송을 ... ...
-
-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한국 이론가들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박성찬 연세대 물리학과 교수는 남극에 위치한 ‘아이스큐브(IceCube)’ 중성미자 관측소에서 관측된 새로운 중성미자가 암흑물질이 붕괴한 신호일 수 있다는 이론을 2015년 7월 ‘피지컬 리뷰 D’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D.92.023529 아이스큐브는 가로 세로 ... ...
이전1281291301311321331341351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