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미터"(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람 귀 닮은 음성인식 센서 세계 최초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1.02.15
-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공진 현상을 이용해 소리를 증폭시키는 수 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의 달팽이관 속 기저막을 모사해 ‘공진형 유연 압전 음성 센서’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사람의 귀가 작은 소리를 잘 들을 수 있는 이유는 달팽이관에 있는 사다리꼴 기저막이 ... ...
- 1만번 접었다 펴도 '괜찮아'…접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동아사이언스 l2021.02.14
- 전기 전도도가 향상되게 만들었다. 이렇게 개발한 SWNT-PI의 두께는 7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로, 연구진이 이를 이용해 제작한 폴더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광전변환효율이 15.2%를 나타냈다. 특히 1만 번 반복해서 접어도 성능이 계속 유지됐다. 연구진은 태양전지뿐 아니라 ... ...
- [프리미엄 리포트]왜 애플카에 열광할까과학동아 l2021.02.13
- 자체 설계해 지난해 11월 출시한 애플 실리콘 ‘M1’이 대표적인 예다. 애플은 5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공정을 사용해 하나의 칩에 CPU와 GPU는 물론, 기계학습을 지원하는 뉴럴 엔진과 메모리, 보안 칩, 각종 입출력 컨트롤러까지 약 16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했다. 10~14nm 공정을 사용하는 인텔 ... ...
- [프리미엄 리포트]브레이크 없는 수상태양광, 물 속 생태계는 안전할까과학동아 l2021.02.06
- 위해 그물로 건져 올리거나 스킨다이빙을 이용해 직접 물속으로 들어갔다. 2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 분의 1m)의 아주 작은 구멍이 난 채로 식물성 플랑크톤을 채집해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했고, 지렁이 같은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도 채집했다. 철새들도 찾아오는 시기에 맞춰 관찰했다. 하지만 ... ...
- [소재의 미래]⑿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세계에서 연금술 같은 소재혁명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2021.02.03
- 보증하는 분해능 수준이 50 피코미터(pm·1pm는 1조분의 1m)라면 소프트웨어 기법으로 10 피코미터까지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신기능성 소재의 특성을 해석하는 데 접목했다. 신기능성 소재에는 서로 다른 소재를 접합해 만든 이종 소재가 많은데, 이들 소재들끼리 접합된 면에서 ... ...
- 시스템반도체 R&D에 올해 2400억원 투입…“제2 D램 신화 이룬다”동아사이언스 l2021.02.01
- NPU 등을 개발할 수 있는 AI 반도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할 신소자를 발굴한다. 1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이하의 초미세공정으로 AI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장비 기술도 지원한다. 정부는 미래 컴퓨팅 패러다임을 바꿀 기술로 평가받는 PMI(Processing in Memory·메모리 프로세서 통합) 기술도 ... ...
- [랩큐멘터리]구글·인텔도 뛰어든 양자컴퓨터 세계로 '퀀텀점프'동아사이언스 l2021.01.28
-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크기로 줄어들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을 설명하는 양자역학은 실생활에서는 결코 느끼기 힘든 연구 분야다. 인간의 직관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최신 물리학이지만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분야가 많다. 하지만 초전도체나 양자컴퓨터처럼 인류의 ...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mRNA는 어떻게 백신으로 개발되었고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2021.01.27
- 오래 머무를 수 있게 도와준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질나노입자는 보통 지름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정도로, 바이러스 입자와 비슷한 크기이다. RNA 백신의 장점과 한계 코로나19 백신의 사례에서 보았듯, mRNA 백신의 장점은 무엇보다 신속성과 유연성이다. 병원체의 유전자 정보만 알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살아있는 화석 폐어와 실러캔스, 엇갈린 운명2021.01.26
- 장면을 담은 사진을 실었다. 현생 실러캔스 2종은 조상이 살던 얕은 물을 떠나 수심 수백미터 해저 환경에 적응했음에도 생김새는 별로 바뀌지 않았다. 네이처 제공 고생물학자들은 화석을 토대로 대략 3억9000만 년 전에 얕은 물에 살던 실러캔스의 조상 또는 폐어의 조상과 육상동물의 조상이 ... ...
- 전 세계 1억명이 걸렸다…반년만에 감염자 1000만명서 '껑충'동아사이언스 l2021.01.26
- 센터(CSSE)는 26일 전 세계 누적 확진자가 9965만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같은 날 월드오미터 등 일부 통계 사이트는 1억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나 이날 중 1억명을 넘을 것이 확실시되고 있다. 세계은행(WB)이 지난해 추산한 세계 인구가 약 76억7353만명인 점을 감안하면 전 세계 인구의 1.3%가 코로나1 ... ...
이전131415161718192021 다음