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미터"(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 왕복 100m 날았다...“3차 비행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1.04.26
- NASA의 무인 화성 헬기 '인저뉴이티'가 25일(미국 동부시간) 진행된 3차 비행에서 약 50m 거리를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 비행하는 인저뉴이티 ... 후 남은 두 차례 비행을 준비할 계획이다. NASA가 목표로 한 최대 비행 거리는 2300피트(약 700미터)다. 네 번째 비행 시험은 몇 일 내에 이뤄질 예정이다 ... ...
- 얀센 백신 접종후 혈전 반응 전조 증상 '두통' 가능성동아사이언스 l2021.04.15
- 100만분의 1미터) 당 15만~45만 개가 들어있다. 혈소판감소증은 혈액 1마이크로미터에 들어있는 혈소판 수가 15만 개가 되지 않는 질환으로 심할 경우 내부 출혈이나 뇌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6명 중 혈액 혈소판 수가 가장 적은 환자는 1리터당 1만 개, 가장 많은 환자는 1리터당 12만7000개의 혈소판이 ... ...
- 감마선·X선·적외선 다파장으로 촬영한 M87블랙홀 모습 첫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1.04.15
- 고해상도 전파망원경으로 밀리미터 대역을 관측한 영상, 가운데는 광학망원경으로 나노미터 대역을 관측한 영상, 오른쪽 줄은 X선과 감마선 망원경으로 파장이 가장 짧은 대역을 관측한 영상이다. 천문연은 왼쪽에서 EVN, VLBA, EHT 영상 제작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했다.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 ...
- 양자네트워크 실현할 니오븀 초전도 나노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04.14
- 덜 받는다. 하지만 소자가 양자 상태를 관찰하려면 기판 전극에서 소자를 100nm(나노미터·10억 분의 1m) 정도로 가깝게 유지해야 하는데 니오븀은 이를 극복할 구조를 만들기 어려웠다. 연구팀이 개발한 소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표준연 제공 연구팀은 니오븀 증착 조건을 조정해 내부 힘을 ...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백질 설계 인간계 ‘지존’이 만든 ‘항체 케이지’동아사이언스 l2021.04.04
- 항체와 단백질을 섞어 주기만 해도 알아서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나노케이지(나노미터 크기의 주머니 구조) 형태의 ‘항체 케이지’를 찾아냈다. 연구팀이 설계한 48개 구조 가운데 4개가 이런 항체 케이지를 형성했다. 이들은 2면체, 4면체, 8면체 및 20면체 구조를 하고 있어 대칭을 이루며 접힐 수 ... ...
- [사이언스N사피엔스]시간과 공간이 아닌 시공간2021.04.01
- 초속 약 3억 미터)으로 날아간다 하더라도 수명이 백만 분의 2초니까 비행거리가 겨우 600미터에 불과하다. 많은 수의 뮤온이 대기 상층에서 만들어지더라도 대부분은 금세 다른 입자들로 붕괴해 버리기 때문에 지표면까지 도달하는 뮤온의 개수는 극히 적다. 실제 실험에서는 예상보다 훨씬 많은 ... ...
- 중국 내몽골·몽골서 시작한 황사 북서풍 타고 한반도로…30일까지 이어져동아사이언스 l2021.03.29
- 시설물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다. 미세먼지(PM10)는 지름 10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 이하인 입자다. 29일 10시 기준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1시간 평균 726㎍/㎥이다. 그 외 수도권인 수원 438㎍/㎥, 강화 616㎍/㎥으로 관측된다. 서청주 967㎍/㎥, 흑산도 954㎍/㎥, 군산 901 서청주 ... ...
- [과기원은 지금] 김도현 KAIST 교수, 마이크로섬유 대량생산 공정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1.03.25
- UNIST)은 24일 남궁선 물리학과 교수와 미국 미네소타대 연구팀이 10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이하 채널을 갖는 초미세 반도체 전극과 2차원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반도체 안의 패턴을 빛으로 그리는 공정이 필요없어 대량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 ...
- 한달내 자연에서 분해되는 KF94 마스크용 필터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21.03.22
- 있어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개발한 필터는 초미세먼지 기준인 2.5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크기 입자 98.3%를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마스크 표준 기준인 N95(0.3㎛ 크기 입자 95% 차단)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한국 기준인 KF94와도 비슷한 수준”이라고 ... ...
- 초음파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부순다동아사이언스 l2021.03.17
- 주파수 크기의 2배였다. 위어즈비키 교수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높이가 약 10㎚(나노미터·100만분의 1㎜)로 워낙 작고 구성 성분을 전부 알 수 없어서 모델링할 때 많은 가정이 필요하다"며 "향후 돼지에게서 나타나는 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GEV)를 대상으로 초음파 노출 시간 등 어떤 요소가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