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미래 산업의 열쇠, 암호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알아내는 문제를 말한다. 가령 47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6인 10의 제곱수는 10의 2제곱인 100이다. 이때 2는 6의 이산대수라고 말한다. 이런 문제는 비교적 쉽게 풀 수 있지만, 실제 암호시스템에서 사용하는 300자리 정도인 큰 정수의 이산대수를 찾는 일은 매우 어려운 문제다. 디피와 헬먼이 고안한 ... ...
- [과학뉴스] 남성 경구 피임약, 상용화 한 발짝 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상태다. 연구팀은 18~50세 건강한 남성 100명을 3개 그룹으로 나눠 4주 동안 DMAU를 각각 100mg, 200mg, 400mg씩 먹게 했다. 그 결과 최고 용량인 400mg을 복용한 남성의 테스토스테론과 정자 생산에 필요한 여포자극호르몬(FSH), 황체형성호르몬(LH)의 수준이 모두 현저히 감소했다. 간이나 신장에 손상을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책임연구원은 “500여 년 전 중남미의 매운 고추가 유럽에 넘어간 뒤, 아시아에 전파돼 100년 뒤 한국 고추가 됐다는 주장이 틀린 것으로 판명됐다”며 “오히려 수천 만 년 전 야생고추가 새를 통해 여기저기 전파된 뒤, 지역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해 다양하게 진화했다고 해석하는 게 맞다”고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신호탄을 쏜 것이다. 이 기세라면 2030년에는 연산 속도가 현재보다 1억 배가량 빠른 100~1000큐비트 수준의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컴퓨터가 상용화된다면 단백질 구조 파악, 난치병 원인 규명,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반 신물질 합성, 신약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내용 탓인지 오늘 날 출판계에는 ‘호킹 지수’라는 지표가 있다. 책의 전체 페이지를 100페이지라고 가정할 때 실제 읽은 페이지를 나타내는 숫자로, ‘시간의 역사’를 실제로 읽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해 만들어졌다(참고로 ‘시간의 역사’의 호킹 지수는 6.6이다). ‘시간의 역사’에는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히 큰 자연수의 모임’을 집합 기호로 적으라고 하고 한번 살펴보세요. 어떤 친구는 100보다 큰 자연수를 쓰고, 1억쯤 돼야 크다고 생각하는 친구는 1억보다 큰 수를 쓸 겁니다. 영어처럼 집합 기호도 전 세계 사람이 공통으로 쓰는 거니까 누가 봐도 똑같은 집합을 떠올리도록 명확하게 적어야 합니다 ...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중요한 경기는 이미 오래전부터 첨단 장비로 심판을 대신해 판정을 내리고 있습니다. 100분의 1초 차이로도 1등과 2등이 갈리는 육상 경기를 사람의 눈으로 정확히 판정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니까요. 구기 종목에선 서브 속도가 순간 시속 200km를 넘어가는 테니스에서 ‘호크아이’라는 라인 판독 ...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 겔의 단백질 함량을 분석했더니, 날계란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날계란은 1mL에 100~110mg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 이 겔에는 124~154mg이 들어 있었습니다. 놀라운 점은, 이 겔 성분의 약 80%가 물이라는 점입니다. 물이 80%인 재료로 이렇게 강도가 높은 재료를 만들 수 있다니 정말 신기합니다. 그 ...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미백 화장품은 멜라닌을 파괴하지 못한다피부는 50~100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의 표피와, 바로 아래 2~3mm 두께를 가진 진피로 나뉩니다. 표피는 표면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는데, 기저층에 멜라닌을 만드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가 있습니다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cm2 면적에 1000억 비트를 저장할 수 있어, 동일한 크기의 반도체 칩과 비교해 볼 때 100배 이상 많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도르래 원리 적용해 전지 성능 개선로탁세인은 분자기계 연구의 터닝포인트가 됐습니다. 그 전에는 학문적으로만 의미가 있던 분자기계가 실생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