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뉴스
"
뒤
"(으)로 총 13,827건 검색되었습니다.
더위 참으면 병된다…열사병 의심되면 즉각 대응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응급의료기관으로 이송돼야 하고 이송 전까지는 시원한 장소에서 옷을 느슨하게 한
뒤
체열이 발산되도록 해야 한다. 주변 사람들은 미지근한 물에 적신 수건으로 환자 전신을 닦아 체온을 낮추고 부채나 선풍기로 피부 수분을 증발시켜 열이 식도록 도움을 줘야 한다. 목, 겨드랑이, 서혜부 ... ...
면역항암치료 부작용·재발 미리 본다…'백혈병 모사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반응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성공했다. 첸 교수는 “면역세포가 암세포와 접촉한
뒤
하나씩 제거하는 과정을 직접 관찰하게 된 것은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차세대 ‘4세대 CAR-T 세포’가 낮은 용량에서도 기존보다 우수한 암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했다. 또 CAR-T 세포가 직접 ... ...
해군 함정 은밀한 작전 돕는다…내부 소음 예측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기술은 함정 내부에 설치된 가속도센서를 통해 접수판의 진동 정보를 실시간 계측한
뒤
방사효율과 주파수 특성을 결합해 수중방사소음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연구팀은 최소한의 센서로 최대 정밀도를 구현할 수 있도록 신호처리와 진동 해석 기법을 활용해 진동 특성을 추출하고 센서 최적 배치 ... ...
'숨 턱턱' 폭염은 이제 일상…유럽선 46도, 한국은 이미 열대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볼로냐 인근에서 47세 건설 근로자가 태양 아래서 장시간 근무하다 갑자기 쓰러진
뒤
사망했다. 눌리스 대변인은 현재 유럽에 강하게 발달한 고기압의 영향으로 서유럽에서 심각한 폭염이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고기압은 북아프리카에서 올라온 뜨거운 공기를 유럽 상공에 가둬두고 ... ...
시력 안좋은 혹등고래의 거대한 눈…네이처 선정 6월 최고의 과학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역할을 하지만 기후변화로 번식이 어려워졌다. 연구팀은 실험실에서 해조류를 재배한
뒤
지아로스 섬의 해저에 이식한다. 해저 숲은 복원하면 해조류에 의존하는 다른 식물과 동물도 돌아올 것으로 기대된다. AFP/Getty 제공 ● 화산 구름 6월 17일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의 레워토비 라키-라키 ... ...
지구상에서 가장 어린 포유류는 '노르웨이 레밍'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종으로 분화해 진화한 것으로 밝혀졌다. 노르웨이레밍과 서시베리아레밍은 갈라진
뒤
서로 교잡 흔적이 전혀 없었다. 일반적으로 포유류 종은 분화 이후에도 일부 유전 물질을 공유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에 확인된 두 레밍은 오랜 시간 유전적으로 완전히 분리된 상태를 유지해 온 것으로 ... ...
'에이즈' 감염 전년比 3% 감소…성 접촉이 주요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검사’가 30.1%(215명)로 가장 많았고 ‘질병 원인 확인을 위한 검사’가 25.1%(179명)로
뒤
를 이었다. 감염 경로에 대해 답한 503명 중 1명을 제외한 502명(99.8%)은 ‘성 접촉’이 감염 경로라고 답했다. 성 접촉 중 63.7%(320명)는 ‘동성 간 성 접촉’이 감염 경로였다. 질병청은 HIV 감염을 예방하려면 ... ...
치즈 먹고 악몽 꾼다…"유제품 과다 섭취, 수면 질 낮춰"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살펴볼 필요가 있다”며 “앞으로는 치즈 제품과 대조 식품을 비교 섭취하도록 한
뒤
수면과 꿈의 변화를 추적하는 실험 연구도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 doi.org/10.3389/fpsyg.2025.154447 ... ...
암세포만 '반짝'…형광빛으로 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형광 프로브 ‘SLY(Sialyl Lewis Yellow)’를 개발했다. SLY는 표적 글라이칸과 결합한
뒤
세포 안으로 들어가 미토콘드리아에 축적돼 노란색 형광을 낸다. 암세포만 밝게 빛나고 정상 세포는 빛나지 않아 육안으로 쉽게 세포 구별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간암 생쥐 모델에서 SLY가 암 조직의 경계를 ... ...
돼지 신장 이식 후 면역거부반응 치료될까…정밀 '분자지도' 완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이용해 이식된 돼지 신장 조직과 인체 면역세포가 어떤 상호작용을 보이는지 살핀
뒤
지도화했다. 인체 면역세포와 돼지 조직 세포를 공간적으로 구별해 ‘면역 침윤 패턴’을 지도화한 것이다. 면역 침윤 패턴은 인체 면역세포가 돼지 조직 세포에 스며든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어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