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치킨은 피보나치 수열로 시키세요!수학동아 l2018년 05호
- 2+1, 100=55+34+8+3 같은 방법이 있어요. 하지만 이중 100=89+8+3만 제켄도르프 정리를 따릅니다. 100=89+8+2+1은 1과 2가 연속하는 피보나치 수고, 100=55+34+8+3은 34와 55가 연속하는 피보나치 수이기 때문이에요. 우리는 6명이 먹을 치킨이 몇 마리인지 알기 위해서 ...
- [과학뉴스] 100년 남극 기후 변화의 지표, 남세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남극의 생태가 지금과 달랐음을 보여주는 지표”라며 “현재 표본과 비교분석하면 최근 100여 년간 남극 대륙이 기후변화로 얼마나 달라졌는지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유럽 조류학 저널’ 4월 5일자에 실렸다. doi:10.1080/09670262.2018.144258 ...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 붉은 빛만 반사하는 길이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작은 유리 조각을 넣어 소금새우의 움직임을 통제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새우 떼가 상승할 때마다 대규모의 하향 해류가 생성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비리 교수는 “작은 해양생물들이 바다 ... ...
- [시사기획] 남북 과학기술 협력 분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했다. [백두산 연구] ‘백두산 과학기지’에서 분화 모니터링 지금으로부터 약 1000년 전인 946년, 백두산이 분화했다. 화산폭발 지수 7(화산 분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1~8의 척도로 나눔) 규모의 폭발로 남한 전역을 1m 두께로 뒤덮을 수 있는 화산재가 쏟아져 나왔다. 2002~2005년 백두산에서는 약 300 ... ...
- [Tech] 그래픽 카드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수 있는 헤더가 있어 GPU 온도에 맞춰 작동하는 냉각팬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습니다. 100% 기계로 정밀 생산쿨링 시스템과 분리한 PCB 기판에는 주인공(?)인 GPU와 메모리, 커패시터, 초크 등이 깔끔하게 납땜돼 있었습니다. 업계에서 유일하게 100% 자동화된 기계로 생산하는 제품이라더니, ...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말한다. 플라토에는 지름 12cm인 작은 망원경 26개가 탑재되며, 우주의 절반을 훑으며 약 100만 개의 별을 조사할 예정이다. 발사 시기는 2026년으로 예정돼 있다. 또 다른 탐색위성인 ‘에어리얼(ARIEL)’은 2028년 발사 예정으로, 행성 시스템이 어떻게 형성됐고 진화했는지 밝힌다.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 ...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알아내는 문제를 말한다. 가령 47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6인 10의 제곱수는 10의 2제곱인 100이다. 이때 2는 6의 이산대수라고 말한다. 이런 문제는 비교적 쉽게 풀 수 있지만, 실제 암호시스템에서 사용하는 300자리 정도인 큰 정수의 이산대수를 찾는 일은 매우 어려운 문제다. 디피와 헬먼이 고안한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0분의 1 수준인 3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면 충분하다. 현재 정 교수팀은 두께가 100nm인초박형유기태양전지를개발했다. 두께가 얇은 만큼 쓰임새도 다양하다. 건물 외벽을 태양전지로 입힐 때 태양전지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표면 부착력이 떨어진다. 초박형 태양전지는 표면에 요철이 있어도 ... ...
- Part 2. 쓱싹~ 물로 미세먼지를 쓸어버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0.001~0.05mm 크기의 아주 작은 물방울을 높이 45m까지 분사할 수 있답니다. 또한 1분당 최대 100L의 물을 뿜어낼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하지요. 이 물대포에서 발사한 물방울이 닿은 곳은 95%의 미세먼지가 제거됐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미세먼지 사냥꾼 간다Part 1. 두둥~ 거대 ... ...
- Part 1. 자율주행자동차, 직접 타보니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편안하다는 느낌을 받으며, 여기서 차츰 속도를 줄여 완전히 멈추는 데 필요한 거리가 100m”라며 “단순히 속력을 높이기보다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인지 능력과 판단 수준에 맞춰 주행방법을 결정하도록 설계했다”고 말했다. 에트리카의 운전 능력은 트렁크에 설치된 3대의 컴퓨터 덕분이다. 각각 ... ...
이전154155156157158159160161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