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요소
재료
원료
물질
소재
원소
실재물
d라이브러리
"
성분
"(으)로 총 3,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짝 반짝! 보석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화성암이나 퇴적암이 지하에서 열과 압력을 받아서 만들어진 암석이야. 이 때 암석의
성분
도 새롭게 변하지. 사파이어나 루비가 바로 변성암 속 광물의 일종이란다. 깐따삐야~! 난 우주에서 왔어!헤이~! 난 운석이라고 해. 보석이 되고 싶다고? 넌 돌멩이인 네가 못났다고 생각하니? 노노노~!그렇지 ... ...
지구의 붉은 눈물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용암이 됩니다. 용암의 속도는 마그마 속에 든 규산(SiO2)의 양에 따라 달라져요. 규소(Si)
성분
이 많을수록 용암이 끈적해 속도가 느립니다. 용암은 보통 사람이 달리는 속도와 비슷하지만 2002년 아프리카 콩고의 니라콩고 화산처럼 시속 100km의 속도로 흘러내리는 용암도 있어요.용암보다 더 위험한 ... ...
화가는 파란색을 좋아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예상하지 못한 문제가 생겼어요. 템페라를 바른 부분에 습기가 차기 시작한 거예요. 기름
성분
인 유화 부분에는 습기가 차지 않고 템페라에만 습기가 차자, 유화로 그린 색이 분리돼 우수수 떨어져 버리고 말았어요. 이 작품은 1980년대에야 비로소 복원돼 원래의 아름다운 파란색을 되찾을 수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섬유를 손상시키지 않고 견고한 내구성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물에 잘 녹고 녹말
성분
이 들어 있는 닥풀뿌리즙은 한지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종이 섬유의 결을 가로와 세로가 얽히게 만드는 ‘외발뜨기’라는 우리 고유의 제지 방식과 두 장의 종이를 붙여 한 장의 종이로 ... ...
[수학 통조림] 천만 가지 문자의 얼굴을 벗겨라!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호 통조림은 아~주 특이합니다. ‘미지수 맛’ 통조림이에요. 도대체 무슨 맛일까요?
성분
표를 보니‘생각에 따라 변하는 맛’이라고 쓰여 있어요. ‘생각대로맛’이라니 너무 신기합니다. 지금부터 즐겁고 가벼운 마음으로 ‘미지수 맛’을 보러 통조림 뚜껑을 따 볼까요? 너무 어려워하지 말고요!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갖춰 놓고 있다”며 “안전 기준이 엄격히 마련만 된다면 배양액을 재조합해 만든
성분
이든 배양액 그 자체를 사용하든 위험하지 않다”고 말한다.그럼에도 한동안은 줄기세포 화장품의 부작용에 대한 의혹은 잦아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줄기세포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화장품의 가짓수가 ... ...
1부. 아름다움의 비밀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들리진 않는 것처럼 이 이야기 역시 사실이 아닙니다. 종
성분
을 검사한 결과, 사람 뼈
성분
인 인이 없었거든요. 사람 울음소리로 착각하게 만드는 웅장하고도 애달픈 소리는 다름아닌 비대칭이면서 오목한 종 모양 때문입니다.보통 아름다움이라 하면 완벽한 대칭을 상상하겠지만, 에밀레종은 살짝 ... ...
[수학 통조림] 경우의 수를 따져라~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선생님은 어떤 밥, 어떤 국, 어떤 반찬을 할 것인지를 놓고 고민이 많다. 병원에서는
성분
은 같지만 모양이나 상태가 다른 약이 많아서 이 중에서 골라야 한다.이 외에도 영역을 나눈 다음, 짝을 지어 여러가지 경우를 만드는 일은 많다. MBTI성격검사에서는 4가지 선호 경향(외향적, 내향적/감각적,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이오의 활화산은 400곳이 넘는다. 이오는 매우 옅은 대기층을 가지고 있으며 대기의 주
성분
은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이산화황이다. 또 자체의 자기장이 없어서 목성의 강력한 자기장을 따라 이오에 날아오는 전자들 때문 에 화려한 오로라가 발생한다. 만일 사람이 발을 디딘다면 그만큼 위험한 곳이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이동은 더 위험했다.다행히 땔감으로 쓰는 유칼립투스는 기름
성분
이 많아 불 피우기에 좋았다. 들소의 마른 똥도 좋은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 여명이 밝으면 바로 떠날 수 있도록 짐을 꾸렸다.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짐을 최소로 줄였다. 노트북과 카메라에서 메모리와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