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09건 검색되었습니다.
괴물 같은 근육질 소
팝뉴스
l
2018.12.31
소 중에서 가장 큰 종이다. 몸통의 길이는 최대 3.3
미터
이며 어깨까지 높이가 최대 2.2
미터
이다. 덩치도 덩치지만 하얀 스타킹을 신은 것 같은 다리와 둥글고 큰 뿔도 인상적이다. 평범한 소와는 다른 강력한 포스를 풍기는 게 사실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 ...
무인잠수정·바다표범 빙하 연구 합동작전…축구장 3배 전파망원경이 우주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5
관측하게 된다. 한편 내년에 천문학자들은 미국 하와이 마우나키산에 건설될 예정인 ‘30
미터
망원경’ 프로젝트의 추진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중국의 구형 전파망원경(FAST) ‘톈옌(天眼)’. 지름이 500m로 세계 최대 크기인 이 망원경은 중국 남서부 귀저우 지방의 언덕 사이에 건설돼 있다. - ... ...
[여기에 과학]토끼 유전자로 식물 공기정화 능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1
화합물이 섞여 있습니다. 가스레인지를 이용해 요리를 하면, 연소과정에서 약 3~5나노
미터
(㎚․ 10억 분의 1m)의 초미세먼지가 생성됩니다. 이들 물질은 몸 속에 들어오면 알레르기 반응이나 암을 유발합니다. 공기청정기나 에어컨에는 이런 물질을 걸러내는 강력한 헤파(HEPA) 필터가 장착돼 ... ...
뇌출혈 없는 안전한 뇌 조직검사용 바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모습. -찰스 게이드너 병원 제공 연구진은 지름 2㎜의 바늘 속에 직경 350㎛(마이크로
미터
, 1㎛는 100만 분의 1m)의 광섬유 카메라 기기를 넣었다. 여기서 적외선을 쏘아 얻은 영상은 외부로 연결된 컴퓨터가 분석해 부변의 혈관 유무를 즉시 알린다. 11명의 환자를 상대로 실험해 본 결과 환자의 뇌 속 ... ...
"우주 비밀 간직한 '운석의 보고' 극지, 현장연구에 답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0
온 생명체의 흔적을 담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운석 위에 약 20~100㎚(나노
미터
, 1㎚는 10억 분의 1m)크기의 지렁이처럼 생긴 생명체 화석이 남아 있다는 내용이다. 이후 과학자들은 이 흔적이 생명체가 아니라는데 동의했지만 여전히 일각에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홍 양은 “더 ... ...
사상 최악 산불·포퓰리즘의 위협·유전자 조작 아기…네이처가 뽑은 올해 과학사건
동아사이언스
l
2018.12.19
몰(mol) 기준을 새롭게 재정의한 것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도량형 통일을 논의한 ‘
미터
협약’ 이후 143년 만에 7개의 기본단위 중 4개의 정의가 한 번에 달라진다. 1㎏은 원기로 재지 않고 양자 역학의 기본 상수인 플랑크 상수를 이용해 재정의하게 됐다. 키블저울이라는 측정기기를 통해 얻은 ... ...
1609년 갈릴레이 발견한 토성 고리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목성과 해왕성, 천왕성 등 태양계 다른 행성의 고리보다도 크다. 아주 작은 마이크로
미터
크기에서 기차만한 크기까지 다양한 크기의 얼음, 암석, 먼지 입자들로 구성된다. 토성의 적도 부근에 약 7만㎞ 너비로 분포되어 있다. 지난해 9월 카시니호가 20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토성의 고리 속에서 ... ...
접착력 강하고 고통없이 떨어지는 반창고용 접착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8
환경에 유해한 화학 물질인 경우가 많다. 용해제를 쓰지 않는 생체용 접착제들은 1제곱
미터
(㎡)당 1~10줄(J)의 접착력을 가진다. 1㎡당 1J의 접착력을 가지는 포스트잇의 접착력과 비슷하다. 접착력이 강하고 원할 때 쉽게 떼어내는 접착제를 만드는 것이 큰 숙제였다. 연구진은 고분자 기반의 ... ...
세포 속 액체방울로 게놈 조절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7
상호작용. -사진 제공 서울대 공대 신 교수팀이 만든 이 액체 방울은 크기가 100㎚(나노
미터
. 1㎚는 10억 분의 1m) 크기로 매우 작다. 하지만 다양한 다른 생체 분자들을 포함할 수 있어 다양한 세포 활동을 조절할 수 있다. 실제로 캐스드롭 이용해 게놈을 교정하는 실험을 해본 결과, 마치 필터처럼 ... ...
화성 향한 전기차부터 마지막 북부흰코뿔소의 최후까지…올해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고등어와 다른 물고기를 사냥하기 위해 스코틀랜드 해역의 가넷이 다이빙한다. 새들은 30
미터
높이에서 떨어지며 시속 100㎞의 속도를 낸다. 이 이미지는 올해의 수중 사진상 부문에서 3 위를 차지했다. 극도의 확대. -데이비드 내딩거 제공 사진의 중심을 자세히 살펴보면 전기장에 의해 거의 ... ...
이전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