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그래픽 카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는 헤더가 있어 GPU 온도에 맞춰 작동하는 냉각팬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100% 기계로 정밀 생산쿨링 시스템과 분리한 PCB 기판에는 주인공(?)인 GPU와 메모리, 커패시터, 초크 등이 깔끔하게 납땜돼 있었습니다. 업계에서 유일하게 100% 자동화된 기계로 생산하는 제품이라더니,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바닷물을 정화하고 물고기에게 살 터를 마련해주는 해초를 피해 탐사하기, 씨로버 R100을 이용해 해저 생태를 탐사하며 생물을 찾아 사진 찍기, 마지막으로 해양 생태계를 건강하게 지키기 위해 쓰레기 수거하기였다. 모든 미션을 수행하는 데는 6분이 주어졌다. 조별로 한 명은 로봇을 조종하고, ...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했다.4월 초에는 교수진이 신입생 학부모들을 초청해 전공을 소개하는 시간도 가졌다. 100여 명의 학부모들이 참석해 사회에서 기계공학의 활용 등 기계공학 분야의 전망을 듣고, 학업 공간을 탐방했다. 박 교수는 “대학은 4년간 공부하면서 거쳐 가는 곳이라는 인식이 강한데, 진로 지도 ... ...
- Part 1. 급구, 소똥구리를 찾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5000만 원을 드립니다.’ 2017년 11월 27일, 환경부에서 독특한 공고를 냈어요. 1마리 당 100만 원이라는 현상금을 내걸고 몽골에서 다 자란 소똥구리를 데려올 사람을 모집한다는 거였죠. 이를 본 많은 사람이 “소똥구리 원정대를 모집한다”, “같이 소똥구리 잡으러 가자” 등의 글을 올리며 큰 ... ...
- [과학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남극의 생태가 지금과 달랐음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현재 표본과 비교분석하면 최근 100여 년간 남극 대륙이 기후변화로 얼마나 달라졌는지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유럽 조류학 저널’ 4월 5일자에 실렸다. doi:10.1080/09670262.2018.144258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했다. [백두산 연구]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지금으로부터 약 1000년 전인 946년, 백두산이 분화했다. 화산폭발 지수 7(화산 분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8의 척도로 나눔) 규모의 폭발로 남한 전역을 1m 두께로 뒤덮을 수 있는 화산재가 쏟아져 나왔다. 2002~2005년 백두산에서는 약 300 ... ...
- [과학동아 X KRISS] 130년 만에 플랑크 상수로 다시 태어나는 킬로그램(kg)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승인돼 오늘날까지 프랑스 국제도량형국에 보관돼 있다. 또 원기와 동일한 복사본 100여 개가 각국의 국가표준기관에서 질량의 표준을 지키고 있다. 우리나라에도 이 복사본 원기가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 보관돼 있다. 한국은 언제부터 킬로그램 썼을까우리나라에 원기의 복사본이 처음 들어온 건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주요 미해결 문제(밀레니엄 문제) 7가지를 선정하고, 각 문제를 해결한 사람에게 100만 달러를 주겠다고 발표한 바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푸앵카레 추측’ 외에는 해결된 문제가 없다. 그만큼 동형암호도 풀기 어렵다는 뜻이다. 이향숙 이화여대 수학과 교수(대한수학회장)는 “현재 대부분의 ...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양자점 태양전지는 광흡수 효율이 100배 더 뛰어날 뿐 아니 라, 두께도 1000분의 1에서 100분의 1로 얇아 마음대로 휘거 나 접을 수 있고, 공정 과정도 저렴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양자점 태양전지가 상용화되려면 전압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양자점 태양전지로 생산할 수 있는 전압은 이론 상 0. ... ...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미니 발광다이오드(LED)를 선보였다. 미니 LED는 칩 크기가 100~20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인 디스플레이로 칩 하나를 화소 하나로 활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개발 중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보다 밝고 선명하지만, 가격은 저렴하다. 샤오미의 뒤를 이어 가성비를 앞세운 중국의 또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