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08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역학이 지배하는 ‘나노세계 힘’ 측정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크기가 작아 현실세계에는 거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하지만 나노
미터
(10억 분의 1m)급의 작은 물질에서는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원자나 분자의 운동을 조절한다. 김 연구원팀은 이런 분산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작은 입자를 빠르게 물질 표면에 쏘아 표면 특징을 분석하는 기술을 이용했다. ... ...
'90.5를 기억하라'…인간마저 위협하는 플라스틱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2.09
내용을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이 실험 물고기로 흔히 쓰이는 제브라피쉬에게 수십nm(나노
미터
. 1nm은 십억 분의 1m)의 미세 플라스틱을 투여한 결과, 배아의 세포 속 미토콘드리아가 손상된 것으로 나타난 겁니다. 연구팀은 “미세 플라스틱은 자체로도 미토콘드리아를 손상시키지만, 다른 독성 물질과 ... ...
몸 온도 따라 스스로 열 방출 조절하는 기능성 섬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적외선이 있다. 새로 개발된 섬유는 평소에는 CNT간 전자기 결합에 의해 20마이크로
미터
(㎛, 100만분의 1m) 파장 이상의 적외선만 방출한다. 열이나 습도가 올라가며 상대습도가 올라가면 실에 코팅된 CNT간 거리가 가까워져 10㎛ 파장의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전자기 결합이 바뀐다. 상대습도가 ... ...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세포를 나타낸 일러스트. 게티이미지뱅크. 사람 세포의 크기는 대개 100㎛(마이크로
미터
) 안팎이다. 만약 이 세포의 크기를 10배 가량 부풀리면 어떻게 될까.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과학자들이 실험을 통해 세포 크기의 비밀을 밝혀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온라인판 7일자에 실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근섬유의 수축과 이완으로 힘을 내야 하는데 만일 보통 세포처럼 지름 수십㎛(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분의 1m)인 공 모양이라면 섬유가 너무 짧기 때문이다. 근육을 이루는 근섬유는 근육세포 하나로 이뤄져 있는데 길이가 수십㎝에 이르기도 한다. 세포에는 세포핵이 하나 들어있지만 ... ...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
과학동아
l
2019.02.06
발표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임플란트는 척수 구조를 모방한 형태로 지름 200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의 관 수십 개가 들어찬 비계 구조로 돼 있다. 그 안에는 치료용 신경 줄기세포가 들어 있다. 이 임플란트가 척수 손상 부위의 구조를 유지함과 동시에, 신경 줄기세포가 올바른 ... ...
美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 화성 샤프산의 비밀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탑재된 화학과 광물학 측정 장비가 조사한 화성 표면의 광물 결정의 밀도인 세제곱
미터
(㎥)당 2810㎏의 60% 수준이다. 연구팀은 샤프산의 땅속은 단단하게 압축되지 않고 내부에 공간이 많은 다공성일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은 이전에 과학자들이 추측한 가설 중 하나를 부분적으로 ... ...
자기장·음파까지 느끼는 '인공피부'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하는 센서를 만들어 냈다. 센서의 내부에는 실리콘 튜브가 있다. 이 튜브 안에는 나노
미터
(㎚, 10억분의 1m) 크기의 아주 작은 산화철 입자로 이뤄진 특수 유체가 들어가 있다. 산화철 입자들은 실리콘 튜브 내부에서 전류를 만들어내는데 입자에 압력을 주면 실리콘 튜브 내부의 입자들이 움직이며 ... ...
생각보다 훨씬 큰 피라미드
팝뉴스
l
2019.01.29
무엇보다 웅장한 규모가 사람들을 압도한다. 높이가 약 150
미터
에 육박하고 밑변은 230
미터
이다. 그런데 도대체 얼마나 큰 걸까. 위는 미국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화제가 된 사진이다. 우리는 기자 피라미드가 아주 크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지만 실감이 나지는 않는다. 그런데 이 사진을 보면 ... ...
이차전지 성능 최대 7배까지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7
티타늄질화물 황 담지체를 개발했다. 우선 용매의 증발 현상을 이용해 담지체에 50나노
미터
(㎚, 10억분의 1m) 이상 크기의 기공을 만들었다. 이후 티타늄질화물이 스스로 구조를 형성하게 해 50㎚ 이하 크기의 작은 기공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티타늄질화물 담지체는 황의 반응 속도를 높여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