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세계팔씨름연맹 기준에 맞춘 테이블에서 한다. 테이블의 높이, 팔꿈치 패드의 크기와 위치, 손잡이(핸드 페그)의 규격 등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다. 팔씨름은 ‘통뼈’가 잘한다?인터넷에 ‘팔씨름 잘 하는 법’을 검색하면 여러 가지 비법들이 나온다. 그중에는 과장된 정보들도 많다. 대표적인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더 깊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얻고 5월 21일 현재 학술지에 투고 중이다. 이는 진원의 위치가 지열발전소의 주입정과 생산정 인근인 지하 4.3km 안팎이라는 김광희 부산대 교수팀의 연구결과와 배치되는 주장이다. 홍 교수는 “아직 논문으로 발표되지 않아 얘기하기 조심스럽다”면서도 “기상청과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을 이용해서 해보니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왔습니다. 비장은 횡격막 아래 왼쪽 옆구리에 위치한 장기로, 피를 걸러내고 백혈구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죠. 메트칼프 교수는 태어난 지 하루도 채 되지 않은 쥐 6마리에서 6개의 비장을 추출해 어른 쥐에 이식하고 6주를 기다렸는데요. 이식된 비장이 ... ...
- 이공계 직업 정보 [ 생명과학 & 생명공학 ]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특정 질병에 걸릴 가능성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지도를 제작하고 있다. 바로 유전자의 위치와 기능을 알 수 있는 ‘유전자 지도’다. 생명정보학자는 유전자에 담긴 정보를 분석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생명정보학은 생명과학과 생명공학뿐 아니라 정보기술(IT)이 결합된 융합 ... ...
- 누구나 쉽게 상상을 현실로, 한캐드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한캐드를 개발한 이유를 설명했다. 한캐드의 주요 화면은 3차원 공간 좌표로 돼 있다. 위치는 물론이고 회전 방향, 도형의 크기 모두 좌표로 조절한다. 한캐드로 물체를 설계하다 보면 다양한 입체도형과 좌표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공간지각능력이 자연스럽게 키워지는 건 덤이다. 디자인에서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하다.3. 독수리의 일종인 터키콘도르의 날개뼈에 있는 깃혹(점선 원).4. 깃털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연조직만 해부했다. 이 교수는 “다만, 중국에서 티라노사우루스의 조상격인 ‘관롱’과 ‘딜롱’의 깃털 화석이 발견돼 티라노사우루스도 깃털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덧붙였다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DNA가 다시 복구될 수 없을 정도로 산산조각 난다”고 설명했다. 중입자는 암세포가 위치한 지점에서 방사선량이 최고에 이르는 만큼 치료 과정에서 주변 정상세포에 피해를 거의 입히지 않는다. 또 암세포로 발전할 가능성을 가진 ‘저산소세포’까지 궤멸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중입자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세대는 모든 신입생들이 1년간 인천 송도에 위치한 국제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수업을 듣고 공동체 생활을 하는 RC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RC 프로그램은 미국 하버드대와 예일대 등 세계 유수의 명문대들이 운영하는 교육 방식을 도입해 한국의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거의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수온이 1~3도로 낮고, 1년 내내 거의 변화가 없다. 또 시간이나 위치에 관계없이 해수의 성질도 거의 비슷하다. 공기층을 이루는 기권기권은 지상에 가까운 곳부터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 등 네 영역으로 나뉜다. 대기 중 80~85%는 대류권(고도 11km 이내)에 포함된다. ... ...
- 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필요해요. 서울대학교 기계항공공학부 이동준 교수는 “최근 군집로봇의 이동과 위치 인식 기술 등이 상당히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Part 3.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