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소
재료
원료
물질
소재
원소
실재물
d라이브러리
"
성분
"(으)로 총 3,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 너를 파헤쳐 보자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있지만, 물을 먹지 않고는 며칠밖에 견딜 수 없다.물을 이루는 물질은 무엇일까물의 구성
성분
을 알기 위해 제일 쉽게 할 수 있는 일은 전기 분해다. 물을 전기 분해하면 두 종류의 기체가 발생한다. (-)극에서 발생하는 기체에 불을 붙이면‘펑' 소리를 내며 연소하고, (+)극에서 발생하는 기체에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는 벨연구소에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한 루비를 매질로 사용했다. 루비 결정의
성분
인 산화알루미늄에는 원자의 일부가 크롬 원자로 대체돼 있어 유도방출한 빛이 붉은빛을 냈다. 또한 다른 연구팀들이 시도하지 않았던 플래시 램프의 펄스광을 사용했다. 램프의 모양은 매질이 광원을 최대한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양액A, 양액B, pH조절액 3가지인데, 양액A와 양액B는 식물생장에 필요한 미네랄 같은
성분
이 들어 있습니다.”안 이사는 ‘재배 노하우’라 구체적인 조성을 알려줄 수 없다며 양해를 구했다. pH조절액은 말 그대로 배양액의 산성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펀지가 끼여 있는 흰 선반을 ... ...
타이탄 거대한 신화 속 과학이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따라 유기물을 이루는 결정 상태가 변하기도 한다. 또 유기물 본래의 화학
성분
이 다른
성분
으로 바뀌기도 한다. 대표적인 예가 땅에 묻힌 나무에 이산화규소가 쌓여 만들어진 규화목이다. 신화에서 메두사가 하던 일을 현실에서는 자연과 시간이 하고 있는 셈이다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진행된 혈관 내에 숨어 있는 지방을 나노수준까지 정밀하게 파악해 영상을 얻는 동시에
성분
까지 분석할 수 있는 측정기술이 개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미래융합기술부 나노바이오융합연구단의 김세화 박사팀은 탄소와 수소 결합이 한곳에 집적돼 있는 지방은 특이한 구조 때문에 각기 다른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이는 샤크 만에서 봤던 시아노박테리아와 관련이 있다. 빨간 부분은 사암 속에 포함된 철
성분
이 대기 중의 산소와 만나 산화된 흔적이고, 검은 부분은 시아노박테리아가 붙어 화석화된 것이다. 결국 시아노박테리아로부터 시작된 산소혁명으로 형성된 지형이다.벙글벙글은 웃는 모습을 표현한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음식에서 매운맛을 낸다.녹차도 마찬가지다. 녹차에 들어 있는 카테킨과 카페인
성분
은 몸에서 열을 생산하고 지방 산화를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실제로 2009년 ‘국제비만학회지’ 9월호에 실린 연구결과를 보면 카테킨을 섭취한 사람은 위약을 섭취한 사람보다 1.31kg 정도 체중이 감소했다는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뜯는 게 전진, 한꺼번에 우표 하나를 뜯어내는 게 본진에 해당된다. 단층면의 지질구조와
성분
은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작은 지진과 큰 지진은 시간차를 두고 일어난다. 따라서 작은 지진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은 큰 응력이 쌓여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큰 지진이 이어 날 확률이 다른 곳보다는 ... ...
양귀비 진통 효과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직접 재배하거나, 화학적으로 합성하지 않고도 코데인이나 모르핀 같은 중요한 진통제
성분
을 미생물로 안전하게 생산할 수 있게 됐다”며 “조만간 이 유전자들을 효모나 박테리아에 도입해 약물을 실제로 생산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
포장지 안 뜯고도 선물 미리 본다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빛이 페인트를 만날 때 일어나는 현상을 자세히 조사했습니다.그 결과 흰색 페인트의 주
성분
인 산화아연층에 빛을 쬐어 6만 5000개가 넘는 다양한 정보를 모았지요. 여기에서 ‘전달 행렬’이라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를 이용해 산화아연 층을 빠져나온 빛을 측정해 그 뒤에 있는 물체의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