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0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이 주도한 '한의학 세계화' 결실을 맺다…네이처 선정 올해 기사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더 정밀한 연구 결과를 내놓을 것이라 믿고 있다. 네이처는 울라노브스키 교수가 200
미터
의 동굴을 만들어 연구를 진행한 과정에 대해 세세하게 다뤘다. ●공정한 알고리즘을 만들기 위한 노력 마리오 와그너 일러스트 –네이처 제공 객관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해 결론을 내리는 알고리즘은 얼핏 ... ...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 재가동 승인 한 달만에 또 정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수소 압력이 증가한 상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냉중성자는 0.4~2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의 파장을 갖는 중성자로, 독특한 물리적 특성을 지녀 물질의 나노구조를 밝히거나 낮은 에너지 연구에 유용하다. 원자력연은 2008~2009년에 걸쳐 냉중성자를 만들어 실험에 이용하기 위한 ... ...
나노입자로 리튬이온전지 용량 30%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사용한 리튬이온전지 용량은 이론 용량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연구진은 수 ㎚(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크기와 구조를 바꿔가며 다양한 구조를 합성하면서 리튬이온수송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용량이 극대화 되는 최적의 구조를 찾아냈다. 이산화티타늄 ... ...
호주 연구진 10분만에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정상 DNA의 흡착력은 1~2% 수준이었던 반면 암 DNA의 흡착력은 21%였다. 연구진은 나노
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금 입자를 활용했다. 이 입자를 녹인 물은 분홍색으로 변한다. 여기에 정상 DNA를 넣자 DNA끼리 엉겨 붙으며 물의 색깔은 푸른색으로 변했다. 반면 암 DNA를 넣자 DNA가 금 입자에 달라붙으며 ... ...
[노벨상 시상식]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
2018.12.08
활용된다. 특히 펄스 폭이 펨토초(10-15초)인 ‘고출력 펨토초 레이저’는 마이크로
미터
(μm·1μm는 100만 분의 1m) 수준으로 초정밀 미세 가공을 할 수 있어 산업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혈관 확장에 사용하는 의료용 스텐트 가공이나 라식, 백내장 수술처럼 각막을 정밀하게 절개하는 시술 등 의료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이 장치 내에서 크기가 약 2.68μm인 유리 입자들을 고루 퍼뜨린 뒤 파장이 약 514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인 레이저를 쐈다. 그러자 유리 입자들이 레이저의 축(중심부)으로 끌려가면서 빛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했다. 입자들은 물이 담긴 수조의 벽면에 부딪칠 때까지 계속 움직였고, ... ...
나노소자 내부 구조 보는 고감도 현미경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이 힘의 크기를 측정해, 빛을 이용하는 기존의 공극 파악 기술보다 7.5배 깊은 곳(150nm(나노
미터
, 1nm는 10억 분의 1m)에 있는 공극의 구조까지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 책임연구원은 “이 기술은 초음파 진단으로 우리 몸 속 영상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며 “기존 기술에 비해 훨씬 간단하면서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몸통 검댕 나노입자의 탄생
2018.12.05
점점 덩치가 커지고 더 안정한 라디칼이 만들어지다 이들이 서로 뭉쳐 지름 1~4㎚(나노
미터
. 1㎚는 10억분의 1m)의 3차원 구조물인 ‘검댕 씨앗’이 된다. 일단 씨앗이 형성되면 주변에 있는 탄화수소와 라디칼이 순식간에 달라붙어 마치 눈덩이가 불어나듯 커지며 지름 10~50㎚인 공모양의 ‘검댕 ... ...
고래 뱃속에서 플라스틱 쓰레기 1000개 발견
팝뉴스
l
2018.12.05
플라스틱 쓰레기를 촬영한 것이다. 인도네시아 와카토비 국립공원의 해변으로 약 10
미터
길이의 향유고래 사체가 떠밀려와있다. 뱃속을 살펴본 현지 공무원과 동물보호단체 관계자들은 놀라움을 금할 수 없었다.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득했기 때문이다. 고래는 페트병과 슬리퍼를 집어 삼켰다. ... ...
석탄화력발전 온실가스 감축 기술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3
석탄화력발전소에는 ‘미분탄 보일러’라는 기술이 주로 쓰인다. 석탄을 10 μm (마이크로
미터
, 1 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의 가루로 빻은 뒤 분사해 태우는 기술로, 연료에 제한이 많고 연소 온도가 높아 질소산화물(NOx) 배출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연료가 완전히 연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 ...
이전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